본문 바로가기

건축345

PVC 창호 에너지 법규동향과 KCC창호 사례를 통한 창호 동향 소개 에너지 법규 - 공동주택의 결로 방지를 위한 설계기준(TDR) 온도 차이 비율 (TDR:Temperature Difference Ratio) 실내와 외기의 온도차이에 대한 실내와 적용 대상부위의 실내표면의 온도차이를 표현하는 비율 계산식 : 온도차이비율 = (실내온도 - 표면온도) / (실내온도 - 실외온도) 예시) 실내온도 25oC, 실내온도 -10oC, 창호 표면온도 18oC일 경우, [실내온도(25)-표면온도(18)] / [실내온도(25)-실외온도(-10) = 7/35 = 0.20 표면온도가 높을수록 TDR값이 낮아짐 : 단열 성능이 우수한 / 유리 적용시 실내측 표면온도가 높아져 결로 성능 우수 (TDR값이 낮음) 지역1 기준 결로 성적서 보유 현황 창호 제품명 : VBF250, VBF252 유.. 2022. 4. 27.
PVC 창호의 이해 - 에너지 법규 동향, KCC 창호 사례 창호의 이해 창호의 정의 및 주요 기능 창호의 원부자재 구성 창호의 에너지 법규 동향 에너지 관련 국가 정책 로드 맵 에너지 관련 법규 소개 창호의 이해 창호의 정의 및 주요 기능 - 창호의 정의 창(Window)과 문(Door)를 총칭하며 창은 주로 일광, 환기 등의 목적에 사용되며, 문은 사람이나 물건의 출입 등의 목적에 쓰이는 것이 보통입니다. 창호의 용도, 재료별 구분 (KS F 1502) PVC창호의 5대 성능 기준 +1 : 결로방지 단열성 0.22 / 0.25/ 0.28 / 0.34 / 0.43 총 5등급으로 나뉘며, 숫자가 높을수록 성능 우수 상기 값은 열관류 저항값 (㎡K/W)이며, 단열성능은 일반적으로 관류율 (W/㎡K)로 표기 - 낮을수록 우수 창호에너지효율등급 1등급 : 단열 1.0 .. 2022. 4. 26.
아파트 리모델링 건축 장점과 재건축과의 차이점 리모델링을 했을 때 장점 법정상 정의로는 건축물의 노후화를 억제 또는 기능 향상 등을 위하여 대수선하거나 일부 증축하는 행위로 기존 골조를 활용하고 고객의 필요에 맞춰 모든 것을 완전히 변화시켜 신축하는 것으로 노후 아파트의 고질적인 안전 문제를 리모델링을 통하여 안심할 수 있고 안전한 아파트로 변화 할수 있도록 건축을 하는 것입니다. 재건축과 리모델링의 차이점 재건축 구분 리모델링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 법적근거 주택법 준공 30년 경과 이후 추진가능 (안전진단 강화로 실제 40년 경과 이후) 연한 준공 15년 경과 이후 추진 가능 법적 상한 용적률 이내 (최대 300% 이하) 용적률 용적률 제한 없음 리모델링에 비해 사업 장기화 가능성 농후 소요기간 리모델링 규모에 따라 다름 완화 적용 없음 건축법.. 2022. 4. 26.
BIM - 레빗 구조모델 작성하기 (bim revit 모델링) 구조모델 작성순서 구조시스템에 맞는 적합한 유형의 패밀리 사용 공정 순서별로 작성 : 기초 - 바닥 - 기둥 - 보 -구조 벽 - 계단/램프 부위별 구조 모델링 : 지하층, 코어, 내부구조 등 동선요소의 건축-구조 연계 모델링 : 계단/램프는 시스템 패밀리로 구조체 작성 후, 건축마감 모델링 연계 작성기준 레벨그리기 - 그리드 그리기- 삽입 dwg - 유형설정 기초바닥작성- 기초바닥레벨 맞추기 - 유형설정 독립기초, 줄기초 작성 - 유형설정 슬래브 작성- 바닥레벨 맞추기 - 유형설정 기둥그리기 - 기둥 상하단 레벨 맞추기 - 유형설정 보그리기 - 보 레벨 맞추기 - 유형설정 구조벽체 그리기 - 벽체 상하단 레벨 맞추기 - 계단그리기 - 샤프트 및 기타부재 작성 구조 BIM 모델링 작성 기준 구분 작성기준.. 2022. 4. 22.
캐드 바탕화면 색상변경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CAD 화면 색상변경] 캐드 바탕화면 색상 캐드를 다운로드하고 아주 멋있는 모습의 모델링 모습의 로딩화면을 기다리고 시작을 하시면 이렇게 검정색의 캐드의 화면이 보이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선의 색깔은 흰색을 사용하고 흰색의 이 색은 실제로 출력을 할 때는 검정색으로 표현이 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캐드 바탕화면 색상변경 하는 방법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검정색의 바탕화면이 편안한것은 아닐것입니다. 평소에 화면을 흰색으로 사용하시는 보통적인 부분에서 검정색 선으로 확실하게 선의 색을 보고 싶고 다른 색상의 경우에도 초록색과 파란색이 검정색에서는 잘 안 보이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검정색의 화면을 다른 색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우선 저는 가장 보편적으로 원하는 색상인 흰색으로 바탕화면을 바꿔보도록 .. 2022. 4. 19.
포토샵 무료다운 [포토샵 체험판 무료버전 다운] 포토샵 무료체험 버전 학생들과 일반 직장인들이 프로그램을 구입해서 포토샵을 사용하기는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 이때 갑작스럽게 프로그램이 필요한 경우에 필요한게 바로 체험판 버전입니다. 사진을 수정하거나 합성작업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일반 버전과 체험판의 큰 차이는 없습니다. 어도비 포토샵에 들어가서 결제를 하지 않고 7일 무료체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포토샵 체험판 무료 다운로드 방법 포토샵 무료 체험버전 다운로드는 7일동안 무료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결제 정보를 입력해야 사용 가능합니다. 7일의 기간이 끝나고 나면 자동적으로 결제가 되어 결제가 되는 바람에 구독 취소를 해줘야 합니다. 모두를 위한 크리에이티브 ADOBE CREATIVE CLOUD에서 제공하는 세계 최고의 크리에이티브 앱과 서.. 2022. 4. 15.
bim - Revit 시작하기 [단축키 설정, 건물 일조분석, 대지 모델링, 지형도에 대해서 알아보자] Revit 시작하기 Revit 환경설정 프로젝트 시작하기 대지모델링 1-1. 일반 응용프로그램 메뉴 > 옵션 저장 간격 설정 자동저장 아님 저장 알림 설정 사용자 이름 설정 작업세트 로컬 파일 사용자 이름 지정 1-2. 사용자 인터페이스 리본탭 조정 - 사용하지 않는 탭 체크 해지 자주 사용하는 REVIT 단축키 명령 단축키 기타 가시성 / 그래프 W,VG 가시성 그래픽 대화상자 AutoCAD의 layer 대화상자 같음 선 색상, 선 패턴, 선 종류 설정, 객체 끄고 켜기 설정 카테고리 분리 IC 카테고리 분리 카테고리 숨기기 HC 카테고리 숨기기 요소 분리기 HI 요소분리 (=layer isolate) 요소 숨기기 HH 요소 숨기기 (=later off) 임시 숨기기 / 분리 재설정 HR 숨기기 해제 .. 2022. 4. 13.
인장과 압축구조물 - 압축부재의 검토 인장, 압축부재의 검토 직관적인 방법으로 알 수 있을 경우가 많습니다. 직관적인 방법만으로는 힘의 흐름을 알 수 없는 경우 존재 압축부재 : 각각의 분리하여서 볼때 부재가 줄어들려고 하는 부재 인장부재 : 각각의 분리하여서 볼때 부재가 늘어날려고 하는 부재 위의 그림은 앞의 예제에서 부재 AC를 검토한 것이다. AC는 늘어나려고 하는 힘을 받으므로 내력은 반대로 안쪽으로 당기는 힘을 나타내어야 합니다. 즉 인장부재입니다. 위의 그림은 앞의 예제에서 부재 CE를 검토한 것이다. CE는 늘어나려고 하는 힘을 받으므로 내력은 반대로 안쪽으로 당기는 힘을 나타내어야 한다. 즉 인장부재입니다. 위의 그림은 앞의 예제에서 부재 BD를 검토한 것입니다. BD는 줄어들려고 하는 힘을 받으므로 내력은 반대로 안쪽으로 당.. 2022. 4. 9.
건축면적 산정기준과 아파트 공동주택 발코니면적 산정하는 법 건축면적 산정 건축면적 산정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건축면적 산정을 하는것은 우선 가장 중요한 부분이 건축법, 주택법, 각 시 자체 조례에 대해서 알아보면 됩니다. 건축물 면적, 높이 등 세부 산정기준으로는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1-1422호에서 2.2.1 건축면적은 건축물의 외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면적으로 해야합니다. 외벽이 없는 경우에는 외곽 부분의 기둥으로 하면됩니다. 중심선을 어디로 정의 하는지에 따라서 건축면적이 많이 달라지게 되는데 일반건축에서는 외벽과 내피, 단열재와 같은 재료가 적게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중심선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주거 건축물에 대해서는 중심점을 다르게 지정하고 법적인 부분에 강력하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방법인 벽체 중심으로 면적을 산정.. 2022. 4. 7.
bim- 개념 (revit 건축 프로그램 사용하는 법 - 메뉴 이해하기 ) Revit 인터페이스 1-1. 응용프로그램 메뉴 (Application Menu) 파일을 새로 열기, 저장, 다른 이름으로 저장, 프린터, 내보내기, 라이센스 등 파일을 관리할 수 있으며 revit에 대한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메뉴 내용 어플리케이션 메뉴 파일 열기, 저장, 내보내기, 인쇄 등의 기본사항에 대한 기능이 있습니다. 신속접근막대 자주쓰는 아이콘들을 설정해 놓을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그림과 같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리본 메뉴 revit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을 종류별로 나누어 탭형식으로 제공합니다. 옵션바 객체나 기능을 클릭했을때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나타냅니다. 특성창 객체를 선택했을때 객체에 부여된 속성값이 나타납니다. 프로젝트 브라우저 뷰/시트/일람표등을 제어하며, 로드된.. 2022. 4. 5.
응력의 기본 상태- 응력의 특징 응력의 기본 상태 응력(stress) : 외력을 받는 구조물이 평형을 이루고 있을 때, 단위 면적당 부재의 단면에 발생하는 단면의 저항능력 축방향 응력 : 압축응력, 인장응력 전단응력 휨응력 축방향 응력 압축응력(compressive stress) 단순압축응력, 좌굴 인장(tensional stress) 인장응력(tensional stress) 전단 응력(shear stress) 휨 응력(bending stress, flexural stress) 단순인장 인장(tension):재료의 분자가 서로 당기어 분리되려는 응력상태 인장변형율 : 단위길이당 늘어난 길이 - (길이/길이) 인장응력 : 단위면적당 받는 힘 - (힘/면적) hooke's law 적용가능 : 응력=탄성계수x변형율 탄성범위내의 거동 케이블의.. 2022. 4. 2.
건축구조 강도와 구조상의 필요조건 구조상의 필요조건 강도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부재의 기본성질 강도 결정 순서 구조방식 (구조시스템의 결정) 철골구조or 콘크리트구조와 같은 재료에 따른 구조시스템 결정 고층 건물인 경우 수평저항시스템의 결정 이중 골조, 전단벽, 강접구조, 튜브 구조 하중의 전달 경로 결정 부재의 접합상태에 따라 하중의 경로가 달라집니다. 예상하중 산정 사하중 활하중 동하중 (지진, 풍하중) 구조해석 구조해석 프로그램 (MIDAS, ETAPS, SAP)으로 구조부재에 작용하는 응력계산 응력에 적합한 부재크기와 강도 결정 강도와 강성의 차이 강도(strength) 부재의 하중을 견디는 능력 강성(stiffness) 구조시스템의 혹은 부재의 변형에 저항하는 능력 예)압축 및 인장(축변형)에 저항하는 능력 재료상.. 2022. 3. 31.
건축 구조상의 필요조건 - 정의와 종류의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건축 구조상의 필요조건 평형, 안정, 강도, 기능, 경제, 미 정의 : 건물이나 부재가 이동하지 않는다. - 실제 건물의 변위 : 허용 범위 내. 건물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 작은 값 정정 구조물 - 뉴튼의 법칙적용가능한 구조물 부정정 구조물 - 현대의 건물 : 정적으로 불확실 이유 : 재료의 소성 성질 및 구조체 접합부의 성질 수직하중에 의한 평형 케이블에 100tonf의 물건이 정지해있다면 케이블에도 상하로 당기는 인장력 100tonf가 작용한다. p=100 tonf p=100 tonf 양쪽방향에서 같은 힘으로 당길 때 서로 움직이지 않는다면 평형상태에 존재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평형상태가 깨어진다면 이동이 발생합니다. 평형의 조건 일정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 2022. 3. 29.
구조재료의 본질적 특성과 특징 구조재료의 본질적 특성 구조물의 변형 무한히 증가해서는 안됩니다. 하중이 제거된 이후에는 원래상태로 복원(탄성) 탄성거동 모든 재료는 어느 정도까지는 탄성의 성질을 지닙니다. 하중이 제거된 이후의 잔류변형이 없어야합니다. 어떠한 재료도 하중이 일정치를 넘으면 영구적인 변형을 피할 수 없습니다. 구조재료로서의 역할을 위해서는 탄성범위내의 응력을 받아야합니다. 탄성거동 선형탄성 하중과 변형이 비례관계 하중을 제거한 후 변형은 원위치 직선의 기울기 : 탄성계수 소성 : 하중이 제거된 이후에도 영구 변형을 나타내는 현상 소성거동 : 하중과 변형 관계가 더 이상 직선형태를 이루지 못하고 곡선을 나타내며 하중의 증가 없이도 변형이 증가하기도 하는 거동입니다. 하중 제거했을 때 변형은 존재(잔류변형) 소성특성의 이용.. 2022. 3. 27.
건축에서 빛의 성질 - 빛의 개념과 장단점 시각적 속성표현 1. 빛과 조명 빛은 광자의 흐름이며, 광자는 복사 에너지의 최소 단위의 입자이다. 진공상태에서 모든 광자는 같은 속도로 움직인다. 빛의 속도는 영구히 변하지 않으며, 광자의 움직임과 연동한 진동이 있다. 진동률은 상당한 범위로 다양하다. 이것이 서로 다른 타입의 복사광을 분류하여 파장띄를 형성한다. 가시광선 영역이 망막에 들어오면 들어온 광자 에너지가 망막의 광수용기를 자극해서 뇌의 시각피질에 감각 반응을 일으킨다. 이것은 1옥타브의 범위, 301-760 나노미터의 아주 좁은 영역이다. 인접한 파장은 적외선 (IR)과 적외서(UV) 영역이다. 2. 광속과 조도 가시광선 영역은 백광을 프리즘에 통과시키거나 회절격자 반사시킴으로써 볼 수 있습니다. 색상들이 모두 균등한 밝기로 보이지 않고 .. 2022. 3. 24.
광주 HDC아파트 붕괴사고 주요 원인 "무단 구조변경"- 콘크리트 품질관리, 감리 소홀 등 전반적 관리 부실로 인한 붕괴. 광주 HDC아파트 붕괴사고 조사 "무단 구조변경"- 콘크리트 품질관리, 감리 소홀 등 전반적 관리 부실로 인한 붕괴 영향이라는 보도자료가 나왔습니다. 국토교통부 건설안전과, 건설사고 조사위원회의 담당부서에서 보도자료를 만들어서 배포를 한 부분입니다. 국토교통부 현대산업개발 아파트 붕괴사고 건설사고 조사위원회에서 지난 1월 11일에 일어난 광주의 아파트 붕괴 사건이 된 HDC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붕괴사고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이번 사건에는 근로자 7명이 사상(사망 6명, 부상 1명)이 일어난 안타까운 사건으로 '22.01.11 아파트 신축 공사 현장에서 PIT층' 바닥이 붕괴되면서 39층 하부로 16개층 이상의 외벽이 파손 붕괴되었습니다. 39층(옥상층)과 38층 사이에 배관 등을.. 2022. 3. 23.
건축구조 보의 개념 정리 - 정의와 장,단점 Beams 전단력만의 변형 하중은 고정된 지점에서 보를 전단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전단경향은 보의 전체에서 발생합니다. 캔틸레버보의 경우 하중이 내민 끝에 작용할 경우 전단 경향은 보 전체에서 동일합니다. 캔틸레버보의 경우 하중이 보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될 경우 전단하려는 경향은 고정단에 가까울수록 전단력이 크게 분포합니다. 등분포 하중이 작용하는 캔틸레버보의 전단력 분포 보의 수직전단력 발생의 예 여러권의 책을 양쪽 손으로 받치고 있다면 책이 자체의 무게 때문에 서로 미끄러지려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경향을 이겨내고 책을 들어올리려면 양쪽에서 큰 힘으로 눌러 미끄러지지 않게 큰 마찰을 발생하여야 합니다. 전단- 직각되는 두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 구성요소를 돌리려는 경향 회전 이동이 발생 - 회전.. 2022. 3. 20.
건축구조 건축물의 하중 개념정리 - 건축구조의 하중 정의를 알아보자 하중 ( Loads on Structures) 구조물의 목적 공간의 형성 - 건축 구조물, 토목 구조물 : 사용성의 차이 구조물의 하중(자중) : 필연적 요소 작용하는 모든 하중에 저항할 수 있어야 한다. 하중의 형태는 복잡하고 다양하다. 건축물의 형태, 재료,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작용시간에 따른 분류 동 하중 (dynamic load) - 바람, 지진 정하중 (static load) - 동하중 이외의 모든 하중 시간에 따라 급격하게 변하지 않는 하중 작용방향에 따른 분류 중력(vertical load)- 고정하중, 적재하중, 시공하중 등 수평하중 - 바람, 지진, 토압, 수압 등 기타 - 열하중 건축물의 하중산정 방법 기준법 (code)-통계적 방법 바닥판 하중 - 단위면적당 일정치수의 무게 (kg.. 2022. 3. 19.
아일랜드 더블린 발리문 도시재생 연쇄형 지역재생사업 도시 재생 사업 신도시 위주의 도시 확장에 따라 발생하는 도심 공동화를 극복하고 침체된 도시 경제를 개선하기 위해 물리, 환경적으로뿐만 아니라 산업 경제적, 사회 문화적으로 도시를 다시 활성화하는 것입니다.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의 문제로 유명무실해진 뉴타운 사업을 대체해 낙후된 도심의 기능을 재활시킬 수단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지역 특성에 따라 도시 경제 기반형과 근린형 재생 2가지로 구분돼 추진됩니다. 도시 경제 기반형 재생은 노후 산업단지, 향만 등 핵심 시설 등을 주변 지역과 연계해 복합 정비, 개발함으로써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와 고용 창출이 가능한 곳에 지정된다. 역세권 개발, 공공 청사와 군부대 등 이전지 복합 활용, 문화 관광 자산 활용 등도 여기에 해당됩니다. 근린형 재생은 기존 재개발 .. 2022. 3. 17.
건축과 환경 - 친환경 건축(기후, 건축내부환경,환경조절방법,환경친화건축) 기후(일반기후, Macroclimate) 기상요소 1. 기상요소 differential heating과 자전 적도, 런던, 러시아 : rainy vs 사막 권계면 전향력 2. 지리요소 A. 위도 왜 지구는 적도가 아닌 열대지방에서 가장 뜨거운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건조한 공기의 습한 열과 차이에 있다. 적도에 떨어지는 햇빛은 적도 지역에 구름 형성을 돕는 상승 기류를 생성하며, 그 후 비와 뇌우를 일으킵니다. 이것이 적도에 놓여지는 지역들이 더 낮은 온도를 경험하고, 지구상에서 가장 덥지 않은 이유입니다. B. 토양의 열용량 C. 육지와 수원의 면적비 해륙풍 : 낮에는 육지가 빨리가열 - 저기압 - 바닷바람 계절풍 3. 지형요소 A. 해발고도 B. 푄현상 높은 산을 넘어온 고온 건조한 바람이 부는 현.. 2022. 3. 14.
건축 콘크리트 프리텐션과 포스트텐션 차이점 포스트텐션 구조 개요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의 약 8~14% 정도 상향력 및 축박향 압축력 도입으로 인장응력 감소 콘크리트의 낮은 인장강도 때문에 초기하중 재하단계에서부터 휨균열발생 휨, 전단, 비틀림 등 구조 성능이 향상 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상쇄된 하중만큼 처짐감소 프리텐션과 포스트텐션 비교 건축에서 활용이 되고 있는 재료인 콘크리트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이 중 프리텐션 콘크리트와 포트스텐션 방식의 콘크리트에 대해서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PS강재 긴장시기, 작업순서, 프리스트레스 도입 방식, 공법,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비교를 통해서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고 post-tension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부착식과 미부착식에 차이점을 비교 해보겠습니다. pre-tension & post-tension.. 2022. 3. 13.
친환경 건축재료의 종류 특성과 건축재료의 재활용 사례 친환경건축자재의 정의 친환경 건축 자재는 순수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재료라고 착각하기 쉬운데 친환경 건축자재를 알아보면 1. 재사용이 가능 2. 재활용이 가능 3. 재생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을 정의하는 말이다. 디자인적 관점으로는 천연 및 자연미 형성을, 건강의 측면에서는 새집 증후군 등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유기 소재 사용 자연재료와 환경친화(생태)재료로 구분된다. 자연재료: 주로 대지 주변에서 천연재료를 얻어 생태주택에 사용하며 자연 상태의 가공되지 않은 흙, 나무, 돌 등. 생태 및 환경조절 측면 이외에도 거주자에게 심리적인 친밀감과 안정감을 유도하여 쾌적성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친환경성 재료 : 환경조절기능 측면에서 고에너지 효율을 가진 좋은 내구성과 재활용이 용이한 재료. 주로 도심 내의 주.. 2022. 3. 9.
일본사회와 문화 - 일본의 교통과 건축 ( 中 2편 건축 ) III. 일본의 건축 III.1 일본 건축의 발전 역사적으로 일본의 건축은 중국의 영향을 받았지만 중국의 건축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입니다. 겉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인 차이점으로는 중국의 건물들은 외부 목재에 그림이 그려져 있으나, 일본의 건물에서는 그림이 그려져 있지 않습니다. 일본 건축이 발전할 수 있었던 자연적인 요인은 일본이 태영양 서쪽 연변에 위치하고 있으나 동아시아 대륙과 가까워 옛날부터 한반도와 중국대륙의 문화는 계속해서 일본에 전파되었습니다. 중국대륙과 한반도는 잦은 침략으로 고대 건축문화재가 많이 소실된 반면 일본은 자연적으로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자연적인 방어를 받는 섬나라로 세계 2차 대전 이전까지 외세에 의한 국토의 침략을 전혀 받지 않아 고대의 목조건축을 수 많이 보존하고 있.. 2022. 3. 8.
일본사회와 문화 - 일본의 교통과 건축 ( 中 1편-교통 ) Ⅰ. 일본에 대해서 일본을 알아가며 - 우선 지금까지 일본의 주요도시 후쿠오카, 오사카, 도쿄를 여행을 다녀온 경험을 한 뒤, 먹을것들과 교통편, 그리고 건축물에 대한 기억이 많이 남았습니다. 우선 전철과 신칸센을 두루 포함하고 있는 일본의 교통에 대해서 주제를 잡고 교통의 종류, 교통문화, 한국과의 차이 점 등을 다루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일본의 건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일본의 교통에는 크게 도로교통, 철도교통, 해상교통, 항공교통으로 나눌 수 있는데 본론으로 넘어가서 첫 번째로 일본의 도로교통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I. 일본의 교통 II. 1 도로교통 도로교통이라는 것은 무엇일까? 먼저 일본 도로교통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자. 2014 4월 기준, 일본 국내 도로의 실연장거리.. 2022.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