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공동주택 아파트 설계 - 발전기실, 전기실, 온수난방실, 저수조 실제 내부 모습은?

by Clover Marketer 2024. 9. 11.

공동주택 아파트 설계 - 발전기실, 전기실, 온수난방실, 저수조 실제 내부 모습

대학교에서 전공을 선택하고 건축학과를 나와, 건축사사무소를 다니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설계쪽 업무를 진행하면서 공동주택의 발전기실, 전기실, 저수조 등을 지하층에 배치를 해놓고 구조, 기계, 전기 등 협력업체를 통해서 설계를 진행을 하지만 실제로 시공이 된 내부 모습은 보기 어려운 사실이죠. 인터넷에 검색을 해서 일부 확인을 할 수 있을 뿐 정말 내가 설계한 모습에 대해 어떤식으로 만들어질지 모습을 알기 어려우니까요.

 

 

특히 발전기실, 전기실 층고 차이와 층고 높이에 대해서 설계를 할때 꼭 고려하셔야 하는 부분이죠. 캐드에서 나와있는 기기의 모습이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했는데.

 

 

 

저는 이번에 준공 완료 직전의 공동주택 아파트 지하부분에서 실제로 설계 후 현장 검토를 할 수 있었습니다.

 

 

기계의 모습과 함께 어떤식으로 연결이 되는지 이런 세부적인 모습 하나 하나를 알고 있어야, 건축설계를 진행할때 고려할 부분을 놓치지 않고 계획할 수 있잖아요.

 

 

용량에 따라서 물론 규모와 크기가 달라지겠지만, 그냥 간단하게 캐드로만 계획할때와 다르게 정말 생각보다 규모가 크고 큰 기기들이 들어가더라구요.

 

지역난방으로 급냉수를 공급하는 아파트의 경우에는 이렇게 일반 온수, 냉수, 급수 등 다양한 파이프로 구분이 되고 색이 다르게 되어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용량에 따라서 기계가 다르고, 기계의 수압이 다르게 되어있습니다.

 

층수가 높은 곳은 강한 힘이 필요하죠. 그렇기 때문에 저층에 공급되는 기기와 고층에 공급되는 기기가 다르고 얼마나 간격이 넓게 배치가 되는지 정도를 알아야 배치를 할 수 있으니까요.

 

 

특히 저수조의 경우에는 층고가 높고 안에 내부는 조금 신기한 모습으로 되어있습니다. 특히 마감을 하지 않기 때문에 내부에 아무 내부 인테리어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일반적으로 외부인에게 노출이 될 일도 없으니까요.

안에는 물이 가득 차 있고 이 물을 밖으로 호수를 통해서 사용을 한다고 하니까. 실제로 건축사사무소 다니면서 몇 번을 설계했던 모습인데 이렇게 직접 보면 조금 느낌이 다른거 같습니다.

고압이 흐를 수 있는 전기 기기는 조심을 해야겠죠? 궁금해도 막 만지거나 하면 안됩니다.  전기실 역시 기기가 이렇게 놓여있고 물이 들어 올 수 있기 때문에 층고 높이가 더 높아야합니다.

이렇게 직접 공동주택 아파트 지하공간을 직접 설계를 진행하더라도 보기 어려운 아파트 전기실, 발전기실, 저수조, 난방 등등 다양한 공간을 준공이 된 현장을 토대로 보았는데요. 설계를 하면서 궁금했던 기기와 배치 등에 대해서 확인해보고 건축을 진행하면 어떨까요? 모두들 어려운 건축 설계, 조금 더 알고 진행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