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계 전기 EPS/TPS실 설치기준
EPS/TPS실 설치기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건축을 하다보면 전기, 기계, 구조, 조경 등 다양한 협력 내용을 알면 더 좋은데요. 공동주택의 재건축 및 리모델링을 담당하고 있는 기초 건축가라면 알아두면 좋습니다. 일상에서도 볼 수 있는 EPS/TPS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EPS/TPS실은 전기 및 통신 설비의 배관과 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에요. EPS실은 전기 설비를 위한 공간이고, TPS실은 통신 설비를 위한 공간이에요.
EPS/TPS실 설치 기준
EPS/TPS실 설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건축적 고려사항
- EPS와 TPS는 용도별로 구분 설치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장비나 배선이 적은 경우 공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EPS/TPS는 각 층마다 같은 위치에 설치해야 합니다.
- EPS/TPS면적은 보, 기둥부분을 제외하고 선정해야 합니다.
- 점검구는 유지보수 및 기기 반입 반출이 가능하도록 90cm 이상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 면적 산정
- EPS/TPS 면적은 내부에 설치되는 기기, 케이블 포설 공간 이외에 증설, 유지, 보수를 위한 공간이 필요합니다.
- 기기 1열 포설일 경우 기기와 벽간 1.2m 간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 기기 2열 포설일 경우 기기와 기기간 1.2m 간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EPS/TPS실 도면 작성 시 유의사항
- EPS/TPS실에는 내력벽으로 설치하여야 합니다.
EPS/TPS실에 입상되는 트레이는 내화충전재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 EPS/TPS실은 소방시설을 적용해야 합니다. 단, 배관 등 시설물을 제외한 공간의 크기가 가로, 세로, 높이 각각 1.2m 미만인 경우 소방시설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추가 내용
- EPS/TPS실은 건축물의 핵심 설비를 위한 공간이기 때문에, 설치 시 건축과 전기/통신 설비 분야의 협력이 중요합니다.
- EPS/TPS실의 면적은 건축물의 규모, 전기/통신 설비의 규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축물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면적을 산정해야 합니다.
EPS/TPS실 설치 시 유의사항
EPS/TPS실 설치 시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해야 합니다.
- EPS/TPS실은 건축물의 핵심 설비를 위한 공간이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내력벽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 EPS/TPS실에 설치되는 기기는 화재를 유발할 수 있는 만큼, 내화충전재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 EPS/TPS실은 화재 발생 시 연기와 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소방시설을 적용해야 합니다.
EPS/TPS실은 건축물의 전기 및 통신 설비를 위해 중요한 공간입니다. 설치 시 건축과 전기/통신 설비 분야의 협력 하에 안전과 기능을 고려하여 적절한 면적을 산정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EPS 및 TPS실 설치 기준에 대한 추가적인 내용
EPS 및 TPS실은 건축물의 전기 및 통신 설비를 위한 중요한 공간입니다. 따라서 설치 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EPS 및 TPS실의 기능
EPS 및 TPS실은 전기 및 통신 설비의 배관과 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해야 합니다.
* 전기 및 통신 설비의 원활한 설치 및 유지보수
* 화재 발생 시 연기와 가스의 확산 방지
* 전기 및 통신 설비의 안전한 운용
- EPS 및 TPS실의 위치
EPS 및 TPS실은 각 층마다 같은 위치에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전기 및 통신 설비의 효율적인 유지보수를 위해 중요합니다. 또한, EPS 및 TPS실은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보안 및 안전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외부에 설치하는 경우 공간 활용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 EPS 및 TPS실의 면적
EPS 및 TPS실의 면적은 건축물의 규모, 전기 및 통신 설비의 규모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건축물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면적을 산정해야 합니다. EPS 및 TPS실의 면적을 산정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설치되는 기기의 크기 및 종류
* 케이블의 양 및 종류
* 유지보수 및 점검을 위한 공간
- EPS 및 TPS실의 구조
EPS 및 TPS실은 내력벽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건축물의 안전을 위해 중요합니다. 또한, EPS 및 TPS실에 입상되는 트레이는 내화충전재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연기와 가스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 EPS 및 TPS실의 소방시설
EPS 및 TPS실은 소방시설을 적용해야 합니다. 단, 배관 등 시설물을 제외한 공간의 크기가 가로, 세로, 높이 각각 1.2m 미만인 경우 소방시설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EPS 및 TPS실 설치 기준에 대한 추가적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EPS 및 TPS실 설치 기준에 대한 추가적인 내용
EPS 및 TPS실은 건축물의 전기 및 통신 설비를 위한 중요한 공간입니다. 따라서 설치 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EPS 및 TPS실의 기능
EPS 및 TPS실은 전기 및 통신 설비의 배관과 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해야 합니다.
* 전기 및 통신 설비의 원활한 설치 및 유지보수
* 화재 발생 시 연기와 가스의 확산 방지
* 전기 및 통신 설비의 안전한 운용
- EPS 및 TPS실의 위치
EPS 및 TPS실은 각 층마다 같은 위치에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전기 및 통신 설비의 효율적인 유지보수를 위해 중요합니다. 또한, EPS 및 TPS실은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보안 및 안전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외부에 설치하는 경우 공간 활용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 EPS 및 TPS실의 면적
EPS 및 TPS실의 면적은 건축물의 규모, 전기 및 통신 설비의 규모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건축물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면적을 산정해야 합니다. EPS 및 TPS실의 면적을 산정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설치되는 기기의 크기 및 종류
* 케이블의 양 및 종류
* 유지보수 및 점검을 위한 공간
- EPS 및 TPS실의 구조
EPS 및 TPS실은 내력벽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건축물의 안전을 위해 중요합니다. 또한, EPS 및 TPS실에 입상되는 트레이는 내화충전재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연기와 가스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 EPS 및 TPS실의 소방시설
EPS 및 TPS실은 소방시설을 적용해야 합니다. 단, 배관 등 시설물을 제외한 공간의 크기가 가로, 세로, 높이 각각 1.2m 미만인 경우 소방시설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EPS 및 TPS실 설치 기준에 대한 추가적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EPS 및 TPS실은 건축물의 핵심 설비를 위한 공간이기 때문에, 설치 시 건축, 전기, 통신 분야의 협력이 중요합니다.
- EPS 및 TPS실의 면적은 건축물의 규모, 전기 및 통신 설비의 규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축물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면적을 산정해야 합니다.
- EPS 및 TPS실은 건축물의 안전과 화재 예방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설치 시 안전과 기능을 고려하여 적절한 기준을 준수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피스텔 건축기준 일부개정고시안 -국토교통부 (건축정책관) (1) | 2024.02.27 |
---|---|
서울특별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개정 고시 및 서울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질의답변 (0) | 2024.02.22 |
엘리베이트의 역사와 세계 최초의 엘리베이터와 오티스 승강기 (1) | 2024.02.06 |
장애인 노인 임산부를 위한 편의시설 - 장애인 화장실 사이즈 및 계단 손잡이 (1) | 2024.02.05 |
국토교통부 질의회신 민원 신청방법 (1) | 2024.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