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 철거공사 시 안전관리
기존 건축물의 구조안전 확인
철거예정 건축물은 지상과 지하의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안전을 위해 철거장비 설치위치, 인력관리, 인접지 피해방지, 안전관리 등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여 철거를 진행하여야 해요.
철거 전 안전관리에 대한 철저한 계획 수입 필요!
지중 또는 지상에 설치된 지장물 유무 확인
지중에 설치된 가스관 및 매설된 각종 건축설비와 지상에 설치된 전신주 등을 확인해야 해요.
상, 하수관, 전기, 가스관 등 안전확인
철거건축물에 석면이 존재하는지도 살펴야 해요.
- 철거 전 석면 존재 여부 조사
- 공사 기간 동안 석면 감리자 상주
- 특수 폐기물 처리업체에 의한 철거 공사
- 석면 철거 공사의 관할청 신고
이웃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분진 예방 조치
- 소음 예방 조치
- 교통 혼잡 예방 조치
- 주변 건축물에 대한 안전 예방 조치
건축물 철거 신고는 철거예정일 7일 전까지 신고해야 해요.
- 구비서류는 건축물 철거신고서, 해체공사계획서, 석면조사결과서가 필요해요.
피해 예방
부동산 매입 전에 건축관련 전문가(건축사 등)와 상담하세요.
- 매입 예정지가 건축 가능한지를 확인 #받을 수 있어요.
- 건축물이 관계법령에 적합한지를 확인 받을 수 있어요.
건축행정 절차 준수
- 건축법에서 정한 절차를 준수하여야만 건축물의 안전, 기능, 품질 등이 확보될 수 있어요.
- 사용승인 이후 재산권의 확보를 위해서는 부동산 등기를 해야 해요.
건설업체와 도급공사계약을 체결하세요.
- 공사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산재안전 사고에 대비할 수 있어요.
- 건축물에 하자 발생 시 하자 담보 책임을 보장 받을 수 있어요.
- 책임시공을 통해 부실공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요.
건축물 유지관리에 힘쓰세요.
- 건축물의 노후화로 인한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요.
- 건축물의 기능, 구조, 공조환경 등을 회복할 수 있게 되어 건축물의 가치가 향상됩니다.
728x90
그리드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돌 쌓기 (석재 마감 공법) - 외양에 의한 유형 (0) | 2023.04.14 |
---|---|
지진에 안전한 건축물(내진설계), 건축문화 주요행사, 건축사의 정의 및 역할 (0) | 2023.04.13 |
건축 착공신고, 건축물의 사용승인, 건축물 유지관리 점검, 건축물의 공사감리 및 공사감리 대상 건축물의 정의 (0) | 2023.04.11 |
건축 용도변경허가 - 가설건축물 축조신고, 가설건축물 건축허가 등 (0) | 2023.04.10 |
건축 대수선신고, 허가 건축대수선 정의 및 행정절차 (0) | 2023.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