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건축 돌 쌓기 (석재 마감 공법) - 외양에 의한 유형

by Clover Marketer 2023. 4. 14.

건축 돌 쌓기 (석재 마감 공법)

 

외양에 의한 유형

유형 공법 방식 석재형태
외양에 의한
유형
막돌쌓기
(rubble masonry)
막돌 모자이크쌓기(mosaic rubble) 자연석
막돌 허튼층쌓기(uncoursed rubble)
막돌 바른층쌓기(coursed rubble)
다듬돌쌓기
(ashlar masonry)
다듬돌 허튼층쌓기(broken range ashlar) 다듬은
자연석
다듬돌 완자쌓기(random range ashlar)
다듬돌 바른층쌓기(range ashlar)
석재 설치
(stone cladding)
모르타르에 의한 설치 가공된
석재
연결재에 의한 설치
트러스에 의한 설치

 

 

 

 

외향에 의한 유형

막돌 쌓기 - 석재형태 (자연석)

막돌 쌓기는 [석재 형태로는 자연석을 사용] 자연 그대로 가공되지 않는 돌 쌓기

 

막돌 허튼층 쌓기

불규칙한 돌을 사용하여 가로, 세로줄눈이 일정하지 않게 흐트려 쌓는 방법, 막 쌓기

 

 

사례 

 

극와고택

막돌 허튼층 쌓기 한 기단의 부드러운 안채

  • 문화재지정 : 경북문화재자료 제354호
  • 소재지 : 경북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387

 

봉정사 대웅전

자연석의 막돌 허튼층 쌓기의 기단 위에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단층건물이다.

  • 문화재지정 : 국보 제311호
  •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태장리) 봉정사

 

 

 

 

막돌 바른층 쌓기

돌 쌓기의 일종으로 돌의 면 높이를 같게 하여 가로줄 눈이 일직선이 되도록 쌓는 방법, 켜 쌓기, 자연석 보다는 다듬돌 쌓기에서 많이 볼 수 있어요.

 

막돌 바른층 사례 - 개암사 산신각 [전북 부안]

  • 산신각은 막돌 바른층쌓기로 조성한 높다란 축대 위에 막돌초석을 얹고 두리기둥과 주심포로 구성하였다.
  • 소재지: 전북 부안

 

막돌 바른층 사례 - 근산사 미륵전 측면기단

  • 문화재지정 : 국보 제62호
  • 소재지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금산사

 

 

 

 

 

다듬돌 쌓기 석재형태 (다듬은 자연석)

 

 

다듬돌 허튼층 쌓기

다양한 크기로 다듬은 석재를 열 바르지 않게 쌓는 방법, 가공석 허튼층쌓기 완자 쌓기와도 같은 의미로 쓰인다.

 

다듬돌 허튼층 사례 - 도동서원 강당

  • 문화재지정 : 사적 제488호 
  • 소재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35

 

다듬돌 바른층 쌓기

비슷한 크기의 돌을 층을 두어 가며 켜켜이 쌓는 방식 자연석 보다는 다듬석 쌓기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바른 층 쌓기 - 켜 쌓기

바른 층 쌓기의 종류로 수평 줄 눈이 동일한 높이의 직선으로 되는 돌 쌓기. 외관은 보기 좋지만 돌의 크기가 균일해야 되므로 비용이 많이 든다.

 

다듬돌 바른층 사례 - 도산서원 전교당

  • 문화재지정 : 보물 제210호 
  •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도산서원길 154(토계리 680)

 

다듬돌 바른층 - 고원희 가옥

  • 문화재지정 : 광주문화재자료 제8호
  • 소재지 : 광주광역시 남구 압촌길 78 (압촌동 101-1)

 

 

 

728x9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