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의 정착과 이음
개요
- 철근콘크리트 부재 : 철근과 콘크리트가 일체화되어 부재강도를 발휘
- 철근과 콘크리트는 이종재료 : 일체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완전한 부착이 필요
부착작용의 역할
휨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보 : 압축응력 - 콘크리트가 저항, 인장응력 - 인장철근이 저항
인장응력을 철근에 전달하는 작용 - 부착력
- 부착응력 : 철근과 철근을 둘러싼 주위 콘크리트사이의 전단응력
- 부착응력을 초과시 부착파괴가 일어나는데 강도설계법에서는 부착파괴가 발생하기 전에 철근이 항복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 고강도 철근의 사용 : 부착 거동이 중요한 설계오소 중에 하나로 작용함
부착의 기본
휨에 의한 부착응력
(1) 평균 부착응력
dT = dM/jd, dT = (πdb)u * dx
평균 부착응력 / 부착응력의 분포 / 보의 휨균열에 의한 철근 인장력의 변화
쪼갬부착파괴의 유형
- 폭이 좁은 보
- 폭이 넓은 보
- 조밀하게 배근된 보
정착길이
부착강도와 정착길이
- 콘크리트에 묻혀 있는 철근의 부착응력은 길이에 따라 일정치 않으므로 설계기준에서는 부착응력보다 정착길이 개념이 채택되고 있다.
- 정착길이(Development length): 콘크리트에 묻힌 철근이 뽑히거나 미끄러지지 않고 철근의 인장항복에 이르기까지 응력을 발휘할 수 있는 최소묻힘 길이 l
철근의 장착
콘트리트에 묻힌 철근의 인장강도 = Ab fy
Abfy = ua *id * π * db
πdb2 / 4 *fy = ua * id * π * db
id = dbfy / 4ua
ua : 보의 부착파괴시 극한 부착응력의 평균값이며, 쪼갬 부착파괴시 부착강도는 쪼갬 인장 강도와 관련을 가지고 있어 Ua는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철근의 크기와 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등 모든 철근콘크리트 부재가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요소들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정착길이를 의미하며, 이를 기본 정착길이 (l db)라고 한다. 기본 정착길이에 이 보정계수를 곱한 것을 철근의 정착길이로 한다.
인장을 받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 인장을 받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를 산정하는 방법은 식에 의거하여 기본정착길이 l db에 보정계수를 곱하여 계산되는 값 중 큰 값으로 하되 최소 30cm 이상이어야 한다.
철근의 정착과 이음
- α, β, r, λ, Ktr은 다음에 의해 결정된다.
- 1 α : 수평철근의 위치계수
상부근 (30cm 두께 이상의 콘크리트가 정착철근 아래에 타설된 경우) : 1.3 기타철근 : 1.0 - 2 β : 에폭시 도막계수 : (단 αβ ≤ 1.7)
3 db미만의 피복 또는 6 db미만의 순 간격으로 배근된 에폭시 도막철근 또는 철선 : 1.5 - 기타 에폭시 도막철근 또는 철선 : 1.2 도막되지 않은 순수철근 : 1.0
- 3 r : 철근 또는 철선의 크기 계수 D19 이하의 철근, 이형철선 : 0.8 D22 이상의 철근 : 1.0
- 4 경량 콘크리트 계수 ㅅ(기준 3.4.4)
- fsp가 주어지지 않은 경우 λ=0.75 : 전경량콘크리트 , λ=0.85 : 모래경량콘크리트
- fsp가 주어진 경우 λ fsp/0.56 루트fck < 1.0
Ku : 횡방향 철근지수 Ku = Atr fyt / 10.7sn
- Atr:잠재 쪼갬균열 예상면을 가로지르는 횡방향철근의 전체 단면적
- fyt : 횡방향철근의 설계기준 항복강도
- s : l d 구간내에 있는 횡방향철근의 최대 중심간격
- n: 쪼갬면을 따라 정착되거나 이어지는 철근 또는 철선의 수
- 횡방향철근이 배근된 간략한 설계시 Ktr = 0 으로 할 수 있다.
- fck >= 70MPa인 경우 콘크리트의 부착강도가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으므로 루트fck <= 8.4MPa로 제한한다.
- c : 철근간격 또는 피복두께에 관련된 치수
- 철근중심에서 피복표면까지의 최단거리
- 정착철근, 철선의 중심간 배근간격의 1/2중 작은 값
728x90
그리드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의 유권해석 [ 층의 높이가 다른 층고 산정방법 / 건축 피난, 방화규칙 건축자재 및 내화구조 품질인정 / 장애인 편의시설 기준적용] (2) | 2022.10.05 |
---|---|
건축법 가로구역 내 높이 완화 규정 중첩적용 / 건축자재 및 내화구조 품질인정 등 [개정법 / 건축 피난 / 방화규칙] / 역세권 복합개발 지구단위계획 용적률완화 [개정법/약칭/국계법] (2) | 2022.10.04 |
건축법 - 경사지 드라이에어리, 피난/보행거리 초과(위반사례),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성능지표 조정 및 예외조항 신설 (0) | 2022.09.30 |
단지계획 도시 집합주택 디자인, 공동주택단지의 문제점 (0) | 2022.09.29 |
건축 필로티 구조 범위 & 드라이에어리 부분 층간방화 대상 & 방화성능 유리 구분 (1) | 2022.09.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