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주택 디자인의 3대 패러다임
공간에서 장소로
- 공간 : 근대 공간 작법에 만들어진 공간들은 경제적 합리성에 따라 배열하는 행위에 머뭄, 그 위에 놓이는 놓이는 장소적 속성에 따라 다른 삶을 담는 고유성과 독자성이 있어야 한다.
- 장소 : 외부적으로 다른것과 연관된 맥락 속에서 존재할 수 있으며, 그 자신의 질서를 갖는 독특한 실체이자 보다 큰 지역의 한 부분으로서 국지화하는 동시에 역사적, 문화적 흐름 속에서 만들어지고, 변화하며 또 소멸하는 것
기능에서 사건으로
- 생활의 질과 풍요로운 생활을 영위해야함
- 3차 생활공간의 형성
- 일상 공간의 관계망 구성 : 단지주거 주거동, 단지 내 옥외공간, 도시공간의 연예와 중첩
성장에서 지속으로
- 거주환경의 건강성과 쾌적성 < 주택이 놓이는 곳의 자연과 인문환경 등 다양한 환경이 공존하는 주거환경 네트워크 구축이 사회적, 물리적으로 요구된다.
도시 집합주택의 공간체계 구성개념
한국의 도시경관 - 7가지
- 풍수지리설의 영향
- 산이 경고나의 지배적 요소
- 주택의 품질과 생활의 질 보장보다는 양적 촉진을 목표
- 도시환경이나 지역 특성을 도외시 : 고층고밀 아파트 건립, 경관의 부조화 유발
- 잦은 이사와 이동선호 경향 : 주거의 장소성 문제야기
- 편리한 생활양식, 생활의 인스턴트화, 편의주의적 사고유발, 인간 형태의 소시민화
- 획일적인 환경으로 이웃관계 결여, 공동체의식의 결여
한국의 도시경관에서 한국성 찾기
- 한국적인 정체성과 보편성을 찾기
- 우리 건축의 한국성, 우리 도시의 한국성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이 요구
- 전통적 자아와 근대적 자아의 균형적 상호작용
- 우리 도시공간의 이원성 찾기 - 일곱 개의 듀엣
- 지방문화와 중앙문화
- 길과 광장 : 길은 road, 교통의 도로와 street 생활 기능적인 가로
- 큰 길과 뒷 길
- 상업적인 것과 전통적(과거의 흔적)인 것
- 근대적인 것과 전 근대적인 것
- 모방과 창조
- 외래 이식문화와 국내 고유문화
경쟁적 이기주의 > 생태적 공생주의
생명 + 문화 > 21세기 우리 경관의 패러다임
전통도시의 생태원리, 삼원적 구조 : 풍양오행의 순환체계
전통 - 현대 연속성 : 7대 인자 공간 모형
대기순환, 지표순환, 지하순환 > 사람
현대 생태도시의 계획모형, 계획영역항목, 계획지표
- 이념 : 지속 가능성
- 물과 바람, 생태녹지, 에너지, 어메니티(편의시설), 환경 및 폐기물 토지이용 교통통신
주거단지유형
- 혼합형 주택단지 : 단독주택과 연립주택 또는 연립주택과 아파트가 하나의 단지로 혼합된 형태(다양한 변화감 창출)
- 복합형 주택단지 : 하나의 대지나 단지 안에 주거와 상업, 의무, 문화 등의 여러 기능을 평면적 또는 체적으로 복합
개발주체
- 제1 공공개발 :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이 대규모 토지를 소유한 후 직접개발(실수요자에게 분양 또는 임대하는 개발방식)
- 제2 민간개발 : 민간이 개발이 이익을 얻기 위해 시행하는 개발사업(개발의 주체가 정부 및 공공단체라 하더라도 토지의 소유권이 민간에게 존속)
- 제3 섹터개발 : 공공과 민간이 공통회사 설립에 의한 제3 섹터와 같은 혼합방식(공공이 시행주체이면 실제 사업은 민간 사업자에게 위탁하여 시행하는 위탁개발방식)
공동주택 단지의 이점 -3가지
- 개방적인 공동생활을 통한 개개인의 이익추구
- 다양한 생활편익시설 및 활동공간의 공유
- 다양한 공간적, 사회적 경험을 통한 주민 상호간의 공동체 의식 제고
공동주택단지의 문제점 - 4가지
- 학교, 공원 등 생활기반시설 부족
- 경관과 부조화
- 보행환경 악화
- 조망권 및 일조권 침해의 문제를 해결해야 함
공동주택의 이점확대 > 문제점 및 과제개선 > 단지계획의 개선방향확인
공동주택 단지의 계획의 방향 -9가지
- 설득력있는 공간 창조와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한 디자인
- 인구에 알맞은 적정한 단위규모 설정 및 시설 배치
- 보행동성 네트워트의 형성 - 교차분리요망
- 다양한 주택형식과 건물 배치 - 경관을 다양한게 구성, 도로에서 멀어질수록 건물이 높아지도록 배치(스카이라인)
- 자연 및 주변 환경과의 조화
- 외부공간의 개방성 확보
- 충분한 주차, 녹지공간 확보
- 저에너지 친환경 설계요소 도입
- 사회적 약자를 위한 공간 및 시설확보와 유니버셜 디자인
- 정보화에 대응(유비쿼터스홈)
728x90
그리드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구조 - 철근의 정착과 이음 (2) | 2022.09.30 |
---|---|
건축법 - 경사지 드라이에어리, 피난/보행거리 초과(위반사례),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성능지표 조정 및 예외조항 신설 (0) | 2022.09.30 |
건축 필로티 구조 범위 & 드라이에어리 부분 층간방화 대상 & 방화성능 유리 구분 (1) | 2022.09.29 |
리모델링 법규 및 절차 [리모델링과 재건축 비교] (0) | 2022.09.28 |
건축행정 사례 ( 빗물저류조 설치 다른 기준의 적용 사례 & 층간바닥 및 발코니 외측장 단열기준 & 비상발전기 내 배수펌프 설치 여부 & 감시창) (0) | 2022.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