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헤르초크 & 드 뫼론 건축 작품

by Clover Marketer 2022. 9. 19.

헤르초크 & 드 뫼론 건축 작품 경향

  • 건물의 구조와 재료의 물성을 바탕으로 한 실험정신
  • 물질적 구축을 통한 비물질적 개념을 표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
  • 표피는 프로젝트의 근원으로써 가장 중요한 건축적 요소
  • 외피를 통한 물질의 재해석과 변용

즉, 이들의 건축은 외피의 구성 (재료의 쓰임)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작품분류

Material  /   pattern   /   Form

Material

  • Remy Zaugg studio, 1996
  • Dominus Winery in Napa valley, 1996
  • Rehab Basel, 2001
  • Prada Tokyo shop and offices, 2003

 



 

Pattern

  • Ricola - Europe Factory & Storage Building, 1993
  • Eberswalde 기술학교 도서관, 1996
  • New de young Museum, 2005
  • santa cruz de tenerife

Form

  • Biblioteca BTU cottbus
  • New de young Museum, 2005
  • Forum 2004, 빌딩과 광장, 2004
  • Walker 예술 센터 증축안, 2005

 

재료로서의 건축

레미자우그 스튜디오

재료에 나타나는 표현 특징

  • 내부 : Remy zaugg studio의 내부에서는 유리의 재료의 재료를 통한 비물성화를 드러냄
  • 외부
  • 외부 벽은 콘크리트의 물성을 그대로 표현
  • 주변의 환경을 고려한 재료의 선택과 지역성을 강조
  • 측면 벽은 빗물이 흘러내리면서 벽의 재료에서 시간성과 재료의 표현 언어를 읽을 수 있다.

 

도미누스 와인 제조장

재료에 나타나는 표현 특징

  • 내부 : 빛이 유입되는 실내 벽은 진동하는 빛과 그림자로 이루어진 자연스러운 스크린으로 전환하고 이를 강조한다. 그리고 내부에서 바라본 자연은 자연적인 것과 인공적인 것의 경계성을 표현한다.
  • 외부 : 기후 조건에 따라 구조물인 축대의 배치가 보이고, 지역에서 나는 녹색과 검정색의 현무암을 사용한 것을 볼 수 있다.

 

재활치료센터

재료에 나타나는 표현 특징

  • 내부 : 중정 안에는 밭이 있고 연속적인 발코니를 갖고 있다. 내부 재료로는 목재를 사용하였으며 수평적인 격자를 사용하였다.
  • 외부 : 지붕의 형태는 hebelstrasse의 주거건물에서 보았던 베란다와 돌출된 지붕과 비슷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외부에서 전경을 바라보노라면 무의식적인 시간의 흐름과 재료에서 지역주의적인 경향의 느낌이 들도록 하였다.

 

도쿄 프라다 샵

재료에 나타나는 표현 특징

  • 표피 건축으로서 요철 면과 평탄한 면의 유리들을 다양하게 배치
  • 서로 다른 기하학적 조각으로 나누어 반사되는 재료의 특성

 

 

재료에 있어 콘크리트, 유리, 나무 등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평범한 재료들을 사용하여 건축물이 보다 풍요롭고 활기차게 표현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단지 목적을 위해서 새로운 것을 실험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친숙한 재료에서 숨겨진 내면적 성질을 찾고자 하였다.

리콜라 공장

패턴에 나타나는 표현 특징과 영향 받은 조형 예술

표현특징

  • 미니멀한 평면
  • 실크스크린 효과
  • 상징적 기하학
  • 벽지와 같은 반복적인 패턴
  • 단순한 건축구조

영향을 받은 조형 예술

  • 칼 브로스펠트 (Karl blossfeldt)의 식물패턴 & 앤디워홀(Andy warhol)의 실크스크린 효과

 

에베르스발데 기술학교 도서관

패턴에 나타나는 표현 특징과 영향 받은 조형 예술

  • 미니멀한 평면성
  • 상징적 기하학
  • 벽지와 같은 반복적인 패턴
  • 단순한 건축구조
  • 실크스크린효과
  • 영향을 받은 조형예술 : 앤디워홀 (Andy warhol)의 실크스크린 효과

다양한 연구와 실험들을 실질적인 것과 같이 적용시켜 봄으로서 조형적인 의미가 있는 것과 같은 패턴언어를 구사하였다. 감각적이고 자극적인 것이 아닌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지역적, 공간적 목적에 맞도록 계획하였다.

형태에 있어서 그들은 외부환경과 영향, 가능성, 조화로운 배치, 가변성 등을 충분히 고려했음을 알 수 있다.

 

HERZOG & DE MEURON을 함축할 수 있는 건축언어는 재료, 패턴, 형태이다.

외피를 구성하는 재료에 대해 고민함으로써 패턴을 만들어내고 이것이 모여 하나의 구축된 형태를 드러내고 재해석 되는 것이다. 

시대별로 변화되는 과정 속에서 그들의 사라진 언어나 새로운 언어를 발견할 수 있었다는데 큰 의미를 둔다.

HERZOG & DE MEURON은 그들만의 감성을 가지고 새로운 방식으로 끊임없이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728x9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