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모델 작성하기
- 건축모델 작성기준
- 커튼월 작성하기
- 천장 작성하기
- 조적벽
- 창호 작성하기
- 문 작성하기
- 마감벽
- 마감바닥
- 룸
- 일람표
건축 모델 작성 기준
작성기준
- (유형설정)조적벽, 드라이월벽체 작성 - (유형설정) 마감바닥작성 - 창호작성 - 마감벽작성 - (유형설정) 천장작성 - 외부마감작성 - 기타부재작성
- 비내력벽 - 마감바닥, 천장작성 - 개구부작성 - 마감벽작성 - 외부마감작성 - 기타부재작성 - 룸작성 - 통합모델
건축모델작성기준
건축 BIM 모델링 작성 기준
구 분 | 작성기준 |
비내력벽 | 층 기준으로 작성 마감벽체와 분리작성 (두께 없는 마감일 경우 포함 작성) 구조바닥상단레벨에서 상단 구조바닥하부까지 작성 |
바닥 마감 | 실별 작성 구조바닥에서 바닥마감레벨까지 모든 재료를 포함하여 작성 |
내부벽체 마감재 | 마감바닥레벨에서 천장고 +100까지 작성한다. (도면에서 따른다.) 마감벽체의 location 선은 완료 face : interior로 바탕면과 일치시킨다. |
천장 | 실별 작성 최종 마감재만 표현한다 |
외부벽체 마감재 | 재료별 작성 프로파일 편집으로 형태수정 |
커튼월 | 패널과 멀리언 분리 작성 강화유리도어의 경우 분할된 유리패널을 해당문 패밀리로 변경한다. |
문 | 구조벽, 비내력벽을 호스트 벽체로 한다. 하드웨어는 모델링 하지 않는다. |
창호 | 프레임의 형태만 모델링 한다. 구조벽, 비내력벽을 호스트 벽체로 한다. 곡면벽체에 설치되는 창호는 커튼월로 작성한다. 하드웨어는 모델링 하지 않는다. |
커텐박스, 천장몰딩 |
내부 작성 패밀리로 SWEEP으로 작성한다. |
룸 | 층별, 실별 작성한다. 벽체로 구획되지 않는 공간은 룸 구획선을 활용하여 공간을 구분한다. |
커튼월 작성하기
- 패널과 멀리언 분리 작성
- 커튼시스템으로 작성시 Identity Data에 해당레벨을 속성입력
2-1. 커튼월 작성하기
- 프로젝트 탐색기 - 평면 - 01 입구레벨이동
- 건축-빌드 - 벽 - 벽
- 유형선택 : 특성창에서 커튼월 - 외부 유리선택
- 커튼월 작성 - 높이 : 05 옥상
2-2. 커튼 그리드 작성하기
- 리본 건축 - 빌드 - 멀리언
- 옵션 : 리본 수정 : 배치 멀리언 - 장소 - 모든 그리드선 선택
- 커튼월 선택 - 커튼월 그리드에 일괄 멀리언 추가
2-3. 그리드 & 멀리온 삭제하기
- 그리드 선택
- 리본 수정 : 커튼월 그리드 탭 - 커튼월 그리드 - 세그먼트 추가 / 제거
2-4. 커튼패널 패밀리
- 리본 삽입 - 라이브러리에서 로드 - 로드 패밀리
- korea - 커튼월 패널 - 문 - '커튼월 이중 유리. rfa'열기
2-5. 커튼패널 유형 변경
- 문을 넣을 커튼 패널 선택 특성창 유형선택기 - '커튼월 이중 유리' 유형선택
- 문 주위 패널들 선택 - 특성창 - 시스템 패널 ' 솔리드 ' 유형선택
천장 작성하기
- 실별 작성
- 최종 마감재만 표현
- 실의 내부벽체 마감선을 기준으로 스케치 선 선택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 실내재료 마감표와 상세도를 기준으로 유형명을 정의한다.
3-1. 작성뷰 이동
- 프로젝트 탐색기 - 평면 - 01 입구레벨 이동
- 뷰 - 작성 - 콜아웃
- 프로젝트 탐색기 - 평면 - 콜아웃 01 입구레벨 이동
3-2. 뷰이름 변경
- 프로젝트 탐색기 - 평면 - '콜아웃 01 입구레벨' 선택
- 마우스 우측버튼 - 이름 바꾸기 - '천장 부분 인출' 입력
- 뷰 언더레이 설정
- 특성창 - 언더레이 - '02 레벨'
- 옵션바 위치선 - '완료 face: exterior' 선택
- 02 레벨 바닥 모서리 시작 - 5000x5000 사이즈의 벽 작성
3-3. 천장 작성하기
- 뷰 이동 : 프로젝트 탐색기 - 천장 평면s - 01 입구레벨 이동
- 리본 건축 - 빌드 - 천장
- 옵션설정 - 특성창 - 요소 - 요소 유형 - 600x600mm 그리드' 선택
- 작성된 벽 위에서 클릭 - 닫혀있는 공간을 자동으로 인지함
3-4. 단면작성
- 리본 메뉴 : 뷰 - 작성 - 단면도
- 뷰 이동
- 프로젝트 탐색기 - 단면도 (빌드ing 단면도) - 단면도
- 단면 헤드를 더블클릭하여 이동
- 단면범위 조정하기 : 외곽선 선택 후 조절점 드래그
3-5. 벽 높이 변경하기
- 천장 부분 인출 평면에서 tab 키를 누르고 네개의 벽 선택
- 리본 수정 벽 - 요소 -요소 특성창 - 특성창 - 베이스 간격 띄우기 - '2700'입력
3-6. 천장 높이 변경하기
- 천장 선택
- 특성값 변경
- 특성창 - 높이 간격 띄우기 from레벨 - '2700' 입력
3-7. 벽 바닥에 부착하기
- 4개의 벽 선택
- 리본 수정 벽 - 상단 / 베이스 부착
- 옵션바 벽 부착 위치 -상단 선택
- 2층 바닥 선택
3-8. 천장 그리드 위치 이동 (기준점 좌측 하단 정렬)
- 프로젝트 탐색기 - 천장 평면 - 01 입구레벨 이동
- 리본 수정 - edit - 정렬
3-9. 커튼 박스 모델링
- 리본메뉴 : 건축 - 구성요소 - 내부편집 모델링
- 작성 > 스윕 - 경로와 단면 활용 모델링
조적벽
- 층 기준으로 작성
- 마감벽체와 분리작성 (두께 없는 마감일 경우 포함 작성)
- 구조바닥상단레벨에서 상단 구조 바닥하부까지 작성
- 지하층은 무근콘크리트 상단에서 상단 구조바닥 하부까지 작성
- 전체 마감 두께를 하나로 하되 일정두께를 가진 최종마감재 (타일, 석재)는 복합구조로 구분
조적벽 그리기
- 리본 건축 - 빌드 - 벽 - 벽 :건축
- 옵션설정 - 특성창 - 요소 - 요소 유형 선택
- 위치선 : 마감면 : 외부
- 벽 그리기 방향 : 시계방향으로 벽을 작성하면 외부면이 바깥으로 향하게 하여 작성
창호 작성하기
- 프레임 형태만 모델링 한다.
- 구조벽, 비내력벽을 호스트 벽체로 한다.
- 곡면벽체에 설치되는 창호는 커튼월로 작성한다.
1. 창 그리기
- 건축 > 빌드 > 창 > 창직성 벽 클릭
- 유형특성창에서 원하는 유형의 문을 선택 또는 편집하여 배치
- 스페이스바를 활용하여 방향을 조정
- 임시치수를 확인하여 벽체서 떨어진 거리를 미리 확인하면서 배치
- 창 태그삽입은 기본적으로 해제한 상태로 창을 추가
728x90
그리드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환경건축 - 제로에너지건축물 가이드라인 (0) | 2022.06.22 |
---|---|
리모델링 완화법규 - 리모델링 건축 법 완화 (0) | 2022.06.21 |
리모델링 절차도 - 리모델링 사업 절차 순서 방법 (0) | 2022.06.17 |
리모델링 사업과 재건축 정비사업 비교 (0) | 2022.06.16 |
리모델링 개념과 준공사례 [리모델링/재건축] (0) | 2022.06.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