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의 조직과 프로세스
(건축 업무 실무과정 건축사의 단계별 프로세스)
건축설계 프로세스
1 . 기획설계(Pre-Design), 조사연수 및 기획업무 (Research Brief Concept)
업무내용
설계대상인 건축물 부지를 선정하려면 조건에 대한 자료수집 및 조사연구 기획의 업무가 필요해요.
- 부지의 적응조건
- 법령상의 제약조건
- 자연환경상의 조건(토질, 풍향, 일조 등)
- 사회환경조건 (교통, 인구 등)
- 건축물의 배치계획상의 조건
- 시공상의 기술적 조건
설계 대상인 건축물의 용도 및 규모, 건축형식 등 설계상의 기본적인 조건을 확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초적인 조건에 관해 조사연구, 기획 등 업무가 필요함.
- 법령상의 제약조건
- 부지의 입지조건
- 경영채산상의 조건
- 자연적 환경조건
- 사회적 환경조건
- 건축물의 배치계획상의 조건
- 시공상의 기술적 조건
- 측량, 실측, 건축물의 감정 등
설계 대상 건축물이 요하는 공사 예산을 확정하기 위해 필요한 업무로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볼게요.
- 개략적인 설계에 의한 공사비의 계산
- 경영채산상의 조건에 관한 조사연구
- 공사비의 사례에 관한 조사연구
설계 대상인 건축물이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파악하는 업무를 하는것으로 성과도서로는 조사연구 기획보고서, 개력적인 계획도서 등이 있어요.
2. 계획설계(Schematic Design), 중간설계 (Design Development)
가. "계획설계"라함은건축사가제3조의규정에따라서발주자로부터제공된자료와제2항의기획업무내용을참작하여건축물의규모, 예산, 기능, 질, 미관적측면에서설계목표를정하고가능한해법을제시하는단계로서, 디자인개념의설정및연관분야(구조, 기계, 전기, 토목, 조경등을말한다. 이하같다)의기본시스템이검토된계획안을발주자에게제안하여승인을받는단계를말한다.
나. "중간설계(건축법제11조제3항에따른기본설계도서를포함한다. 이하같다)"라함은계획설계내용을구체화하여발전된안을정하고, 실시설계단계에서의변경가능성을최소화하기위해다각적인검토가이루어지는단계로서, 연관분야의시스템확정에따른각종자재, 장비의규모, 용량이구체화된설계도서를작성하여발주자로부터승인을받는단계를말한다.
공공발주사업에 대한 건축사의 업무범위와 대가를 기준으로 개인에 따라서 변형되거나 다를 수 있어요.
계획설계(Schematic Design)
- 건물의 디자인을 나타내는 수준
- 기분 구조, 기본 재료 등이 나타남
- 공간, 실, 프로그램, 사용 / 소유자의 목적 등이 만족되도록 해야함.
중간설계 (Design Development)
- 계획설계 과정에서 발전을 시키는 과정
- 단면상세에서 기본 시스템이 나타남(설비/구조)
- 기초 시방서 (Cut - sheet) 등 준비
3. 실시설계 (Construction Document)
실시설계는 중간설계를 바탕으로 입찰, 계약 및 공사에 필요한 설계도서를 작성하는 단계로서, 공사의 범위, 양, 질, 치수, 위치, 재질, 질감, 색상 등을 결정하고 설계도서를 작성하고 시공 중 조정에 대해서는 사후설계관리업무 단계에서 수행방법 등을 명시합니다.
제5조제1호다목의 사후설계관리업무란 제3항제1호에 따른 건축설계가 완료된 후 공사시공 과정에서 건축사의 설계의도가 충분히 반영되도록 설계도서의 해석, 자문, 현장여건 변화 및 업체선정에 따른 자재와 장비의 치수, 위치, 재질, 질감, 색상 등의 선정 및 변경에 대한 검토, 보완 등을 위하여 수행하는 설계업무를 말하며, 건축법 제72조제8항 및 동법 시행령 제108조제3항에 따른 설계자의 업무를 포함한다.
공공발주사업에 대한 건축사의 업무범위와 대가기준
정보수집 / 조건
- 의뢰주가 설정한 조건의 상세한 파악
- 현지상세조사 및 확인
- 사용채료 등에 대한 문헌, 카달로그 등의 수집
- 각종 법령 수속 협의
- 스케줄의 정리
- 각 담당 협의
조건설정
- 기본설계에 기초한 설계조건의 상세한 설정
- 각 부분의 요구 성능의 확정
- 법령과 그외 제약조건의 각 부분 파악
- 공사비 파악
- 기본설계에 기초한 설계방침의 전개
비교검토
- 각 부분의 기능검토
- 공간표현의 검토
- 형태의 검토
- 사용재료의 검토
- 공사비의 검토
- 시공기술의 검토
총합화
- 외부공간설계
- 내부공간설계
- 평면설계
- 단연설계
- 입면설계
- 상세설계
- 각 부분의 사용재료 및 시공방법의 확정
- 방재설계
- 색채계획의 책정
- 공사비 계산과정리
- 각종 계획 등의 조정
성과도서
- 시방서
- 설계 개요표
- 완성표
- 면적표 및 구적도
- 부지안내도
- 배치도
- 각층 명면도
- 단면도
- 각 면 입면도
- 거리척도 표시도
- 주요부 상세도
- 천장평면도
- 평면 상세도
- 부분 상세도
- 창호도
- 공사비 계산비
- 확인신청도서
시공감리
사후 설계관리
- 감리와 사후설계관리(CA)는 다름 (감리: 건축주의 대리인, CA:건축주에 보고/시공 도움)
- RFI(Request for Information / ASK 혹은 SK(Architectural Sketch)
-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적이지 않거나 명시되지 않고 최근에 연구를 하기 시작합니다.
- 감리의 지도, 감독과는 다른, 건축주에 보고를 하거나 확인 또는 검토를합니다.
- 미국의 경우 SD정도의 용역비가 일반적임
- 비상주 감리 정도의 시간사용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물 유지 보수 - 건축물 유지 관리 및 보수 방법 (0) | 2024.04.12 |
---|---|
부속실 기준비교 건축법과 한국화재안전기준 비교 건축 법령 (0) | 2024.04.09 |
우리나라 아파트의 현주소와 문제점 및 리모델링의 개념 (1) | 2024.04.06 |
서울시 친환경 건축물 설계기준 개정- 온실가스 줄이는 친환경 녹색건축 설계기준 (0) | 2024.04.05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시스템 제출 서류 및 평가소요기간 (0) | 2024.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