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자도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도시
켄트 라슨 (kent larson) : 모든 도시에 사람들을 더 수용할 수 있는 멋진 디자인
에두아르도 파에스 : 도시를 향한 사계명
시각 장애인을 포용하는 디자인
유니버셜 디자인의 이해
사례 : 바로셀로나의 유니버설 가로
유니버설 가로
유니버설 주택, 가로
대중교통수단, 화장실, 표식물, 계단 및 진출입
장애에 대하여
고령화 사회로
최근 100년간의 평균수명의 변천
장애인의 현황
장애인 등록인구는 2007년 대비 10년간에 5배로 증가
- 장애인의 대부분 (약89%)가 후천성 장애자이다.
장애인등록인구의 증가추세, 장애발생 원인별 구성비
교통약자의 현황
- 2005년 대비 교통약자는 인구대비 약 25%정도임
- 유형별로는 고령자의 비율이 가장 높고, 어린이, 영유아 동반자의 순이다.
총인구 대비 교통약자 비율 (2005년말 기준) 교통약자 인구대비 비율
장애인의 정의
- 베리어프리에서의 장애인 정의 : The handicapped 혹은 Handicapped person
- 유니버설 디자인에서의 장애인 정의 : Person with disabilitycf
일반인: Person without disability
의사소통장애인 : Person with communication disorder
⇒ 사람을 우선하는 인간존엄(Human dignity)이 속에 내포되어 있으며, 장애․비장애의 구분보다는 우리 모두는 인간이라는 사상적 단면이 내포됨
장애자의 유형
1. 고령자 : 보행곤란 / 시력저하 / 청력저하
2. 지체부자유자 : 휠체어사용자 / 휠체어사용자 미사용자
3. 장애자 : 내부장애자 - 장시간 보행이나 서있는 것이 곤란한 경우, 시각장애자 / 청각, 언어장애자 / 지적 장애자 / 정신장애자 / 발달장애자
4. 임산부
5. 영유아동반자
6. 외국인 : 한국어의 이해가 부족한 사람
7. 기타 : 일시적으로 상해를 입은 경우, 병이 걸린 경우, 무거운 짐을 가진 경우, 처음으로 방문한 경우 등
장애의 모델(the gap model)
환경에 대한 요구 : 물리적, 심리적, 사회적
사람의 능력 : 물리적, 심리적, 사회적
유니버설 디자인이란
UD의 발생
- 미국 : 베트남전쟁으로 인한 부상자들의 사회복귀
- 북유럽 : 고령화 사회로의 이행
UD의 개념의 발전
- Barroer Free
- Design for whole life
- Design for All
- Universal Desing
베리어프리 디자인(Barrier Free Design)의 한계
베리어프리 디자인
- 장벽(barrier)를 제거(free)한다.
- 건축 : 장애인(특히 휠체어 이용자)의 이동을 배려한다는 의미로 사용
한계점
- 특정한사람(특정 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한 해결방법이 되기 쉽다.
- 해결방법이 직접적이고 다른 수단과 어울리기 어렵다.
- 건축가의 자유로운 발상을 저해하는 경우가 많다.
- 기계나 설비에 의존하는 경우 많지만, 유지와 조작방법, 에너지소비 등에 과제가 있다.
- 표준화된 내용을 뜻도 모르고 받아들이며, 복지의 시점에서의 요구에 대만 면죄부가 되기 쉽다.
제창자
- 론 메이즈 : 캐롤라이나 주립대학 교수, 본인도 선천적 장애자 건축가이며, 제품 디자이너
발상
- 모든 사람은 인생의 어떤 시점에서 무언가의 장애를 가지게 된다.
- 과실 등으로 일시적으로 장애를 가질 수 있음.
- 언어가 통하지 않은 나라에 가면 이동제약자가 됨
- 장애도 시각, 청각, 사지, 내부, 지적 장애 등 종류가 다양하며, 같은 장애라도 정도의 차이가 있음
정의
- 모든 사람이 최대한 사용 가능한 제품, 건축, 공간을 디자인하는 것
- Accessibility, Adaptable, Barrier-free, Trans-generation 등
유니버설 디자인의 과거, 현재, 미래
유니서벌 디자인의 변천
유니버설 디자인의 4가지 원리
▌기능적 지원성
- 기능상 필요한 도움 제공.
- 도움을 제공해 주는데 있어서 어떠한 부담도 야기시켜서는 안됨.
- 공간/제품이 가지는 지원성의 종류와 기능을 폭넓게 하는 특성
- 상품이나 환경이, 다양하게 변화는 대다수의 사람들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어야 함.
- 시간적 요인, 요구의 다양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선택 가능성, 능력의 다양성을 수용
하기 위한 조절 가능성 등의 요인 포함
- 장애물이 제거된 상태.
- 많은 사람들에게 방해되거나 위협적인 물리적 환경을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
- 건강과 복지 증진.
- 개선적이며 예방적인 것임.
- 안전사고 등의 기존 문제를 제거시키기 위해 개선할 수도 있으며 안전 사고가 발생
하지는 않더라도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측면이기도 함.
1. 공정한 사용성 :
- 능력이 각기 다른 사람에게 유용하고 판매가 가능한 것. 대상이 일반인인가.
2. 사용에 있어서의 융통성 :
- 선택가능성, 변경가능성, 조절가능성 등의 특성.
- 시간의 경과에 따른 사용자 능력의 변화에 대한 수용이 가능한가.
3. 단순하고 직관적인 사용성 :
- 결과물이 사용자의 경험, 지식, 언어능력, 현재의 전념도와 상관없이 이해하기 쉬워야 함.
- 디자인 결과물이 지니고 있는 지원성이 모든 사람에게 쉽게 인지될 수 있는가.
4. 인지 가능한 정보 :
- 결과물이 주위의 상태나 사용자의 지각능력에 상관없이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
- 정보(위험, 사용방법, 지시, 방향 등) 전달을 쉽게 인지시키기 위한 측면.
5. 오류에 대한 내성 :
- 의도하지 않았던 행동으로 인한 불리한 결과와 장애를 최소화.
- 오류와 장애의 결과적 측면의 예방에 초점을 두었는가.
6. 최소한의 신체적 노력 :
- 사용시 최소한의 피로감을 느끼면서 효율적으로 사용.
7. 사용에 적합한 크기와 공간 :
- 사용자의 신체크기, 자세, 이동과 상관없이 접근하고 손이 닿고, 조작하기 적합한 크기와 공간 제공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국, 내외 관련법
자료 : 한국교통연구원, 「장애인 및 고령자를 위한 보도 및 교통수단·시설의 편의시설 설치기준 연구」, 2005.
연 도 | 한 국 | 미 국 | 일 본 |
60년대 | - | (1964)도시대중교통법 (1965)노인복지법 (1968)건축장벽 철폐법 |
(1960)정신박약자 복지법 (1963)노인복지법 |
70년대 | - | (1973)재활법 | - |
80년대 | (1981)심신 장애자 복지법 (1985)건축법 시행령 6조2항 (1986)시행령 55조 2항 (1988)시행규칙 25조 (1989)장애자복지종합대책 |
- | - |
90년대 | (1990)장애인 복지법 (1993)장애인복지제도 개선방안 (1997)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 편의 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
(1990)미국장애인법 (ADA) |
(1993)장애인 기본법 |
00년대 | (2005)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 | - | (2000)교통 Barrier-Free법 |
장애인 지원관련 계획별 비교
구 분 | 편의증진 국가종합계획 |
저출산·고령 사회기본계획 |
장애인복지발전계획 | 교통약자 이동편의증진계획 |
수립근거 | 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 편의증진보장에관한법률 |
저출산·고령사회 기본법 |
아·태장애인 10년계획 (03년 ~ 12년) |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 증진법 |
목 적 | 장애물없는(barrier-free) 사회실현을 통한 장애인등 의 사회활동참여와 복지 증진 |
저출산·고령사회에 대응한 전반적사회·경제구조개혁을 추진하여「지속발전가능 사회」를 실현 |
장애인이 대등한 시민으로 참여하는 통합적 사회실현 |
교통약자이동편의 증진정책의 기본방향 및 목표를 제시 |
주요내용 |
• 공공시설의 접근성 제고
• 장애인 편의시설에 대한
사회 인식 개선• 생활공간의 주거 및 이동
편의 시설 확충 |
• 출산과 양육에 유리한
환경 조성• 고령사회 삶의 질 향상
기반구축• 미래성장 동력확보
|
• 복지향상
• 특수교육강화
• 고용확대
• 정보화증진
• 이동편의확충
|
• 이동편의시설 개선·확충
• 저상버스 도입
• 보행환경 개선
• 특별교통수단 도입
• 투자재원조달방안
|
건축계획의 기본적 시점
- 이동동선의 연속성 확보
- 이용시의 안전계획을 철저히 한다
- 적절한 치수로 계획한다
- 경제성, 유연성, 효율성을 배려한다.
- 조정성과 인지성을 확보한다.
- 이용특성에 따른 인적 배치를 계획한다.
전체의 체크포인트
- 알기쉽고, 콤팩트한 동선계획
- 정보전달, 사인 (음, 문자, 유도블럭등)의 적정배치, 알기쉽고, 보기 쉬움
인적대응의 체크포인트
- 안내, 설명을 유도할 수 있는 종업원의 배치
- 수화와 필담이 가능한 종업원의 배치
- 외국에 대한 안내대응
- 비상시의 피난유도 인원의 확보
공간대응의 체크포인트
- 부지내 통로 : 이용하기 쉬운, 안전한 경로, 안전한 폭원의 확보
- 출입구 : 필요한 치수, 이용에 적절한 구조
- 통로, 계단 : 적절한 폭, 형상, 기울기 등
- 엘리베이터 : 적절한 형상, 크기
- 화장실 : 설비, 크기, 개수의 적절성
- 경사로 : 적절한 폭, 기울기
- 주차장 : 장애인 주차장의 구획 (크기, 통로, 구획수), 기울기의 적절성
설비대응의 체크포인트
- 누구라도 이용하기쉬운 설비의 정비
- 누구라도 이용하기 쉬운 구조의 충분한 수의 화장실 확보
- 영유아를 위한 귀저기 교환장소, 수유스페이스 등의 확보
- 카운터, 스위치, 거울 등의 적절한 배치와 조작 용이성
- 시각, 청각 장애자를 위한 정보, 커뮤니케이션기기의 배치, 필기용구의 확보
- 비상시의 통보, 피난설비의 정비 등
고령자, 장애자가 이용하는 건축물의 개선
도로공간등과 일체화된 이동네트워크 형성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국내외 매뉴얼
- 장애인 주거환경개선 매뉴얼 : 대한건축사협회
- Code on Barrier-free Accessibility in Building(2002) : Building & Construction Authority(미국)
-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 설치 : 관리 매뉴얼 (2007) : 건설교통
- 장애인편의시설1, 건축물2, 매개시설3, 도로4, 내부시설5, 공원, 공공교통시설 : (교통문제연구소)
- 교통약자 편의증진법 시행규칙
- Universal Design Architectural Guideline : Kumamoto Prefecture(일본)
체감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실현
- 개설 비율에 비해 체감 비율은 매우 낮음
대상시설 중심(점)에서 공간중심(선과 면)으로
- 하나의 지점만을 대상시설로 본다는 점 : 편의증진법은 개개건물, 이동편의증진법은 여객시설
편의시설 설치 중심에서 접근성 중심
- 편의시설 설치된 만큼 접근성이 보장된 것은 아님
- 불필요한 시설의 설치보다는 필요한 장소에의 접근성이 중심이 되어야 함.
무장애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으로
- 함께 한다는 인식의 부족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의 구분 - 다세대 다가구차이점과 연립주택 공동주택 단독주택 정의 (0) | 2023.03.31 |
---|---|
건축물하부 기초이해 및 적용사례 (0) | 2023.03.30 |
아파트 지하주차장 아파트 건축설계 공동주택 설계 지하주차장 & 주차장 계획 하는 방법 (건축법 및 주택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정리) (0) | 2023.03.28 |
현대건축의 개념 및 정의 현대 건축물 사례 [두바이 오페라 하우스, 클리브랜드 클리닉 센터, 하이테크 건축, 퐁피두 센터,폴 클레 센터] (0) | 2023.03.23 |
BF 인증제도 [내부시설] - 베리어프리 barrier free design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0) | 2023.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