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F 인증제도 [내부시설] - barrier free design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내부시설
1. 일반출입문
1.1 단차
- 출입문에 문턱 등으로 인한 2cm 이상 단차가 있으나, 턱 낮추기를 극복한 경우 최하등급으로 평가
구분 | 단차 | 점수 |
최우수 | 모든 문에 단차 전혀 없음 | 3.0 |
우수 | 모든 문에 단차 2cm 이하 | 2.4 |
최우수 | 우수 |
1.2 유효폭
- 출입문 유효폭은 문틀 내부 폭에서 경첩의 내민거리와 문의 두께를 뺀 나머지 폭 측정
구분 | 유효폭 | 점수 |
최우수 | 모든 문의 유효폭 1.0m 이상 | 3.0 |
우수 | 모든 문의 유효폭 0.9m 이상 | 2.4 |
쌍여닫이 | 미서기 |
1.3 전, 후면 유효거리
- 출입문 유효폭은 문틀 내부 폭에서 경첩의 내민거리와 문의 두께를 뺀 나머지 폭 측정
구분 | 전, 후면 유효거리 | 점수 |
최우수 | 모든 문의 전, 후면 유효거리 1.8m 이상 | 3.0 |
우수 | 모든 문의 전, 후면 유효거리 1.5m 이상 | 2.4 |
일반 | 모든 문의 전, 후면 유효거리 1.2m 이상 | 2.1 |
문 맞닿은 경우 | 출입문 옆 0.6m 활동폭 |
1.4 손잡이 및 점자표지판
- 전시장 등 문이 내부 문이 없을 경우 최우수 평가
구분 | 손잡이 및 점자표지판 | 점수 |
최우수 | 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미닫이문 또는 자동문 | 3.0 |
우수 | 출입구 옆 벽면의 1.5m 높이 점자표지판 부착, 손잡이 높이 0.8m~0.9m에 설치 손잡이 레버형 또는 수직막대형, 출입문 여닫이형태로 출입문 0.6m 이상의 활동공간 확보 |
2.4 |
2.1 유효폭
- 복도에 고정된 장애물 있을 경우 장애물 끝에서 반대 복도 끝까지 거리 산정
- 건물 전체 복도 중 폭이 가장 좁은 부분을 기준으로 유효폭 산정
구분 | 유효폭 | 점수 |
최우수 | 모든 복도의 유효폭 1.5m 이상 | 3.0 |
우수 | 모든 복도의 유효폭 1.2m 이상 | 2.4 |
돌출형 기둥 | 돌출형 기둥 | 복도 끝 실 계획시 1.5m 이상 확보 |
2.2 단차
- 복도에 단차 높이가 가장 높은 것을 기준으로 평가
구분 | 단차 | 점수 |
최우수 | 복도에 단차가 전혀 없음 | 3.0 |
우수 | 부분적으로 단차가 있으며, 기울기 1/18 (5.56% / 3.18') 이하의 경사로 설치 | 2.4 |
일반 | 부분적으로 단차가 있으며, 기울기 1/12 (8.33% / 4.76') 이하의 경사로 설치 | 2.1 |
최우수 | 우수 | 일반 |
2.3 바닥마감
- 시각장애인 유도는 핸드레일과 바닥 재질 또는 색상 변화로 이루어지도록 계획
- 건축물이 한 개의 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내부 바닥마감으로 복도의 바닥마감 평가
구분 | 바닥 마감 | 점수 |
최우수 | 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충격을 흡수하고 울림이 적은 재료 사용 | 2.0 |
우수 | 일반의 조건을 만족하며, 색상 및 재질 변화로 유도 | 1.6 |
일반 | 미끄럽지 않으며, 걸려 넘어질 염려 없음 | 1.4 |
최우수 | 우수 | 일반 |
2.4 보행장애물
- 복도의 장애물은 높이 2.1m 이내에 있는 장애물만 평가
- 건축물 내부에 여러 장애물이 있는 경우 돌출폭이 가장 큰 장애물을 기준으로 측정
구분 | 보행장애물 | 점수 |
최우수 | 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휠체어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바닥면으로부터 0.15m ~ 0.35m까지 킥플레이트 설치하고 복도의 모서리 부분은 둥글게 마감 | 2.0 |
우수 | 일반의 조건을 만족하며, 벽면 돌출물 및 충돌 위험있는 설치물 x, 바닥면에 이동장애물x | 1.6 |
일반 | 벽면에 돌출물이 있으나 0.1m 이내로 설치 | 1.4 |
최우수 | 우수 | 일반 |
창고 설치 | 고정형 플랜트박스 설치 |
2.4 보행장애물
- 독립기둥 0.4m ~ 0.6m 이격하여 이색이질 바닥마감 or 난간 설치
2.5 연속손잡이
- 복도 손잡이 설치 높이 0.8m ~ 0.9m, 굵기 3.2cm ~ 3.8cm
- 어린이관련 시설인 경우 손잡이 높이 0.65m 내외
구분 | 연속손잡이 | 점수 |
최우수 | 우수의 기준을 만족하며 차갑거나 미끄럽지 않은 재질 사용 | 2.0 |
우수 | 연속손잡이 설치 (1단 설치 및 손잡이 끝부분에 점차 표기) | 1.6 |
일반 | 연속손잡이 설치(1단 설치) | 1.4 |
최우수 | 우수 | 일반 |
3.1 형태 및 유효폭
- 유효폭은 계단 및 참의 가장 좁은 부분의 너비로 측정
- 계단 및 참의 유효폭은 양측 손잡이 안목치수로 측정
- 건물 내 모든 계단을 평가
구분 | 계단 형태 및 유효폭 | 점수 |
최우수 | 우수의 기준을 만족하며, 계단 및 유효폭 1.5m 이상 확보 | 3.0 |
우수 | 일반의 기준을 만족하며, 계단은 직선 또는 꺾임형태로 설치하고, 2cm 이상의 추락방지턱 설치 | 2.4 |
일반 | 모든 계단 및 참의 유효폭 1.2m 이상 확보 | 2.1 |
최우수 | 우수 | 일반 |
3.2 챌면 및 디디판
- 계단에는 챌면 필수로 설치
- 계단 챌면의 높이와 디딤판의 너비는 균일하게 설치
구분 | 챌면 및 디딤판 | 점수 |
최우수 | 우수의 기준을 만족하며, 조명 및 색상을 달리하여 챌면과 디딤판의 명확한 식별 가능 | 3.0 |
우수 | 일반의 기준을 만족하며 1.8m 이내마다 휴식참 설치 | 2.4 |
일반 | 챌면 0.18m 이하, 디딤판 0.28m 이상, 챌면 기울기 60'이상, 계단코 3cm 미만 | 2.1 |
최우수 | 우수 | 일반 |
3.3 바닥마감
- 계단코 미끄럼방지설비를 설치하고 걸려 넘어질 염려가 없도록 계획
- 계단코는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질 또는 색상으로 설치
구분 | 챌면 및 디딤판 | 점수 |
최우수 | 계단 전체의 바닥표면 전혀 미끄럽지 않은 재질로 평탄하게 마감, 발디딤 부분은 촉각 혹은 시각적인 재료를 사용 | 2.0 |
우수 | 계단코에 경질고무류, 줄눈 등의 미끄럼방지설비를 설치하고, 걸려 넘어질 염려 없음 | 1.6 |
최우수 | 우수 |
3.4 손잡이
- 설치높이 0.8m~0.9m, 굵기 3.2cm ~ 3.8cm, 벽면에서 5cm 이상 이격
- 2중 설치하는 경우 위쪽 손잡이 0.85m 내외, 아래쪽 0.65m 내외
구분 | 손잡이 | 점수 |
최우수 | 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차갑지 않고 미끄럽지 않은 재질 사용 | 2.0 |
우수 | 연속손잡이 1단설치, 주변으로부터 쉽게 구분 가능, 손잡이의 양끝부분 및 굴절부분에는 층수, 위치 등을 나타내는 점자표지판을 부착 | 1.6 |
728x90
그리드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지하주차장 아파트 건축설계 공동주택 설계 지하주차장 & 주차장 계획 하는 방법 (건축법 및 주택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정리) (0) | 2023.03.28 |
---|---|
현대건축의 개념 및 정의 현대 건축물 사례 [두바이 오페라 하우스, 클리브랜드 클리닉 센터, 하이테크 건축, 퐁피두 센터,폴 클레 센터] (0) | 2023.03.23 |
캐드 기초 필수 단축키 [건축 실용 단축키 기초 및 많이 사용하는 CAD 단축키 알아보기 ] (0) | 2023.03.17 |
친환경건축 결로와 단열 개념 및 정의 친환경건축기법 (1) | 2023.03.12 |
BF 인증제도 -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barrier free design [매개시설] (0) | 2023.03.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