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M 실무예제 (레빗 초급 입문자용)
예제1 : 주거 시설 작성
작업 전 환경 설정
- 프로젝트 정보 입력
- 임시 치수 설정
- 프로젝트 탐색기 설정
재료 작성하기
- 콘크리트 재료 만들기
1층 바닥 작성하기
- 레벨 작성하기
- 바닥 유형 만들기
- 스케치를 활용한 바닥 작성
1층 벽 작성하기
- 벽체 유형 만들기
- 1층 벽체 작성하기 -1
- 1층 벽체 작성하기- 2
- 내벽 작성하기
- 커튼 월 작성하기
개구부 작성
- 창 및 문 작성하기
1층 계단 작성하기
- 계단 경로 스케치하기
- 내부 편집 계단 사용하기
2층 바닥 작성하기
- 스케치를 활용한 바닥 작성하기
- 바닥 간섭 부분 형상 결합
2층 벽 및 난간 작성하지
- 외벽 작성하기
- 내벽 작성하기
- 난간 작성하기
Roof층 지붕 작성하기
- 지붕 명령을 이용한 경사 지붕 작성
- 2층 벽체와 지붕의 결합
각 뷰에 치수 기입하기
- 주요 치수 입력하기
작업 전 환경 설정
프로젝트 정보 입력
- 프로젝트 작업 전에 프로젝트에 대한 기본 정보를 입력하는 명령어로 기본 설명 중 하나에요.
임시 치수 설정
- Revit은 기본적으로 내부 치수를 기준으로 모델이 작성됩니다. 이를 벽체 중심선으로 변경하기 위해서 임시 치수 설정을 아래와 같이 선택해야합니다.
- 임시 치수 설정을 벽체 중심선으로 변경합니다.
프로젝트 탐색기 설정
- 프로젝트를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탐색기 내의 도면 이름 순서를 변경할 필요가 있어요. 기본은 이름으로 되어 있습니다.
- 이를 작업을 위해서 레벨 순서로 정렬을 해 줘요.
- 화면에 보이는 프로젝트 탐색기의 뷰를 우 클릭해서 팝업 메뉴의 탐색기 구성을 선택하면 하면 됩니다.
- 대화 상자에서 새로 작성을 선택한 후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해요. 일반적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 명을 입력하는게 좋아요.
- 그룹화 및 정렬 탭을 선택하고 패밀리 유형, 연관된 레벨 순서로 옵션을 적용하면 됩니다.
재료 작성하기
콘크리트 재료 만들기
- 이번 프로젝트의 주요 재질인 콘크리트 재질을 작성하도록 합니다. 관리 탭의 재료 명령을 실행.
- Revit을 처음 설치 할 경우 아래 이미지와 같이 확장된 부분이 보이지 않아요. 표기된 부분을 선택해서 에이스 재료를 사용할 수 있게 하면 됩니다.
- 콘크리트 재질을 찾아서 복제를 합니다. 복제하는 방법은 재료 선택 후 마우스 우 클릭해서 복제를 선택. 재료의 이름은 콘크리트로 지정하면 됩니다. 복제를 이용해서 새로운 유형을 작성해요.
- 음영처리 시 보일 색상을 지정합니다. 어두운 계열보다는 밝은 계열로 지정을 하는 것을 추천. 너무 어두우면 형상을 이해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 도면화를 생각해서 표면에서 보이는 패턴을 제거합니다. 패턴을 넣을 경우 도면화 과정에서 패턴을 다시 정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요.
- 단면에서 보이는 패턴은 콘크리트-1을 지정해요. 단면은 표면과 달리 단면도를 작성하지 않는 이상 보이지 않기 때문에 패턴을 지정해요.
- 배경을 솔리드 채우기로 지정합니다. 색상을 이용해서 절단면과 표면을 구분하기 위해서 입니다.
- 색상은 원색 계열로 지정합니다.
이처럼 BIM실무예제의 레빗 프로그램에 대해서 알아보고 있어요. 레빗의 주거 시설 작성의 작업 전 환경 설정과 재료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어요. 콘크리트 재료를 만들거나 재질의 속성 값 등을 넣어서 실제로 우리가 필요로 하는 재질을 만들고 재질 값이나 패밀리 등을 통해서 우리가 BIM 프로그램으로 필요한 정보를 만들어 낼 수 있어요. 건축에서 꼭 필요한 재질과 색상 재료에 대한 부분 꼭 알고 사용하면 좋을거 같습니다.
728x90
그리드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슬래브의 해석 및 설계(슬라브의 종류와 개념정리) (0) | 2023.01.25 |
---|---|
설날 가족 서울여행 청와대를 방문해봤어요. 서울여행 추천! 청와대 국민품으로 여행을 떠나보세요. (0) | 2023.01.22 |
서양건축사 고대건축 : 서아시아 건축 (0) | 2023.01.18 |
건축 전기차 충전 및 주차구역 설치기준 [공동주택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 전기차 과태료, 전기차 충전] 부산광역시 전기차전용주차구역 소방안전가이드 (0) | 2023.01.17 |
건축 인허가 프로세스 이해 각종 심의 및 인허가 방법 (2) | 2023.0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