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건축사 고대건축 : 서아시아 건축
메소포타미아의 위치
시대와 지역
(1) 연대 : B.C 3500 (4000) ~ B.C 1000 신석기말 ~ 청동기
(2) 지역 : 바빌로니아 (Babylonia) - 남부메소포타미아
- 아카드 - 북부
- 수메르 - 남부
Mesopotamia 메소포타미아 - 두개의 강 사이
- 티그리스, 유프라테스 강 사이의 지역
- 티그리스 강 : 중류 앗시리아 평야
- 유프라테스강 : 연안 부근의 바빌로니아 평야
- 하구부분 : 칼데아
지배민족
수메르(sumer)인
- 상당한 문화, 설형문자, 지구라트를 중심으로 한 도시국가 형성
- (수메리아와 바빌로니아), 우르지방에 정착
아카드(Akkad)인
- 유목민, 도시국가의 발전, 쌍방의 문화 융합, 우르, 키시, 에렉 등
- 도시건설, 사르곤 왕 때 바빌론 통치
- B.C 1600년 경 함무라비 왕
히타이트(Hitite)족
- 히타이트제국 건설, 이집트접경에서 흑해까지 세력권
앗시리아(Assyria)인
- 페르시아에서 지중해 연안 - 동방최초의 대제국
- 히타이트로부터 철기문화, 전차법 - 메소포타미아 초토화
- 문화가 없는 야만민족 - 퇴폐 - 수메리아에 멸망
바빌론(Babylon)
- 바빌론제국 - 화려하고 장대한 문화건설
- 뛰어난 조각기술
페르시아(Persia)
- 개방된 지역적 특징으로 교류가 빈번하여 복잡한 문화
메소포타미아의 환경
1. 좋지 못한 자연환경 - 강의 잦은 범람과 가뭄
2. 잦은 전쟁 - 자연요새가 드물고 여러 민족이 혼재
- 안정된 건축의 형성이 불가능
- 현실적 세계관 (내세보다는 현실이 중요)
- 실용적 요소를 중요시
3. 건축재료 - 진흙과 갈대, 강한 햇볕
- 벽돌과 갈대다발을 건축재료로 사용
메소포타미아문명
(1) 메소포타미아 - 도시의 탄생
- 농업의 발달 : 안정된 식량수급의 확보 - 인구의 증가
- 전쟁의 시작 : 영토개척의 필요성 - 성채중심의 도시 탄생
- 도시 : 전쟁 수행단위, 경제 교류단위, 정치 통치행위의 근간
(2) 도시의 발달
- 궁궐과 신전의 등장 : 도시의 중심
- 다양한 복합구성 : 궁궐, 신전, 성채의 혼합
- 신전이 아닌 성채 중심의 건축문화
우르의 신전과 도시구조
메소포타미아 건축의 특성
(1) 흙의 문화
- 점토가 유일한 건축재료
- 진흙쌓기- 일건벽돌- 소성벽돌 - 유약타일 - 무늬와 색채(아라베스크)
(2) 장방형 실과 중정형식
- 모든 거실은 중정을 중심으로 장방형 실이 집약된 구성
- 벽은 두껍고 지붕은 짚을 올려 처리
(3) 아치 및 볼트구조
- 조적식을 극복
- Corbel Arch - Pointed Arch - 반원형 Arch
(4) 지구라트
- 고단의 대지에 건물을 축조 - 종교건축
- 홍수가 일어날 경우 건물을 보호, 위계성 강조
(5) 도시의 성곽 구성
- 모든 도시는 성곽으로 둘러지게 되며 여러 개의 성문이 내외를 연결
- 도시의 중앙부에는 신전을 중심으로 한 성소가 만들어짐
- 이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한 방편
(6) 신전건축
- 내세(분묘)보다 현세(신전)을 중요시
수메르 건축
(1) 건축 배경
- 종교적 상황 - 자연신 숭배
- 사회적 상황 - 신권 사회
(2) 우루크의 흰신전
- 현재 보존되어 있는 가장 오래된 지구랏트임
- 벽돌로 경사진 옹벽을 쌓아 12m 높이의 거대한 단을 형성함
- 제단은 내부의 한 귀퉁이에 자리잡고 있음
- 성소의 양단에 입구가 있는 것은 신의 통로의 개념으로 해석
우루크의 지구랏트에 있는 '흰 신전'
(3) 우르의 지구랏트(이라크)
- 15m 높이의 기단 위에 2개의 작은 단이 놓여 있음 (이중의 것은 신전을 위한 기단)
- 100개의 단을 가진 세 개의 계단은 탑이 있는 출입문에서 만나고 여기서 또 하나의 계단이 신전으로 연결(굴곡축에 의한 접근 방식 - 이집트의 직선축에 의한 접근방식과 대조를 이룸)
- 지구랏트의 주된 형태요소는 점이며 중앙 집중적 배치임
- 이집트보다 수직 축이 더욱 강조됨
- 점진적인 상승을 통하여 정점으로 이끌어 가는 방식을 구성상의 기본 원칙으로 함
우르의 지구라트
(4) 중정식 주택
- 평면이 중정을 갖는 2층 형식의 주택 - 1층은 객실, 부엌, 작업장 등의 공용 공간, 2층은 침실 위주의 사적 공간
- 중정을 중심으로 각 방이 배치되어 있음
- 지방의 풍토성에 적절한 형식(고온건조 기후 - 낮에는 온도가 높고 밤에는 온도가 현저히 낮아짐, 일교차가 심함)
- 벽이 두꺼움 : 낮에 열을 저장해 두다가 추운 밤에 저장했던 열을 방출
- 개구부는 모두 중정에 면하고 외곽벽에는 창이 거의 없음 - 먼지가 많고 바람이 강하기 때문
우르의 중정식 주택 내부 단면 및 평면도
Hitite 건축
(1) 건축 배경
- B.C 2000년경 hITITE족
- 중정을 중심으로 각 방이 배치되어 있음
- 그리스 및 라틴의 고어 사용
(2) 건축 특징
- 조각의 동적표현 - 성문 등 벽 하부에 동물, 신, 주권자 등의 조각
- 열주의 사용
- 중정 주위에 사용, 넓은 홀의 지붕을 지지
- 열주는 목조 - 유물은 없고 초석만 발견
- 그리스 이오닉오더에 영향
- 페르시아 건축의 높고 많은 조각을 가진 기둥으로 발전
히타이트 전차 , 보가즈 쾨이 유적
시리아 건축
(1) 건축 배경
- B.C 1000년 경 철기를 기반
- 지리적 상황
- 북부의 메소포타미아 민족인 아시리아인들은 남부의 수메르, 아카드, 바빌로니아인에 의해 세력 확장욕구가 좌절, 북부의 미타니족들에 의해 저지
- 히타이트족에 의해 마타니족 패망. 바빌론 쇠약 - 지배권 획득, 왕국 세움
(2) 건축 특징
- 강변의 점토와 북방의 석재를 혼용
- 초기의 메소포타미아 건축을 계숭
- 전쟁 때문에 성채와 궁궐 중심으로 건축이 전개됨 - 신전이 중심이었던 수메르와 차이 - 왕권이 신권을 능가
- 니네베, 코르사바드, 님루드 등 성체 중심으로 발전 - 평면이 복잡하고 히타이트의 동적조각과 유약을 칠한 테라코타를 사용
앗시리아 건축
사르곤 궁궐, 코르사바드
바빌로니아 건축
(1) 건축 배경
- 지리적 상황
- 동쪽의 스키티아 인과 북쪽의 메디아 인에 의해 BC612년 아시리아 멸망 - 바빌론에 의해 질서 회복
(2) 건축 특징
- 메소포타미아 도시건축의 집대성
- 벽돌건축의 정수 - 조적술 발달, 유약을 바른 벽돌 사용 (이슈타르의 문)
(3) 주요 건축물
- 바빌론 성채
- 시 내부는 넓은 가로가 교차하는 바둑판모양
- 공중 정원 : 유프라테스강 위에 건설된 연속 4개의 벽돌조 테라스, 궁궐의 중심
- 요새화된 도시성벽에 아치로 8개의 기념적 정문
- 이슈타르문 : 8개의 기념적 정문 중 하나, 오지 벽돌로 표면을 이룸, 문의 양 옆에 톱니 모양의 탑이 있음
바빌론 시 내성전경, 이슈타르의 문
페르시아 건축
(1) 건축 배경
- BC539년 신바빌로니아를 정복
- 인더스 강에 다뉴브 강까지 세력 뻗침
- BC331년 알렉산더에 의해 정복됨
(2) 건축 특징
- 메소포타미아와는 다소 다른 건축적 특징
- 고지에 건축
- 정방형 평면 사용
- 진흙벽 사용
- 개방적 신전 : 단을 쌓고 사용
- 중정을 중심으로 한 평면 구성방식은 사라짐
페르세폴리스 왕국
728x90
그리드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날 가족 서울여행 청와대를 방문해봤어요. 서울여행 추천! 청와대 국민품으로 여행을 떠나보세요. (0) | 2023.01.22 |
---|---|
BIM 실무예제 (Revit) 초급 - [작업 전 환경 설정, 입문자용 재료작성하기] (1) | 2023.01.20 |
건축 전기차 충전 및 주차구역 설치기준 [공동주택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 전기차 과태료, 전기차 충전] 부산광역시 전기차전용주차구역 소방안전가이드 (0) | 2023.01.17 |
건축 인허가 프로세스 이해 각종 심의 및 인허가 방법 (2) | 2023.01.16 |
BIM 기초이론 (Revit) 초급 - 입문자. BIM는 무엇인가? 레빗 하는 방법 알아보기 (0) | 2023.0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