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ment 환경경영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by Clover Marketer 2023. 1. 6.

전과정평가

Life Cycle Assesment  환경경영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1. LCA / DFE의 개요
  2. LCA의 구성
  3. LCA 적용 및 활용사례
  4. 시사점

LCA / DFE의 개요 : 개념

LCA (Life Cycle Assessment, 전과정 평가)

 

 

 

대기, 수질 오염물질, 폐기물 (output)

에너지, 주원료, 부원료 (Input)

원료 획득에서부터 제품생산, 운송, 사용 및 폐기까지의 제품의 전 과정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DFE (Design For Eevironment)

LCA의 개념을 적용하여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부하를 최소화하는 설계를 구현

환경부하 최소화, 재활용 및 재 자원화 극대화, 친환경 제품 개발

LCA와 DFE의 관계

  • LCA(Life Cycle Assessment)
  • 제품의 환경성을 평가하는 환경영향평가 기법
  • TR 14049 1999.12

LCA분석결과를 통한 제품개선

  • DFE (Design For Eevironment)
  • 제품개발에 환경적 측면을 통합하는 지침
  • TR 14062 2002. 10

DFX (Design For X)

  • 기업의 필요와 환경적 목표에 따라 DFE를 다양화하여 설계에 접목

 

 

 

각종 환경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이해관계자들의 입장에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자원 및 에너지 소비 그리고 환경오염부하를 포괄적으로 최소화하고 이에 따른 환경개선방안을 모색

기업

  • DFE를 지원하기 위해 LCA 수행
  • 제품설계, 소재에 관한 정기 전략계획 수립
  • 시장 경쟁력 확보

소비자

  • 제품에 대한 환경관련 정보 취득
  • 제품 선택을 위한 판단 도구

정부기관

  • 환경 저 부하형 산업체계 구축
  • 제품에 대한 환경규제
  • 제품 라벨링에 관한 기초데이터 구축

 

LCA의 구성

 

 

 

목적/범위설정 - 목록분석 - 영향평가 = 결과해석 

"연구목적이 무엇이며 평가결과를 어디에서 적용할 것인가를 설정"

1) LCA의 목적

연구 목적에 따라 연구의 범위, 수집하는 자료, 분석하는 방법, 결과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목적을 분명하게 규정해야 함.

2) 범위 설정

연구의 목적, 소요시간, 실제 자료수집의 가능성을 고려한 범위 설정.

3)기능단위 설정

결과 서술 시, 발생 가능한 모호성을 피하고 범위선정의 근거를 확실히 하기 위해 필요, 제품을 표현하는 가장 보편적이고 대표적인 단위로 설정

"연구대상에 대하여 투입 및 배출 자료를 수집하고 기능단위에 적합하게 계산하여 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환경부하를 산출"

"환경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정량적으로 산정하여 주어진 시스템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

  • 분류화 : 과학적 사실에 입각하여 목록항목을 영향범주에 배정
  • 특성화 : 목록항목이 영향범주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 정량화, 합산
  • 정규화 : 영향 범주별 값 / 정규화 값, 환경오염의 상대적인 기여도
  • 가중치 부여 : 환경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상대적인 중요도 결정

 

 

 

Midpoint level의 영향평가

  • 분류화 - 특성화 - 정규화 - 가중치부여
  • 환경문제형 또는 환경범주형 영향평가

Endpoint level의 영향평가

  • 추적분석 - 노출평가 - 손상분석
  • 생태계와 인간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환경위해성의 정도를 구체적인 값으로 도출
  • 인간건강에서의 손상인자 : DALY (Disadility Adjusted Life Years)
  • 생태계 영향의 손상인자 : PDF(Potentially Disappeared Fraction) m2 yr

LCA의 결과가 가지는 한계점들을 설명하고, 목록분석 연구나 영향평가에 대한 건의사항을 제공

 

1) 규명화

가장 중요한 투입 및 배출물과 잠재적 환경영향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2) 평가

전 과정 평가 초기 3단계와 환경영향의 규명화 단계에서 구성된 데이터를 토대로 연구를 종합하여, 사람들에게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제공.

3) 결론, 건의 및 보고

결과해석의 각 단계에 대한 평가과정을 완결한 것에 대하여 논평을 작성 후, 그 요약을 이해하기 쉽게 만들고 최종결과를 의사 결정자들에게 보냄

 

LCA 적용 및 활용사례 : 제도적 활용

환경 라벨링 제도

시장주도로 환경성이 우수한 제품에 대하여 소비자의 구매를 장려함으로써 기업들로 하여금 친환경제품에 대한 생산을 유도하여 지속적으로 환경개선을 달성하자는 취지하에 진행되고 있는 제도 = 에코 라벨링

환경마크

  • 제품의 전 과정을 고려하여 환경기준과 품질기준을 설정하고 이 기준에 합당한 경우 환경마크 사용을 인증하는 제도
  • 동일 제품 군 중에서 환경성과 품질 등이 탁월한 상품 (통상적으로 상위 20%정도)에 대하여 환경마크 사용을 인증

 

 

 

환경성 자기 주장

  • 기업 스스로 제3자 검증 없이 자사제품이 환경친화적임을 표시하는 라벨, 표시, 기호 등의 자기주장을 의미
  • 기업의 자기주장이 소비자 기만적이고 과대, 허위광고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기준을 제시

 

환경성적표지

  • 기업이 자발적으로 제품의 전 과정에 걸친 환경영향을 있는 그대로 공개하는 라벨링
  • 환경친화성 여부에 대한 가치판단 없이 정보를 공개하는 형태
  • 보통 공개된 정보가 정확한지에 대해서 제3자에게 검증을 받고 있음. 복잡한 분석기법을 요하므로 일부 선진국에서만 시행

 

조선업계, 친환경 이노테크로 위기 극복

  • LCA를 마련해 선박의 제작부터 폐기까지 전 생애에 걸친 온실가스 배출량을 파악
  •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 30%까지 줄인 친환경 선박 개발과 녹색 사업장 및 네트워크 구축 등에 매진

 

현대, 기아차 하이브리드 차량 '저탄소제품 인증' 획득

  • 최소탄소배출량 기준 만족
  • 기존 제품 대비 4.24% 이상 탄소배출량을 감축 시킨 제품에만 주어지는 친환경 인증
  • 기존의 가솔린 차량 대비 약 28%의 탄소배출량을 감축
  • LCA 기법을 완성 차에 적용한 결과

 

포스코, 전기차용 차체 개발성공

기존 차체보다 25% 가벼우면서 국제 충돌 안전규제 기준 모두 충족

LCA에서 기존 제품보다 온실가스 배출을 50% 줄이는 것으로 나타남!

 

시사점

LCA는 정량적인 데이터 제공해 줌으로써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환경 개선 전략에 기초

환경라벨링 제도의 활성화를 통해 소비자와 기업의 환경친환적 소비, 생산체계의 구축을 유도

 

 

 

728x9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