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건축의 의미와 필요성
1. 기후변화의 심각성
- 최근의 이상기후
- 기후변화 시나리오
2. 건축물의 에너지소비
- 전세계 현황
- 한국 현황
- 건물 온실가스 감축 전략의 수립
3. 친환경 건축의 의미와 건축가의 역할
- 친환경 건축의 의미
- 건축가의 역할
1. 인간의 행위로 인하여 CO2 및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로 지구온난화 가속화, 각종 이상기후 발생
- 온난화 북극 제트기류가 약해져 생성된 열돔으로 인해 폭염 및 발생 빈도 증가
- 대규모 난민 발생, 식량안보 위협, 국제적 분쟁 유발 가능
- 현행 온실가스 및 co2 배출량이 유지된다면 2050년 경 2'C 상승 불가피 함.
- 1.5'C 상승 제한 목표로 온실가스 및 CO2 배출량을 감축해야 합니다.
2. 건축물의 에너지소비
- 2020년 전세계 현황은 전체 에너지 사용량 중 36% 차지
- 2020년 국내 현황은 전체 에너지 사용량 중 18% 차지
- 국내에서는 최근 건축되는 건축물의 에너지 사용량 감소하는 추세
- 국가별로 NDC 설정하여 온실가스 부문별 감축목표 발표 : 우리나라의 경우, 건물 부문에서는 2018년 대비 32.8% 감축목표
- 향후 건물 데이터기반 구축, 신축건축물 제로에너지화, 기축건축물 그린리모델링 등을 통하여 탄소중립 실현
3. 친환경 건축의 의미와 건축가의 역할
- 에너지 저사용 건축물을 보급하여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
- 인간과 자연이 더불어 사는 공간을 구축하여,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환경의 부하를 감소시킴
- 건물 사용자 입장에선 쾌적함은 유지하면서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는 환경친화적인 life-style 실현 가능
기후변화의 심각성
최근의 이상기후
2022년 남아시아 폭염
- 약화된 북극권의 제트기류의 연쇄작용으로 남아시아 해상에 열돔 형성
- 제트기류가 적도의 열기를 열돔에 공급되는 현상
2022년 파키스탄 폭우
- 직전 남아시아 폭염으로 발달한 뜨거운 공기가 많은 양의 수증기 흡수
- 파키스탄 국토의 1/3 침수, 이재민 3천만명 발생
- 현지 식량난 발생, 각종 수인성 전염병 유행
2022년 서유럽 폭염 / 2021,2022년 북아메리카 폭염
- 북극권 기온 상승으로 인해 약화된 북극 제트기류가 열돔을 생성 함.
- 서유럽에는 아프리카 사막, 북미에는 태평양의 뜨거운 공기가 유입되어 갇힘
- 알프스 빙하 융해, 폭염으로 인한 사망 증가, 라인 강 가뭄으로 인한 물류 마비 위기 등 사회복합적 재난 초래
WMO-State of the global climate
- 산업화 이후 평균기온 변화
- 평균 해수면 높이 변화량
- 2021년 평년 대비 표면 온도차
- 빙하 질량 변화
기후변화 시나리오
IPCC-Climate change 2021 The physical science basis summary for policymakers
- 지난 2000년간 인간의 영향으로 인해 전례없이 빠른 속도로 온난화 진행되고 있음.
- 2019년 대기중 온실가스 농도는 지난 80만년 중 최고 농도 기록
- 지표면 온도는 최근 10년간 가장 급격히 상승
- 인간에 의한 기후변화는 이미 전지구적으로 발생하는 이상기후로 그 영향이 나타나고 있음.
- 21세기 인류의 활동으로 인한 온도 상승은 불가피하나, 연쇄적인 이상기후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온실가스 감축이 요구된다.
인간과 자연에 의한 온난화 영향 /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온도 상승 / 평균 10년에 한번 발생한 이상기후 빈도 전망
- 현행 온실가스 배출량 지속 시 극한 기후 발생 빈도가 급격히 증가, 전지구적인 식량위기 및 기후난민 발생
-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를 완화시키기 위해 Net-zero 온실가스 배출량 달성이 필수적
- SSP1-2.6, SSP1-1.9 시나리오는 인류에 의한 기후변화에 신속하고 지속적인 제동을 가할 것으로 기대됨.
건물 부분의 에너지소비
전세계 현황, 한국현황, 건물 온실가스 감축 전략의 수립
Global ABC2021 status report 건축 및 건설 부문의 에너지 사용량 및 CO2 배출량 비율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통계연보
국토교통부 건물에너지사용량통계 - 건물 용도별 건물에너지사용량
건물 온실가스 감축 전략의 수립
2015년 파리협정에 따라 196개 당시국은 기후변화의 악영향에 적응하는 능력을 높이고 기후 복원력과 낮은 온실가스 배출을 위한 장기적인 목표 수립에 동의하였음
각 당시국은 각국 상황과 능력을 고려하여, 온실가스 감축 및 적응에 대한 목표, 절차, 방법론 등을 담은 국가자발적기여를 제출
이를 바탕으로 각국은 국제사회에 약속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정책 및 전략을 설정, 실천하고 있음
파리협정 주요내용 | |
장기목표 |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2'c 이내로 억제하면서 1.5'c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 |
이행점검 | 5년 단위로 파리협정 이행 전반에 대한 국제사회의 종합적인 이행점검을 도입 |
감촉 | 국가별 기여방안(NDC)은 스스로 정하는 방식을 채택 5년마다 상향된 목표를 제출하되 공통의 차별화된 책임 및 국가별 여건 감안 |
탄소시장 | UN 기후변화협약 중심의 시장 외에도 당사국 간의 자발적인 협력도 인정 |
적응 | 기후변화의 역효과로 인한 '손실과 피해' 문제를 별도 조항으로 규정 |
재원 | 개도국의 이행지원을 위한 기후 재원과 관련하여 선진국의 재원 공급 의무를 규정 |
기술 | 기술의 개발 및 이전에 관한 국가들 간의 협력이 확대, 강화되도록 규정 |
건물 온실가스 감축 전략의 수립
한국의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8년 대비35% 이상 감축
- 2018년 배출량(727.6백만톤)의 40% 감축 - 2030년 배출량 : 436.6백만톤
- NDC 상향안의 연평균 감축률 (기준연도-목표연도)은 4.17%/년 , 주요국 대비 도전적인 목표
- 주요국 연평균 감축률(%/년, 기준연도-목표연도) : EU 1.98, 미국 2.81, 일본 3.56
건물 온실가스 감축 전략의 수립
국토교통 탄소중립 로드맵
- 공공건축물 제로에너지물 인증 의무대장 확대 추진 -2023. 1월부터 연면적 500m2 이상, 공동주택 30세대 이상 시행-
-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시행령 일부 개정 입법예고
- 2030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상향을 위한 ZEB 의무화 일정을 기존 '25년에서' 23년으로 앞당겨 시행 2050 시나리오 - 건물 1등급화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환경 건축물 설계 IPD(Integrated Project Delivery)프로세스- Site Analysis (0) | 2022.10.28 |
---|---|
친환경건축에서 건축가의 역할 (0) | 2022.10.27 |
리모델링 도시계획 [주택법 시행령 이해] (0) | 2022.10.25 |
시공부위에 따른 단열공법 (0) | 2022.10.24 |
설계방법과 안전성 구조설계 안전성 (0) | 2022.10.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