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시공부위에 따른 단열공법

by Clover Marketer 2022. 10. 24.

시공부위에 따른 단열공법

일반사항

단열시공 바탕은 단열재 또는 방습재 설치에 지장이 없도록 못&철선&모르터 등의 돌출물을 제거하여 평탄하게 정리, 청소한다.

단열재를 겹쳐서 사용하고 각 단열재를 이을 필요가 있는 경우, 그 이음새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오도록 해야 한다.

단열재를 접착제로 바탕에 붙이고자 할 때에는 바탕면을 평탄하게 한 후 밀착하여 시공하되 초기박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완전히 접착될 때까지 압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초기 접착 후 30분 이내에 압착한다.

단열재의 이음부는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접착제, 테이프 또는 특기 시방에 따라 접착하며, 부득이 단열재를 설치할 수 없는 부분에는 적절한 단열보강을 한다.

 

 

최하층 바닥의 단열공사

  • 건물바닥 내부의 열을 바닥으로 빼기지 않기 위한 단열 공법
  • 방습층을 단열재 바깥쪽에 설치한다.
  • 냉동고 바닥의 경우는 지중의 동결방지를 위한 바닥시공

 

 

 

 

콘크리트 바닥의 단열공사

  1. 콘크리트 슬래브 바탕면을 깨끗이 청소한다.
  2. 방습필름을 깐다.
  3. 방습층위에 단열재를 설치한다.
  4. 누름 콘크리트 또는 보호 모르터를 소정의 두께로 바르고 마감재료로 마감한다.

 

 

조적조 중공 벽체의 단열공사

  • 단열재를 설치하는 면에 모르터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쇠흙손질로 흐른 모르터를 평탄하게 한다.
  • 단열재와 외측벽체 사이에 쐐기형 단열재를 60cm 이내로 박아넣어 단열재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시킨다.
  • 포말형 단열재를 충전할 때는 중공벽을 완전히 쌓되 방습층을 설치하고 단열재 주입구를 줄눈부 위에 설치한다.
  • 포말형 단열재를 줄눈 모르터가 양생된 후 아래에서부터 주입구를 통해 압축기로 포말형 단열재를 주입한다.

 

벽체 내벽면의 단열시공

  1. 바탕벽에 띠장을 설치한다. 방습층을 두는 경우는 원칙적으로 설치한다.
  2. 띠장간격에 맞춰 단열재를 재단하고, 띠장의 춤은 수장재를 붙였을 때 단열재가 눌리지 않을 정도가 되도록 한다.
  3. 두루마리형 단열재는 눌리지 않도록 나무벽돌을 벽면에서 단열재 두께 만큼 돌출하도록 설치한다.
  4. 벽과 바닥 접합부의 단열재 사이에 틈새가 없어야 한다.

 

 

 

 

천장의 단열공사

  • 반자틀에 판형 단열재를 설치할 때 천장 마감재를 설치하면서 단열시공한다.
  • 블랭킷형은 천장마감재를 설치한 다음 그 위에 펴서 깐다.
  • 포말형은 천장 마감재를 설치한 다음 방수 필름을 그 위에 설치하고 분사기로 분사한다.

 

 

지붕 단열공법

  • 단열재 - 지붕 slab 시공방법
  • 지붕 slab - 방수층 - 단열재 시공방법
  • 지붕 slab - 단열재 시공 - 방수층 시공방법
  • 천장공간 단열 시공 방법 : 최상층은 천장설치나 환기구멍을 설치할 것

 

지붕 윗면의 단열시공

철근콘크리트 지붕 슬래브 위에 설치하는 단열층은 방수층 위에 단열재를 깔고 이음새는 내습성 테이프로.. 단열재 윗면에 방습시공을 한다.

 

 

창단열 공법

  • 창문면적을 필요 이상 크게 하지 말것
  • 이중창 또는 복층유리로 사용 기밀성 유지
  • 커튼 또는 채양시설
  • 흡열 유리 사용

 

 

단열시공 바탕 : 단열재 또는 방습재 설치에 지장이 없도록 돌출물을 제거하여 평탄하게 정리 & 청소한다.

단열재의 이음 : 단열재를 겹쳐서 사용하고 이음새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오도록 시공한다.

접착제를 사용할 때 : 바탕면을 평탄하게 한 후 밀착하여 시공하되, 초기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 완전히 접착될 때까지 압착상태를 유지한다.

단열재의 이음부 :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접착제, 테이프 또는 시방에 준하여 접합하며, 부득이 단열재를 설치할 수 없는 부분에 적절한 단열보강을 한다.

 

 

 

 

방습재 설치 : 단열공사에서 방습시공을 할 때에는 방수필름을 대고 단열재를 댄다. 접착부는 5~15cm 겹쳐 내습성 테이프로 붙인다.

보양 : 공사가 완료된 단열층, 방습층은 병행하는 공사와 기후에 손상되지 않도록 보양한다.

 

      외단열 내단열
실온변동 내부 벽체 축열을 통해 실온 변동을 줄여줌, 난방 정지시 실온 강하 적음 실온 변동이 외단열에 비해 큼, 난방 정지시 실온 강하가 외단열 보다 큼
열교 발생 열교가 잘 발생하지 않음 구조체 접합부에서 단열재가 불연속되어 열교 발생하기 쉬움
표면 결로 내부 벽체 축열을 통해 간헐 난방시 난방 정지중에도 실내표면 온도 하강 작음 외단열에 비해, 난방 정지시 실내 표면 온도 하강 커, 결로 발생 가능성 있음
난방 방식과의 관계 구조체 축열을 시간 걸리므로 단시간 난방 필요한 건물에 불리 사용시간이 짧아 단시간 난방 필요한 건물에 유리

 

 

단열재 선정의 부위별 유의점

부위 유의점
천장 판상단열재보다 형상에 유연성이 있는 쪽이 좋다. 실내수증기가 지붕아래에서 빠져나가기 쉬우므로 방습층은 완전히 시행할 필요가 있다.
보드상 단열재는 간주의 충진이 불가능하므로 벽외층이나 내측의 시공이 된다. 섬유계 단열재는 비를 막는 실내측 방습층이 필요
바닥 장선간에 충진하는 것이 일반적 동기는 실내부터의 수증기, 하기는 흙속의 수증기에 대한 완전한 방습이 필요 바닥에서의 누수사고를 고려한다면 흡수성이 없는 단열재가 적당

 

판형 : 섬유질과 다공질의 단열재 중 스티로품, 폴리스티렌 등을 사용하는 가장 보편적인 단열공법

 

판형 열교환기

현장 발포형 : 발포원액이 순간적으로 부풀면서 굳어 단열효과를 낸다.

(우레탄폼 스프레이 / 발포 지수제(우레탄지수제)

모포형 : 벽체 시공시 주저앉기 방지를 위한 띠장이나 클립을 설치한다.  [지붕 위 모포형 단열재 / 내부에 모포형 단열재]

모르타르형 : 단열모르타르와 물을 1 : 0.75로 혼합 후 15분이 경과한 뒤에 초벌 바름을 시작한다.

기존 단열재 시공방식 / 일체형 단열재 I-BOARD 시공방식

728x9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