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부위에 따른 단열공법
일반사항
단열시공 바탕은 단열재 또는 방습재 설치에 지장이 없도록 못&철선&모르터 등의 돌출물을 제거하여 평탄하게 정리, 청소한다.
단열재를 겹쳐서 사용하고 각 단열재를 이을 필요가 있는 경우, 그 이음새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오도록 해야 한다.
단열재를 접착제로 바탕에 붙이고자 할 때에는 바탕면을 평탄하게 한 후 밀착하여 시공하되 초기박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완전히 접착될 때까지 압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초기 접착 후 30분 이내에 압착한다.
단열재의 이음부는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접착제, 테이프 또는 특기 시방에 따라 접착하며, 부득이 단열재를 설치할 수 없는 부분에는 적절한 단열보강을 한다.



최하층 바닥의 단열공사
- 건물바닥 내부의 열을 바닥으로 빼기지 않기 위한 단열 공법
- 방습층을 단열재 바깥쪽에 설치한다.
- 냉동고 바닥의 경우는 지중의 동결방지를 위한 바닥시공
콘크리트 바닥의 단열공사
- 콘크리트 슬래브 바탕면을 깨끗이 청소한다.
- 방습필름을 깐다.
- 방습층위에 단열재를 설치한다.
- 누름 콘크리트 또는 보호 모르터를 소정의 두께로 바르고 마감재료로 마감한다.


조적조 중공 벽체의 단열공사
- 단열재를 설치하는 면에 모르터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쇠흙손질로 흐른 모르터를 평탄하게 한다.
- 단열재와 외측벽체 사이에 쐐기형 단열재를 60cm 이내로 박아넣어 단열재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시킨다.
- 포말형 단열재를 충전할 때는 중공벽을 완전히 쌓되 방습층을 설치하고 단열재 주입구를 줄눈부 위에 설치한다.
- 포말형 단열재를 줄눈 모르터가 양생된 후 아래에서부터 주입구를 통해 압축기로 포말형 단열재를 주입한다.
벽체 내벽면의 단열시공
- 바탕벽에 띠장을 설치한다. 방습층을 두는 경우는 원칙적으로 설치한다.
- 띠장간격에 맞춰 단열재를 재단하고, 띠장의 춤은 수장재를 붙였을 때 단열재가 눌리지 않을 정도가 되도록 한다.
- 두루마리형 단열재는 눌리지 않도록 나무벽돌을 벽면에서 단열재 두께 만큼 돌출하도록 설치한다.
- 벽과 바닥 접합부의 단열재 사이에 틈새가 없어야 한다.
천장의 단열공사
- 반자틀에 판형 단열재를 설치할 때 천장 마감재를 설치하면서 단열시공한다.
- 블랭킷형은 천장마감재를 설치한 다음 그 위에 펴서 깐다.
- 포말형은 천장 마감재를 설치한 다음 방수 필름을 그 위에 설치하고 분사기로 분사한다.


지붕 단열공법
- 단열재 - 지붕 slab 시공방법
- 지붕 slab - 방수층 - 단열재 시공방법
- 지붕 slab - 단열재 시공 - 방수층 시공방법
- 천장공간 단열 시공 방법 : 최상층은 천장설치나 환기구멍을 설치할 것
지붕 윗면의 단열시공
철근콘크리트 지붕 슬래브 위에 설치하는 단열층은 방수층 위에 단열재를 깔고 이음새는 내습성 테이프로.. 단열재 윗면에 방습시공을 한다.



창단열 공법
- 창문면적을 필요 이상 크게 하지 말것
- 이중창 또는 복층유리로 사용 기밀성 유지
- 커튼 또는 채양시설
- 흡열 유리 사용



단열시공 바탕 : 단열재 또는 방습재 설치에 지장이 없도록 돌출물을 제거하여 평탄하게 정리 & 청소한다.
단열재의 이음 : 단열재를 겹쳐서 사용하고 이음새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오도록 시공한다.
접착제를 사용할 때 : 바탕면을 평탄하게 한 후 밀착하여 시공하되, 초기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 완전히 접착될 때까지 압착상태를 유지한다.
단열재의 이음부 :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접착제, 테이프 또는 시방에 준하여 접합하며, 부득이 단열재를 설치할 수 없는 부분에 적절한 단열보강을 한다.
방습재 설치 : 단열공사에서 방습시공을 할 때에는 방수필름을 대고 단열재를 댄다. 접착부는 5~15cm 겹쳐 내습성 테이프로 붙인다.
보양 : 공사가 완료된 단열층, 방습층은 병행하는 공사와 기후에 손상되지 않도록 보양한다.


구 분 | 외단열 | 내단열 |
실온변동 | 내부 벽체 축열을 통해 실온 변동을 줄여줌, 난방 정지시 실온 강하 적음 | 실온 변동이 외단열에 비해 큼, 난방 정지시 실온 강하가 외단열 보다 큼 |
열교 발생 | 열교가 잘 발생하지 않음 | 구조체 접합부에서 단열재가 불연속되어 열교 발생하기 쉬움 |
표면 결로 | 내부 벽체 축열을 통해 간헐 난방시 난방 정지중에도 실내표면 온도 하강 작음 | 외단열에 비해, 난방 정지시 실내 표면 온도 하강 커, 결로 발생 가능성 있음 |
난방 방식과의 관계 | 구조체 축열을 시간 걸리므로 단시간 난방 필요한 건물에 불리 | 사용시간이 짧아 단시간 난방 필요한 건물에 유리 |


단열재 선정의 부위별 유의점
부위 | 유의점 |
천장 | 판상단열재보다 형상에 유연성이 있는 쪽이 좋다. 실내수증기가 지붕아래에서 빠져나가기 쉬우므로 방습층은 완전히 시행할 필요가 있다. |
벽 | 보드상 단열재는 간주의 충진이 불가능하므로 벽외층이나 내측의 시공이 된다. 섬유계 단열재는 비를 막는 실내측 방습층이 필요 |
바닥 | 장선간에 충진하는 것이 일반적 동기는 실내부터의 수증기, 하기는 흙속의 수증기에 대한 완전한 방습이 필요 바닥에서의 누수사고를 고려한다면 흡수성이 없는 단열재가 적당 |
판형 : 섬유질과 다공질의 단열재 중 스티로품, 폴리스티렌 등을 사용하는 가장 보편적인 단열공법

판형 열교환기



현장 발포형 : 발포원액이 순간적으로 부풀면서 굳어 단열효과를 낸다.
(우레탄폼 스프레이 / 발포 지수제(우레탄지수제)
모포형 : 벽체 시공시 주저앉기 방지를 위한 띠장이나 클립을 설치한다. [지붕 위 모포형 단열재 / 내부에 모포형 단열재]
모르타르형 : 단열모르타르와 물을 1 : 0.75로 혼합 후 15분이 경과한 뒤에 초벌 바름을 시작한다.
기존 단열재 시공방식 / 일체형 단열재 I-BOARD 시공방식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환경 건축의 의미와 필요성 [기후변화의 심각성, 건축물의 에너지소비, 친환경 건축의 의미와 건축가의 역할] (0) | 2022.10.26 |
---|---|
리모델링 도시계획 [주택법 시행령 이해] (1) | 2022.10.25 |
설계방법과 안전성 구조설계 안전성 (0) | 2022.10.21 |
법령해석사례] 일조 등 확보를 위한 이격 거리 기준이 배제되는 요건 중 너비 20미터 이상의 도로에 접하는 대지의 범위 (건축법 시행령 제86조제2항 관련) (0) | 2022.10.20 |
콘크리트과 철근의 재료특성 : 건조수축/온도변화/인장강도/조합응력 (0) | 2022.10.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