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결로 방지 하는 방법 - 단열 보강, 환기, 방습층, 난방, 단열재

by Clover Marketer 2022. 9. 7.

결로 방지대책

단열 보강

  • 가장 중요한 결로 방지 방법으로 공기가 노점 이하가 되지 않도록 건물 표면을 보온 단열
  • 단열재, 이중 창호, 건물 기밀화 등에 의해 실내 보온
  • 냉교(Cold bridge)를 일으키지 않는 외단열 공법이 가장 효과적이다.

 

생활 습관 및 환기

  • 실내에 과다한 급기가 필요치 않도록 할 것
  • 환기에 의한 제습(자연환기 및 강제환기)
  • 특히, 화장실, 샤워실, 주방 등의 다량의 습기가 발생하는 곳은 환기 철저
  • 낮에는 실 전체를 open space로 개방

 

방습층 설치

  • 온도변화가 심하거나 고온 및 다습한 부분과 접촉하는 곳에 방습층 설치

난방 

  • 수증기 발생 난방 장치 주의, 북쪽 거실난방에 주의
  • 낮은 온도의 난방을 길게 하고 높은 온도의 난방을 짧게 한다.
  • 지하실의 경우 2중벽 설치
  • 실내 표면 마무리 재의 선별
  • 장마철에 통풍 및 가열로 습기 제거
  • 천장 단열시 통기구 설치

지하실의 결로 

발생원인

  • 여름철 : 고온다습한 외부공기가 실내로 흘러 들어옴으로써 온도가 낮은 벽이나 천장표면에서 냉각된 결과
  • 지하실 벽의 표면온도가 노점온도 이하일 경우에 외부공기가 흘러드는 상황
  • 상대습도가 높고 지역온도가 낮기 때문에 지하실은 결로 발생이 쉬움
  • 지하실에서는 누수에 의한 습도상승으로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음
  • 여름철 지하실의 결로는 밖에서 흘러 들어오는 공기가 노점 이하로 되어 있는 벽, 천장, 바닥 등에서 발생

 

 

발생원인의 지면온도와 바깥공기

지면 온도

  • 흙은 열용량이 크기 때문에 온도 변동이 완만하여 지하실은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철에는 시원한 특징
  • 지표에 가까운 여름철 지면온도는 지하로 깊어짐에 따라 온도가 급격히 저하됨 (지표면에서 3m 지하부분 온도가 약 -7.2도 저하)

바깥 공기

  • 여름철 외부공기는 온도도 높지만 상대적으로 습도도 높고, 이 때문에 절대습도와 노점온도가 높습니다.
  • 겨울철에는 지면의 온도가 바깥공기보다 높기 때문에 지하실이 따뜻해 일반적으로 겨울 결로는 발생하지 않음.

 

지하실 결로의 피해 및 대책

  • 피해
  • 여름철 결로는 대량의 결로수가 나타남과 동시에 곰팡이의 발생이라는 2차 재해도 있다.
  • 결로 대책
  • 환기에 의한 결로 방지
  • 보호벽, 방습벽 설치
  • 단열재에 의한 결로 방지, 환기량에 맞는 단열재 결정
  • 설비기구에 의한 결로 방지

 

 

단열

정의

  • 단열 : 물체와 물체 사이에 열이 서로 통하지 않도록 막음, 또는 그렇게 하는 일
  • 단열재 :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려는 부분의 바깥쪽을 피복하여 외부로의 열 손실이나 열의 유입을 적게 하기 위한 재료
  • 소재 : 유기질과 무기질로 구분
  • 유기질 : 코르크, 면, 펠트, 탄화코르크, 거품고무 - 150도 이하에서 사용
  • 무기질 : 석면, 유리솜, 석영솜, 규조토, 탄산마그네슘분말, 마그네시아분말, 규산칼슘, 펄라이트 등 - 대부분 고온에서 사용 가능, 각 소재의 연화온도가 사용한계임
  • 소재 자체의 열전도율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열전도율을 작게하고자 공질로 만듬
  • 시공방식에 따른 분류 : 내단열과 외단열로 구분

분류

  • 내단열 : 물체와 물체 사이에 열이 서로 통하지 않도록 막음, 또는 그렇게 하는 일
  • 외단열,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려는 부분의 바깥쪽을 피복하여 외부로의 열 손실이나 열의 유입을 적게 하기 위한 재료입니다.
728x9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