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로 개념 정의
- 포화수증기압은 최대로 들어갈 수 있는 수증기량의 습도를 말함
- 상대습도는 최대한 들어갈 수 있는 수증기량(포화수증기압)에 대한 현재 있는 수증기의 비율임
- 즉, 상대습도 = (현대수증기압) / (포화수증기압)
- 이슬점은 기온이 떨어져 수증기(기체)가 식어 물(액체)이 생기는 최초의 온도- 이때의 온도를 노점 온도라고도 부릅니다.
- 결로는 온도가 노점 온도 이하임에도 불구하고 발생한 습기를 감소시키지 안하면 발생합니다.
- 즉, 건축 내부의 습한 공기가 실내의 벽, 천장, 바닥의 표면에 접촉할 때 그 부위의 표면 온도가 실내공기의 노점 이하일 경우 공기 중의 수분이 그 표면에서 결로 현상을 나타냄
- 또한 표면에 결로한 수분 또는 수증기 자신이 벽체의 틈으로 내부 공극 내로 침입하면 벽체 내면에 결로가 발생하게 됨
결로의 위치별 분류
표면 결로 : 실내 공기 중 수증기가 벽 등 저온 부분 표면에 접촉, 응결 - 곰팡이, 얼룩 발생합니다.
- 내부 결로 : 벽체 등 구성재 내부 수증기가 온도 저하로 응결
- 철근에 녹 발생
- 콘크리트 내부에 함습되어 동결융해 작용
결로 발생시기별 분류
- 겨울철 결로 : 외부 기온이 낮아짐에 따라 실내 측에 결로 발생
- 여름철 결로 : 실내 측 저온에 의한 구조체의 외기 측 온도 저하로 실외 측 결로 발생, 지하층일 경우 깊이 따른 지하실의 온도 저하와 더운 공기의 유입으로 지하실 내부에 결로 발생
- 봄, 가을철 결로 : 기후 변화로 인해 남부지방에 태평양으로부터 고온 다습한 공기가 유입되었을 시 실내 측에 결로가 발생
결로 발생 장소
- 고온다습할 때 실내의 각 부분
- 지하실에 흙에 접한 외벽의 안쪽
- 보온재가 속에서 끊어진 부위2면이 교차되는 모서리 부분
- 재질이 달라지는 부위
- 열전도율이 높은 자재 등의 배관 접합부
- 외기에 접하는 부분
- 준공한지 얼마되지 않은 철근콘크리트 건물
결로 피해
- 결로수 낙하
- 곰팡이 발생
- 목재 부위의 부식
- 도막재의 박리
- 재료의 습윤에 의한 열전도율 상승
- 재료 습윤, 결빙에 의한 수축, 휨, 동해 등
결로 발생원인
건물의 입지조건
- 기후 조건(온도, 일사, 바람 등)이 까다롭다.
- 건물이 밀집되어 일조량, 통풍이 나쁘다.
- 외기의 습도가 높다.
건물조건
- 콘크리트, 알류미늄 샷시, 방습충의 습기 제거 및 환기 미흡
- 단열 불량
- 바닥콘크리트, 지하실 등 상부의 냉열
- 방습층의 부족과 건축물의 노화
- 내장재의 흡습, 방습 등 성능 부족
- 시공시 콘크리트 증의 건조 상태
- 수납부분(벽장, 다락방)이나 가구 뒷면의 통기불량
- 상대습도가 높을때 실내의 기온이 낮을 경우 발생(지하실 등)
생활 습관에 의한 것
- 실내 수증기 배출
- 기밀성을 충분히 갖춘 건물에 대한 인식 분석
728x90
그리드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조절의 전통적 방법 온돌과 현대주택건축에서 적용 방법 (0) | 2022.09.08 |
---|---|
결로 방지 하는 방법 - 단열 보강, 환기, 방습층, 난방, 단열재 (0) | 2022.09.07 |
시공줄눈, 신축줄눈, 조절줄눈, 조인트(Joint) 정의 (0) | 2022.09.06 |
건축과 재료 - 무채색과 유채색 , 색채와 색의 중량감, 재질감 개념정의 (0) | 2022.09.03 |
발코니 바닥면적 및 건축면적 적용기준 (0) | 2022.09.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