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B인증6 제로에너지 공동주택으로 주거비 부담 줄여 드려요 [친환경주택 건설기준 개정안 행정예고] 정리 +제로에너지 공동주택으로 주거비 부담 줄여 드려요 [친환경주택 건설기준 개정안 행정예고] 정리국토교통부, 2025년부터 신축 공동주택 제로에너지 건축물 의무화!친환경건축 및 제로에너지건축에서 주거비 부담을 줄여준다니. 무슨 업체홍보인줄 알았는데, 앞으로 친환경주택 단설기준을 개정해서 조금 더 친환경적이고 전기세나 보일러 비용의 부담이 들어들 수 있다는거죠. 주거비 부담 줄이고 온실가스 감축까지! 국토교통부는 2025년부터 신축 공동주택(30세대 이상)에 제로에너지 건축물 기준을 의무적으로 적용한다고 4월 12일 발표했습니다. 이는 공동주택의 에너지 성능을 강화하여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고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기 위한 정책입니다. 제로에너지 공동주택이란? 제로에너지 공동주택은 건축물 자체에서 사용하는 에너.. 2024. 6. 7. 건축물 에너지 인증제도 통합 - 친환경건축 제로에너지건축물 ZEB인증제도 건축물 에너지 인증제도 통합 - 친환경건축 제로에너지건축물 ZEB인증제도건축물 에너지 인증제도 통합인증제도 통합최소한의 변화 : 에너지자립률과 1차 에너지소요량 기준 중 높은 등급으로 평가 (선택가능)등급체계 간소화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체계에서 실효성이 없는 하위등급 삭제(1+등급 -7등급)ZEB 등급체계 확장 : 에너지자립률 120% 이상 ZEB Pluse 등급 신설하여 진취적인 ZEB 확산을 유도적용 대상 : 2025년 1월 1일 이후 건축허가를 받은 건축물 (시행 이전에 허가받은 건물은 종전기준 적용) 변화된 ZEB 등급기준기존 ZEB 등급체계는 유지하되, 신설된 1차에너지소요량 기준을 선택가능할 수 있게 추가하여 제도의 수용성을 강화함ZEB plus 등급을 신설하여, 기존 5등급체계에서 6등.. 2024. 6. 6. 제로에너지 공동주택 설계 방법 - ZEB인증 (제로에너지건축물 관련 정책, 2025년 제로에너지 공동주택 설계 대응방법) 제로에너지 공동주택 설계 방법 - ZEB인증 제로에너지건축물 관련 정책, 2025년 제로에너지 공동주택 설계 대응방법 최신 제로에너지 건축물 관련 정책2025년 제로에너지건축물 정책변화정부의 기조 : 2023년 4월 탄소중립,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제1차 국가 기본계획 발표함에 따라 2030년까지 건물부분에서 온실가스 35.0 백만톤 감축 목표 수립저변 확대 : 신규 민간 건축물의 설계기준을 제로에너지건축물 5등급 수준으로 상향 조정하고 단계적으로 확대 (기존건축물은 그린리모델링 확산 및 추진)제도 개선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를 통합하여 인증시간 및 절차 간소화 추친 구 분세부 구분이 전2025년 이후제로에너지건축물 확대공공(23') ZEB 5등급- 30세대 이상 공동주택- 1,.. 2024. 5. 2. 제로에너지 공동주택 에너지절약형 친환경건축 설계기법 한 번에 알아보기 제로에너지 공동주택 에너지절약형 친환경건축 설계기법프리패시브 기술 및 패시브 디자인설계 초기단계부터 건축물의 에너지 요구량을 최소화 전략을 적용하여 신재생에너지 의존도 최소화 필요건물의 배치/형태, 외피의 단열성능, 방위별 창면적비, 차양 및 유리의 SHGC를 고려하여 에너지절약형 설계 적용 에너지 통합설계 목표에너지요구량 최소화패시브 설계기법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의존도 최소화에너지요구량건물 배치 및 형태 계획외피 단열성능 강화방위별 창면적비 최적화차양 및 유리 SHGC 개선 건물 배치 계획세대 일조확보율을 고려한 배치계획을 통해 충분한 채광의 실내 유입을 유도하여 실내 쾌적성 향상적절한 일사 유입을 통한 난방부하 저감으로 에너지요구량 감소제로에너지 달성을 위한 태양광 설치가능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 2024. 4. 25. 친환경건축 민간공동주택 ZEB인증 : 제로에너지 건축 의무화 1년 유예 친환경건축 제로에너지 건축 의무화 1년 유예 과거 친환경 건축과 인허가 업무에 대한 내용으로 국내 제로에너지 건축 의무화 세부 로드맵 내용에 대해서 정리를 해드린적이 있는데요. 2020년부터 공공건축물 연면적 1,000m2 이상에서 2023년 공공건축물(5등급),연면적 500m2 이상 공동주택 30세대 이상으로 진행이 되던 것이 2024년부터는 민간공동주택의 5등급 수준이 공동주택 30세대 이상부터는 의무화 될 예정이었습니다. 이런 국내 제로에너지 건축 의무화 과정을 통해서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하고 점차적으로 공공건축물과 민간건축물의 제로에너지의 건축을 의무화 함으로서 친환경 건축을 늘려갈 예정이었습니다. 2022.12.07 - [건축] - 친환경 건축과 인허가 업무 [건축물 에너지절약 설계기준EPI,.. 2024. 3. 11.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정의 - 친환경건축 제로에너지건축물 (ZEB) 정의 건물에 필요한 에너지부하를 최소화하고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하는 녹색건축물 패시브(Passive) - 냉, 난방 에너지사용량 최소화 (단열, 기밀성능 강화 등) 액티브(Active) - 고효율기기 적용 및 신, 재생에너지 생산 (태양광, 지열 등) 제로에너지 건축 (Zero Energy Building) 에너지부하(에너지요구량) - 특정조건(내,외부온도, 재실자, 조명기구 등)하에서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 건물이 요구하는 에너지 에너지 소요량 - 에너지 요구량에 설비의 손실량을 모두 더한 값 패시브 - 전기, 열 등 별도의 에너지가 소비되지 않는 요소 설계로 건물방위, 형태, 단열성능, 기밀성능 등 건축적 설계요소 액티브 - 별도의.. 2022. 6.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