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13번째 월급 받기 연말정산 신청 방법, 연말정산 하는 방법, 회사 이직시 연말정산. 필요한 서류와 자료는 무엇일까?

by Clover Marketer 2025. 2. 4.

13번째 월급 받기 연말정산 신청 방법, 연말정산 하는 방법, 회사 이직시 연말정산

2022년부터 블로그를 통해서 매년 연말정산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작성을 해드렸는데요. 연말정산 서류 온라인 제출하는 방법, 연말정산에서 월세공제, 주택청약 세금공제 방법 등 기본적은 부분에 대해서는 많이 설명을 드렸다고 생각하니까. 간략하게만 설명을 드리는 것으로 하고 이번에는 추가적인 이야기를 진행해볼까 합니다.

바로 회사 이직을 했을때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하신분들을 위해서 추가적인 내용으로 작성을 해볼까 합니다. 그 이유로는 제가 작년 12월 중순에 이직을 하면서 이직을 한 뒤 연말정산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궁금해 했던 것들을 알려드리고자 하기 때문입니다.

혹시라도 자세한 부분에 대해서 연말정산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궁금한 부분이 있으시다면 기존에 작성한 아래 글을 참고 해주세요!

 

2022.01.17 - [경제정보] - 13번째 월급 받기, 연말정산 하는 방법, 연말정산 월세공제, 주택청약 세금공제에 대해서 알아보자.

 

13번째 월급 받기, 연말정산 하는 방법, 연말정산 월세공제, 주택청약 세금공제에 대해서 알아보

코로나로 인해 2021년 한 해 동안 고생많이 하셨습니다. 많은 분들이 경제적으로 힘들었지 않았을까 생각하며 2022년에는 모두 좋은 일만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매년 1월이 되면 꼭 해야하는 중요

three-leaf-clover.tistory.com

2024.01.19 - [마케팅] - 2024년 연말정산 서류 온라인 제출방법 및 일정

 

2024년 연말정산 서류 온라인 제출방법 및 일정

2024년 연말정산 서류 제출방법 및 일정 2023년 연말정산을 아래의 일정으로 진행 하며, 온라인 서류 접수 방법 어느덧 다시 연말정산의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2023년에 많이 소비를 하셨던분께서

three-leaf-clover.tistory.com

2023.01.16 - [경제정보/경제 상식] - 연말정산 방법. 연말정산에 필요한 서류, 자료는 무엇일까? 13월의 월급 받는 방법[월세 연말정산 공제 방법, 주택청약 세금공제 알아보기]

 

연말정산 방법. 연말정산에 필요한 서류, 자료는 무엇일까? 13월의 월급 받는 방법[월세 연말정산

연말정산 하는 방법 연말정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필요한 서류 연말정산 월세공제, 주택청약세금공제 등 궁금한 점이 많을거에요. 특히 사회초년생이나 매년 바뀌는 부분에 대해서 알아

three-leaf-clover.tistory.com

 

이처럼 제가  2022년, 2023년, 2024년에 연말정산으로 13번째 월급 받기라는 글이구요.

 

 

 

 

 

홈텍스에 접속해서 소득 세액공제 자료 조회를 다운 받아주셔야 하는데요.

이때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이용해주시면 가장 편리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 세액공제 자료 조회

건강보험, 국민연금, 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신용카드, 직불카드, 현금영수증, 개인연금저축 / 연금계좌, 주택자금, 월세액, 주택마련저축, 장기집합투자증권저축 / 벤처기업투자신탁, 소기업, 소상공인 공제부금, 기부금, 장애인증명서 등을 확인할 수 있어요.  모두 다운로드를 눌려서 pdf로 받은 뒤 회사에 제출해주면 되는데요. 제가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는 pdf를 제출하면 자동으로 인식이 되어서 바로 내역을 확인 할 수 있게 되어 있었습니다.

이제는 회사를 이직하고 연말정산을 할때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이야기를 해볼께요.


 

회사 이직 후 연말정산 할때

가장 중요한게 바로 전 직장에게서 퇴사할때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을 발급받아서 나오는게 가장 좋습니다. 퇴사하고 나서 막상 연말정산 시즌이 되어서 떠올라서 부랴부랴 다시 연락해서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을 달라고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퇴사를 할때 바로 처리를 해서 pdf로 내역을 보내달라고 하면 나중에 바로 연말정산을 할 수 있으니까요.

저는 경영지원부가 제 공채 출신 동기가 담당을 하고 있었고 12월 중순에 퇴사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급여명세서를 보내줄때 함께 알아서 챙겨줘서 바로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에 있는 금액을 전 직장 내역을 작성할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세부적인 내용은 개인정보이기 때문에 모자이크를 조금 하였습니다. 제가 받은 급여명세서에 대한 내용인데요. 저는 건축회사에 있었기 때문에 청년세금감면을 받고 있어서 정말 소득세를 적게 내고 있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세액공제가 적은 편인데요. 올해부터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세금 관리를 열심히 해야할거 같더라구요..

이렇게 근로소득 원청징수영수증을 받아서 직전 회사의 자료를 함께 보내주면 됩니다. 회사에 따라서 직접 입력을 하는 경우가 있고, 경영지원팀에서 작성을 해주는 경우도 있는데요. 제가 이직한 회사의 경우에는 자체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어서 제가 직접 내부 사이트에 작성을 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었는데, 숫자로 된 번호와 세금 감면에 대한 코드 번호 등을 살펴서 작성을 하니까, 어렵지 않게 작성을 할 수 있었어요.

 

이렇듯 이직을 했을때는 전 직장회사에서의 소득 금액에 대한 부분을 작성할 필요가 있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인데요. 이외로는 원래 하는 방식대로 간소화된 소득증빙자료를 국세청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작성을 해주시는 방식 그대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정말 옛날에 비해서는 연말정산 하는 방법이 쉬워졌기 때문에 누구나 쉽고 간단하게 연말정산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주택구입에 대한 부분과 월세 같은 내역에 대해서는 직접 계약서와 입금내역을 통장에서 첨부해주셔야 연말정산에 인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누군가 해주겠지? 라는 생각으로 있지 말고 꼭 찾아서 내가 냈던 세금에서 합법적으로 찾을 수 있는 금액에 대해서는 환급 받을 수 있도록 하자구요.

내년에는 저 역시도 연말정산에 내는 세금이 늘어남에 따라 ISA, IRP처럼 연금 형태의 세금 감면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추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항상 직접 해보고 작성하는 블로그니까요!

그럼 모두들 연말정산 잘 받아서 13월의 급여로 돌려받자구요. 세금 뱉어내는것은 너무 슬프니까요.

728x9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