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건축의 정의
일반적 정의
인간과 환경이 어우러지는 자연 친화적, 녹색, 생태 건축
물리적 개념 : 친환경 건축 인증 등에 명시한 숫자적 개념
예) 자연채광율, 신재생에너지 사용율, 단열 정도, 자연공조율 등
심리적 요인 : 건축 미학적, 예술적, 공간적, 시지각 심리학적 인식
전문적 정의 : 다양한 개념
- 생태건축
- 환경 건축
- 환경보전형 건축
- 환경공생형 건축
- 친환경 건축
- 환경친화적 건축
- 그린 (녹색) 건축
- 생태 건축
- 생물 건축
- 기후순응형 건축
- 대안 건축
- 지속가능한 개발
- 리우 선언의 핵심
- 후세대의 필요와 복지를 과도하게 위협하지 않는 자원과 환경 개발
- 자연 자산의 잠식 없는 효과적 이용과 생존
- 즉, 자연환경이 인류에 대한 수용능력의 범위 내에서의 개발
- 따라서 생태 균형과 지속성을 위해 사용 가능한 총량설전과 이의 초과 불가
지속가능한 건축 개발 실천목표
자연자원의 경제적 이용
- 원자재 채굴, 제품 생산과 사용, 폐기에 이르는 라이프사이클을 충체적으로 고려
- 재생불능 혹은 환경피해가 큰 건축자재의 배제
- 구체적으로 에너지와 토지, 천연자원의 효율적 활용, 폐기물의 재활용의 도입
주민 참여와 균등 배분
- 지역개발 및 토지이용에 대한 의사결정에 대한 시민참여
- 사회 구성원의 평등하고 형평 있는 자원 사용권리 (예 : 도시 내 녹지의 유기적 공동사용)
환경 보호
- 환경오염 및 생태계 저해 재료 사용금지
- 가용 범위 내에서의 천연자원 활용
건축에서의 지속가능한 개발 필요성
- 건설분야의 GDP비중은 대략 15% 이상
- 부의 50% 이상 건설시장 투입
- 세계 원재료 총 소비향의 40%
- 매년 약 30억 톤의 원재료가 기둥, 벽체, 마감재 등에 사용
- 전 세계 에너지 소비의 1/3은 건축물이 사용
- 쓰레기 총량의 50% 이상 (년간 9000만톤)이 건축물 해체쓰레기 (미국)
- 국내 전체 CO2발생량 50% (건설 시 23% + 건물 운영시 23%)
환경공생주택
◾생물의 상호생존관계인 ‘공생’ 개념이 토대
◾1991년 일본 환경공생주택위원회 결성 후 본격적으로 개발
◾지구 지역 환경 보전의 목적
◾지역특성이나 거주형태에 대응한 자연 및 에너지 이용, 폐기물 처리 측면의 배려, 주변 자연환경과의 친화
◾거주자의 주체적 참여로 건강 및 쾌적한 생활을 영위하는 주택 및 그 지역환경
개발 배경
◾지국환경문제의 개선
◾과밀화로 나빠진 도시 거주환경 문제 개선
◾자원 및 에너지 절약
◾웰빙 및 고령화 시대, 경제 수준에 알맞는 주택의 질 제고
설계방법
◾지구 환경의 보전: 에너지소비감소와 효과적 이용, 자연에너지의 이용, 자원의 효과적이용, 폐기물 감소, 오존층 보존
◾주변 환경과의 친화성: 지역-지구의 생태적 풍부함과 순환성 배려, 건물 내-외의 어메니티(Amenity, 쾌적성)향상, 주택의 안전과 건강성 제고, 풍부한 집주성의 도출과 배양
목표
◾에너지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절감
◾수자원의 소비 절감
◾폐기물의 리사이클링
계획내용 및 환경친화 설계요소
-개요
◾기존수목은 최대한 살리고 생태계를 재현한 비오톱을 형성, 벽면녹화, 태양열 이용, 옥상정원 등 다양한 친환경 요소 도입
◾물리적 계획 외에 오랫동안 단지에서 거주해 왔던 고령자한 계획적 배려
◾고령자, 장애자 및 가족세대형 등 다양한 주거형 건설
◾지역의 고령자를 위한 재택 서비스센터 마련등
⑴비오톱: 단지 내 우물을 이용한 수생 비오톱 및 기존 수목 및 지형을 보존한 비오톱 조성
⑵옥상녹화 및 테라스 녹화
-평지붕에는 옥상녹화로 보언, 차열, 에너지절약, 자연생태계회복 효과 등에 기여
-테라스 및 발코니 등 장소마다 식재 및 화단설치
⑶벽면녹화
-각 주동의 측벽 및 필로티 부분에 넝쿨식물을 이용한 녹화
-경관제고 및 건축물 단열성 제고 효과
⑷풍력 발전: 중정 및 건물 옥상에 2기의 풍차 설치, 단지내 순환용 시냇물의 동력으로 사용
⑸태양열 에너지 활용
-주동 옥상에 솔라 콜렉터를 설치, 고령자시설의 급탕 및 난방용으로 활용
-집열판 부착 가로등 및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솔라 시계 설치
⑹우수저장시설 및 투수성 포장
-주동 지하에 빗물저류조 설치, 고령자시설 화장실 등 잡용수로 이용
-각 주호의 발코니에도 빗물을 모아두는 저수탱크 설치
-단지 내 도로나 주차장에 투수성 재료로 포장하여 물 순환체계 유지
⑺기존 지형지물활용
-기존 우물 14개소 중 4개소 보존, 단지 내 시냇물과 화단 살수용으로 활용
-기존 지형 최대한 활용하여 반출토 없이 단지조성
-기존 우량 수목 보존 및 단지 내 재활용
-건설시 폐기물 최대 억제
⑻발코니 이용: 발코니를 넓게 계획하여 플랜트용 공간 및 주민의 자주적인 녹화공간 제공
⑼환경친화건축자재 사용 및 음식물쓰레기 퇴비화 시설
-환경과 건강을 고려한 건자재 및 무공해 벽지등 사용
-음식물을 퇴비화하여 단지 내 화단 등에 사용
⑽고령자 및 장애자를 배려한 계획(p27참고)
-휠체어 장애자를 위한 주택 3호 설치
-단지 내 단의 차이 최소화 및 슬로프 조성
⑾커뮤니티 공간 마련
-주민 자발적 참여와 활발한 교류 위한 텃밭녹지, 공개공지. 아동공원, 공중보도 등 계획
-인근 주민과의 교류 및 산책로 등의 개방을 위하여 울타리 미설치
텃밭, 화단의 관리를 위하여 인근 원예고등학교의 실험장소로 활용
그린 하우스
저 에너지 친환경주택(건축) : 패시브시스템 + 신재생 에너지 설비 도입
- 환경부하 최소화 및 쾌적한 주거환경조성
- 에너지비용 및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
- 에너지 소모량 : 일반 주택의 10분의 1
탄소제로 주택
- 그린 홈과 동일 개념
- 영국정부 주택 정책일환
- 2016년부터 전체 주택을 탄소제로에너지화
- 2012년부터 신축건물 : 지속가능 주택법 3등급 의무화
영국의 탄소제로 주택 모델의 특성
- 남향 지붕위에 태양전지판 설치
- 옥상 녹화로 천연 단열효과 고려
- 여름에 실내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 올라갈 경우 자동셔터 방식으로 창문이 저절로 열림
- 공기 열펌프는 공기에서 열을 뽑아서 난방을 하거나 물을 데우는데 사용
-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엔 따뜻하도록 단열 효과가 큰 중량 콘크리트의 사용 (실내의 열 방출을 막는 두꺼운 중량 콘크리트 바닥 시공)
- 두께 18cm의 고성능 단열재 사용
- 내부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3중 (유리창은 삼중창)창 설치
패스브 하우스 + 엑티브 시스템
- 패시브 하우스 : 통상적 냉난방(설비) 설치 없는 쾌적 실내환경 조성건축
- 패시브 디자인 : 고효율 단열재, 자연환기 최적화 평면, 시스템 이중창호, 지붕녹화, 외단열 시스템, 고기밀 창호, 항균 필터 환풍기
- 엑티브시스템 : 태양광 발전 태양열 급탕, 풍력발전, 열교환 환기, 우드 펠렛 보일러
- weter & material : 우수활용, 중수 활용, 자연정화연못, 절수형 기기, 친환경 자재, 지역자제 활용
패시브 하우스 - 정의
- 능동적으로 에너지를 유입하여 사용하는 엑티브 하우스에 대응하는 개념
- 건축물 안의 열을 최대한 차단하여 에너지를 최소화한 하우스
패시브 하우스 - 기본 조건
- 슈퍼 단열과 열 교환의 최소화
- 건물의 기밀성
- 태양에너지의 사용
- 열교환기가 있는 공기 장치 (향균필터 환풍기)
- 고효율창
플러스 에너지 하우스
- 세계최초의 회전식 태양주택 '헬리오트로프'를 건축가 롤프 디쉬가 설계
- 지붕에 설치된 2축 태양광 시설을 통해 건물의 자체 전력 소비량보다 5~6배 많은 에너지 생산하는 잉여 에너지 집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M 건축 빛의 성질 - 시각적 속성표현 (1) | 2023.04.21 |
---|---|
건축구조 구조재료 : 철근콘크리트구조(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정의 및 장점과 단점 (1) | 2023.04.20 |
앵글(Angle)과 플레이트(Plate)를 사용하는 방식 (0) | 2023.04.16 |
건축구조 모르타르 사용여부에 의한 유형 - 습식공법 (전체주입공법, 부분주입공법, 절충공법) (0) | 2023.04.15 |
건축 돌 쌓기 (석재 마감 공법) - 외양에 의한 유형 (0) | 2023.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