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과사회 차 없는 거리 활성화를 위한 방안
경제와 기술이 발달할수록 우리 주변에는 수많은 도시가 생겨나고 있으며 이 도시 안에는 많은 사람들이 유입되는 만큼 많은 차량들이 도시를 점유하고 있어요. 도시 안의 차량의 수가 늘어날수록 사람들에게 편의를 주기도 하지만 보행자들에게 위협을 주는 요소가 되기도 해요. 이에 도시는 차량으로부터 보행자들을 보호 할 필요를 느끼게 되고, 이에 보행자 전용가로라는 물리적인 환경개선을 시행하기 시작해요.
이 보행자 전용가로는 보행자를 차량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가로 주변 상가의 활성화를 통해 도심 경제의 활력을 되찾을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의 역할을 하고 있어요. 우리나라는 이 보행자 전용가로를 차 없는 거리라는 하나의 정책을 시행하여 도심 속에 마련하고 있는데, 현재 진주시에서는 대안동을 중심으로 두 곳을 차 없는 거리로 지정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저는 그 대안동 차 없는 거리를 활성화 대상지로 선정하였어요.
- 심리 행태
- 설문조사
- 결론
심리 행태
체크리스트 도출
인간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생길 수 있는 개념을 분류, 도출하였으며, 각 지역별 차 없는 거리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한 뒤, 사용자 평가를 토대로 심리 형태적 요소를 분석한다. 심리형태적 분석선행 연구한 물리적 분석을 비교하므로 경기장이 가지는 문제점을 파악하며 대안을 모색하였다.
대분류 | 소분류 | 세부항목 | 평가기준 | 서울 인사동 |
부산 광복로 |
진주 로데오 |
안정성 | 보행공간 | 보행공간 | 보행 시 심리적 불안감을 주는 요소는 없는가? | |||
방범시설 | 가로등 | 이용자들이 적절히 인식하여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는가? | ||||
cctv | ||||||
휴게시설 | 휴게시설(벤치) | 휴게시설 이용 시 편안한가? | ||||
오픈스페이스(광장) | ||||||
인지성 | 대중교통 | 버스정류장 | 대중교통 정류장 이용 시 인지하기 쉬운가? | |||
지하철역 | ||||||
차량공간 | 주차공간 | 주차시설 이용 시 인지하기 쉬운가? | ||||
자전거 보관공간 | ||||||
보행공간 | 보행공간 | 보차분리가 되어있는가? | ||||
안내시설 | 안내소 | 안내시설을 인지하기 쉬운 곳에 설치되어 있는가? | ||||
안내표지판 | ||||||
상징물 | 조형물 | 차 없는 거리라고 인지하기 쉬운 곳에 설치되어 있는가? | ||||
휴게시설 | 휴게시설(벤치) | 휴게시설의 공간배치가 적절한가? | ||||
오픈스페이스(광장) | ||||||
위생시설 | ||||||
상업시설 | 상업시설 | 상업시설의 통일성이 있는가? |
대분류 | 소분류 | 세부항목 | 평가기준 | 서울 인사동 |
부산 광복로 |
진주 로데오 |
편리성 | 대중교통 | 버스정류장 | 대중교통 이용 시 접근하기 쉬운가? | |||
지하철역 | ||||||
차량공간 | 주차공간 | 주차시설 이용이 편리한가? | ||||
자전거 보관공간 | ||||||
보행공간 | 보행공간 | 보행 시 불편함을 주는 요소는 없는가? | ||||
안내시설 | 안내소 | 안내시설을 이용함에 있어 불편함이 없는가? | ||||
안내표지판 | ||||||
휴게시설 | 휴게시설(벤치) | 휴게시설을 이용함에 있어 불편함이 없는가? | ||||
오픈스페이스(광장) | ||||||
위생시설 | ||||||
상업시설 | 상업시설 | 상업시설 이용 시 혼잡함을 초래하지 않는가? | ||||
쾌적성 | 보행공간 | 보행공간 | 보행 시 불쾌함을 주지 않는가? | |||
휴게시설 | 휴게시설(벤치) | 휴게공간의 조성이 잘 되어있는가? | ||||
오픈스페이스(광장) | ||||||
위생시설 | ||||||
상업시설 | 상업시설 | 상업시설의 관리가 잘 되어있는가? | ||||
조경시설 | 조경수목 | 조경시실의 관리가 잘 되어있는가? | ||||
기타시설(수공간) |
심리 행태
안정성
- 사전적 의미 [명사] 바뀌어 달라지지 아니하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성질
- 차 없는 거리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불안감을 느끼지 않고 거리를 이용할 수 있는지 확인
안정성_보행공간
보행 시 심리적 불안감을 주는 요소는 없는가? 사람들이 거리를 이용 할 때 방해가 되거나 불안감을 일으키는 요소는 없는지 비교 분석
- 상업시설과 접해 있는 보행공간. - 사람들의 눈높이 보다 높아 시야를 가려 불안감을 주는 요소가 없다. |
- 눈 높이 이상의 조경요소가 많아 보행자들의 시야를 가려 불안감을 준다. | - 사람들의 시선을 가리는 요소는 없다. - 길가에 무분별하게 세워진 상업시설 간판이 보행자들의 이동에 방해가 된다. |
안정성_방범시설
이용자들이 적절히 인식하여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는가? 가로등, CCTV 등 방범시설이 적절히 설치되어 이용자들로 하여금 안정감을 주는지 비교 분석
- CCTV가 설치 되어 있는 곳에 목적이나 범위에 대한 안내가 되어 있어 보행자들에게 안정감을 준다. | - 밤에 거리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위해 가로등과 바닥 LED-bar를 설치되어 있다. - 설치되어 있는 CCTV에 대한 안내가 적어 CCTV의 인지도 어려워 불안감을 준다. |
- 현재 있는 CCTV는 방범용이 아니라 쓰레기 투기 방지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안정감을 주지는 못해요. |
안정성_휴게시설
휴게시설 이용 시 편안한가?
- 거리의 양 시작점에 마련 된 광장에서 다양한 문화활동과 휴게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조경과 휴게 복합적인 역할을 하는 벤치가 설치되어 있어 이용자들로 하여금 편안함을 준다. |
- 광장과 휴게공간이 합쳐진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이용자들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 공공디자인이 들어간 벤치가 마련되어 몸의 편안함 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재미도 주고 있다. |
- 휴게공간이 광장에 몰려있고 그 수도적어 이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어요. |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BF 인증제도 -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barrier free design [매개시설] (0) | 2023.03.09 |
---|---|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Barrier Free) 베리어프리 개념 건축인증 (0) | 2023.03.08 |
욕실, 샤워실, 화장실 설계 포인트 구조 공법 및 방수 마감포인트, 방수설계 및 시공 시 유의사항 (0) | 2023.03.07 |
건축방수 지하 흙막이 방식과 방수공법과의 관계 (0) | 2023.03.06 |
건축 방수 각 부위별 설계포인트 및 상세도 (0) | 2023.03.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