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건축과사회 차 없는 거리 활성화를 위한 방안(Method for activeation of car-free street)

by Clover Marketer 2023. 3. 7.

건축과사회 차 없는 거리 활성화를 위한 방안

경제와 기술이 발달할수록 우리 주변에는 수많은 도시가 생겨나고 있으며 이 도시 안에는 많은 사람들이 유입되는 만큼 많은 차량들이 도시를 점유하고 있어요. 도시 안의 차량의 수가 늘어날수록 사람들에게 편의를 주기도 하지만 보행자들에게 위협을 주는 요소가 되기도 해요. 이에 도시는 차량으로부터 보행자들을 보호 할 필요를 느끼게 되고, 이에 보행자 전용가로라는 물리적인 환경개선을 시행하기 시작해요.

 

 

 

 이 보행자 전용가로는 보행자를 차량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가로 주변 상가의 활성화를 통해 도심 경제의 활력을 되찾을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의 역할을 하고 있어요. 우리나라는 이 보행자 전용가로를 차 없는 거리라는 하나의 정책을 시행하여 도심 속에 마련하고 있는데, 현재 진주시에서는 대안동을 중심으로 두 곳을 차 없는 거리로 지정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저는 그 대안동 차 없는 거리를 활성화 대상지로 선정하였어요.

'

 

  1. 심리 행태
  2. 설문조사
  3. 결론

 

심리 행태

체크리스트 도출

 

 

 

인간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생길 수 있는 개념을 분류, 도출하였으며, 각 지역별 차 없는 거리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한 뒤, 사용자 평가를 토대로 심리 형태적 요소를 분석한다. 심리형태적 분석선행 연구한 물리적 분석을 비교하므로 경기장이 가지는 문제점을 파악하며 대안을 모색하였다.

 

대분류 소분류 세부항목 평가기준 서울
인사동
부산
광복로
진주
로데오
안정성 보행공간 보행공간 보행 시 심리적 불안감을 주는 요소는 없는가?      
방범시설 가로등 이용자들이 적절히 인식하여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는가?      
cctv
휴게시설 휴게시설(벤치) 휴게시설 이용 시 편안한가?      
오픈스페이스(광장)      
인지성 대중교통 버스정류장 대중교통 정류장 이용 시 인지하기 쉬운가?      
지하철역      
차량공간 주차공간 주차시설 이용 시 인지하기 쉬운가?      
자전거 보관공간      
보행공간 보행공간 보차분리가 되어있는가?      
안내시설 안내소 안내시설을 인지하기 쉬운 곳에 설치되어 있는가?      
안내표지판      
상징물 조형물 차 없는 거리라고 인지하기 쉬운 곳에 설치되어 있는가?      
휴게시설 휴게시설(벤치) 휴게시설의 공간배치가 적절한가?      
오픈스페이스(광장)      
위생시설      
상업시설 상업시설 상업시설의 통일성이 있는가?      
대분류 소분류 세부항목 평가기준 서울
인사동
부산
광복로
진주
로데오
편리성 대중교통 버스정류장 대중교통 이용 시 접근하기 쉬운가?      
지하철역      
차량공간 주차공간 주차시설 이용이 편리한가?      
자전거 보관공간      
보행공간 보행공간 보행 시 불편함을 주는 요소는 없는가?      
안내시설 안내소 안내시설을 이용함에 있어 불편함이 없는가?      
안내표지판      
휴게시설 휴게시설(벤치) 휴게시설을 이용함에 있어 불편함이 없는가?      
오픈스페이스(광장)      
위생시설      
상업시설 상업시설 상업시설 이용 시 혼잡함을 초래하지 않는가?      
쾌적성 보행공간 보행공간 보행 시 불쾌함을 주지 않는가?      
휴게시설 휴게시설(벤치) 휴게공간의 조성이 잘 되어있는가?      
오픈스페이스(광장)      
위생시설      
상업시설 상업시설 상업시설의 관리가 잘 되어있는가?      
조경시설 조경수목 조경시실의 관리가 잘 되어있는가?      
기타시설(수공간)      

 

심리 행태

안정성

  • 사전적 의미 [명사] 바뀌어 달라지지 아니하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성질
  • 차 없는 거리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불안감을 느끼지 않고 거리를 이용할 수 있는지 확인

 

 

 

안정성_보행공간

보행 시 심리적 불안감을 주는 요소는 없는가? 사람들이 거리를 이용 할 때 방해가 되거나 불안감을 일으키는 요소는 없는지 비교 분석

 

- 상업시설과 접해 있는 보행공간.
- 사람들의 눈높이 보다 높아 시야를 가려 불안감을 주는 요소가 없다.
- 눈 높이 이상의 조경요소가 많아 보행자들의 시야를 가려 불안감을 준다. - 사람들의 시선을 가리는 요소는 없다.
- 길가에 무분별하게 세워진 상업시설 간판이 보행자들의 이동에 방해가 된다.

 

안정성_방범시설

이용자들이 적절히 인식하여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는가? 가로등, CCTV 등 방범시설이 적절히 설치되어 이용자들로 하여금 안정감을 주는지 비교 분석

- CCTV가 설치 되어 있는 곳에 목적이나 범위에 대한 안내가 되어 있어 보행자들에게 안정감을 준다. - 밤에 거리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위해 가로등과 바닥 LED-bar를 설치되어 있다.
- 설치되어 있는 CCTV에 대한 안내가 적어 CCTV의 인지도 어려워 불안감을 준다.
- 현재 있는 CCTV는 방범용이 아니라 쓰레기 투기 방지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안정감을 주지는 못해요.

 

안정성_휴게시설

휴게시설 이용 시 편안한가?

- 거리의 양 시작점에 마련 된 광장에서 다양한 문화활동과 휴게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조경과 휴게 복합적인 역할을 하는 벤치가 설치되어 있어 이용자들로 하여금 편안함을 준다.
- 광장과 휴게공간이 합쳐진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이용자들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 공공디자인이 들어간 벤치가 마련되어 몸의 편안함 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재미도 주고 있다.
- 휴게공간이 광장에 몰려있고 그 수도적어 이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어요.

 

 

 

728x9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