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F 인증제도 -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barrier free design
매개시설
1. 접근로
1.1 보도에서 주출입구까지 접근
- 보행자와 차량의 교행이 포함된 전용 접근로는 보행자 우선을 위한 이색이질 마감으로 계획
- 모든 출입구 (문) 및 대지 내 계획된 접근로 전체를 평가
구분 | 보행로에서 주출입구까지 접근로 | 점수 |
최우수 | 모든 출입구 중에서 50% 이상 차도와 완전히 분리된 접근로 | 6.0 |
우수 | 모든 출입구 중에서 50% 이상 보행자와 차량의 교행이 포함된 전용 접근로 | 4.8 |
일반 | 주출입구 접근로만 보행자와 차량의 교행이 포함된 전용 접근로 | 4.2 |
공공건물 및 공중이용시설 | 공동주택 |
1.2 유효폭
- 접근로의 유효폭은 대지내의 출입구 접근로 전체 유효폭 중 가장 좁은 부분 기준
구분 | 접근로의 유효폭 | 점수 |
최우수 | 전체구간의 접근로 유효폭이 1.8m 이상 | 3.0 |
우수 | 전체구간의 접근로 유효폭이 1.5m 이상 | 2.4 |
일반 | 전체구간의 접근로 유효폭이 1.2m 이상 | 2.1 |
최우수 | 우수 | 일반 |
접근로 중 굴절 및 막다른 구간은 휠체어 회전공간 (1.5m X 1.5m) 확보
1.3 단차
- 접근로의 단차는 대지내의 출입구 접근로에 단차 중 제일 큰 곳을 기준으로 평가
구분 | 접근로의 단차 | 점수 |
최우수 | 전체구간에 단차 없음 | 3.0 |
우수 | 전체구간 중 일부에 단차 2cm 이하 | 2.4 |
최우수 | 우수 |
1.4 기울기
- 접근로의 기울기는 대지내의 출입구 접근로에 경사 중 제일 급한곳을 기준으로 평가
- 경사 기울기는 한방향으로만 설치하고 횡경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계획
구분 | 접근로의 기울기 | 점수 |
최우수 | 전체구간의 접근로 기울기가 1/24 (4.17% / 2.39') 이하 | 3.0 |
우수 | 전체구간의 접근로 기울기가 1/18 (5.56% / 3.18') 이하 | 2.4 |
최우수 | 우수 |
기울기 구간은 30m마다 수평참을 확보하여 설치
1.5 바닥마감
- 접근로의 바닥이 여러재료로 마감되어 있는 있는 경우 마감정도가 가장 미비한 곳을 기준으로 평가
- 모든 접근로 바닥마감은 평탄하게 설치하여 걸려 넘어지거나 미끄럽지 않아야 함
구분 | 접근로의 바닥 마감 | 점수 |
최우수 | 모든 출입 접근로 중에서 50% 이상이 걸려 넘어지거나 미끄러질 염려가 없는 재질, 줄눈이 있는 경우 0.5cm 이하인 경우임 | 3.0 |
우수 | 모든 출입 접근로 중에서 50% 이상이 걸려 넘어지거나 미끄러질 염려가 없는 재질, 줄눈이 있는 경우 1cm 이하인 경우임 | 2.4 |
우수 | 바닥마감 예시 (최소 줄눈 1cm 이하) |
1.6 보행장애물
- 가로수가 있는 경우 높이 2.1m 까지 가지치기 되어야함
구분 | 보행장애물 | 점수 |
최우수 | 접근로에 가로등, 간판 이동식 화분 등의 장애물이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음 | 1.0 |
우수 | 접근로에 가로등, 간판 등이 설치되어 있으나 접근방지용 난간 또는 보호벽을 설치하여 보행자의 안전한 접근이 연속으로 가능함 | 0.8 |
최우수 | 우수 |
- 접근로와 차량 동선을 분리하여 차량의 간섭을 전혀 받지 않는 경우는 최우수로 평가
구분 | 접근로와 차도의 경계 | 점수 |
최우수 | 차도와 구분되는 울타리 등 공작물을 설치하거나 차량과 보도가 완전히 분리된 접근로 확보 | 1.0 |
우수 | 보행통로와 차도에 경계석이 설치되고, 재질과 색상 모두 구분됨 | 0.8 |
최우수 | 우수 |
1.7 덮개
- 장애인 등이 빠질 위험이 있는 곳에는 덮개를 설치
- 덮개에 표면은 접근로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설치
구분 | 배수로 덮개 | 점수 |
최우수 | 높이차 전혀 없으며, 구멍이 없는 덮개를 사용 | 2.0 |
우수 | 높이차 전혀 없으며, 격자구멍(틈새)등이 양방향 모두 2cm 이하 | 1.0 |
최우수 | 우수 |
1.2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2.1 주차장에서 출입구까지 경로
- 주차장에서 주출입구까지의 경로는 차량 간섭이 전혀 없도록 계획
- 기울기 1/24 (4.17% / 2.39') 이하는 수평접근과 동일한 것으로 인정
- 건축물 출입구 또는 장애인용 승강설비에 가까운 곳에 설치
구분 | 주차장에서 출입구까지의 경로 | 점수 |
최우수 | 외부주차장의 경우 지붕이 설치되거나, 실내주차장이 경우 승강설비와 가장 가까운 장소에서 수평접근이 가능 | 6.0 |
우수 | 경사로 없이 접근 가능 | 4.8 |
일반 | 경사로를 이용하여 접근 가능하며, 기울기가 1/12 (8.33% / 4.76') 이하로 설치 | 4.2 |
최우수 & 우수 | 일반 |
2.2 주차면수 확보
- 일반주차구역을 1면 이상 설치할 경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은 최소 1면 이상 의무 설치
- 두 개 이상의 동이 계획된 경우 각 동마다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을 설치
구분 | 주차면수 확보 | 점수 |
최우수 | 규정비율의 100% 초과 확보 | 4.0 |
우수 | 규정비율의 100% 확보 (최소 1면 이상 의무 설치) | 3.2 |
최우수 & 우수 | 두 개 이상의 동 계획 예시 |
2.3 주차구역 크기
- 주차구역이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 주차구역선이 중첩되는 부분은 중심선 기준으로 크기 측정
- 불가피하게 인근 주차장에 설치시 접근로의 정비가 이루어진 경우에 한하여 평가 가능
구분 | 주차규역 크기 | 점수 |
최우수 | 폭 3.5m, 길이 5.0m, 휠체어 활동공간 노면표시 | 4.0 |
우수 | 폭 3.3m, 길이 5.0m, 휠체어 활동공간 노면표시 | 3.2 |
최우수 | 우수 |
2.4 보행안전통로
- 휠체어 이용자 하차 후 회전해야 할 경우 회전반경 1.5m 이상 확보
- 보행안전통로는 차량 간섭이 전혀 없이 계획
구분 | 보행안전통로 | 점수 |
최우수 | 모든 구간에 보행안전통로 (폭 1.8m 이상)가 연속적으로 설치 | 4.0 |
우수 | 모든 구간에 보행안전통로 (폭 1.5m 이상)가 연속적으로 설치 | 3.2 |
일반 | 모든 구간에 보행안전통로 (폭 1.2m 이상)가 연속적으로 설치 | 2.8 |
최우수 & 우수 | 일반 |
2.5 안내 및 유도표시
- 휠체어 이용자 하차 후 회전해야 할 경우 회전반경 1.5m 이상 확보
- 보행안전통로는 차량 간섭이 전혀 없이 계획
구분 | 안내 및 유도표시 | 점수 |
최우수 | 우수의 기준을 만족하며 연속적인 유도표시 설치 | 3.0 |
우수 | 일반의 기준을 만족하며, 바닥 색상 등을 통한 식별성 확보 | 2.4 |
일반 | 주차장입구에서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이 바로 보이며 (별도표시 없음) 바닥 및 입식 안내표시 설치 | 2.1 |
최우수 | 우수 | 일반 |
3. 출입구 (문)
3.1 출입구 (문)의 높이차이
- 출입구 경사로 설치 못할 경우, 부출입구 (문)에 대한 연속적인 안내 및 유도표시 시 부출입구 (문)로 평가 가능
- 경사로 위에 지붕이나 차양을 설치한 경우 한 등급 높게 평가
구분 | 출입구(문)의 높이차이 | 점수 |
최우수 | 단차없이 수평접근 | 3.0 |
우수 | 0.75m 이하 단차 (1.2m이상 유효폭의 경사로 설치) | 2.4 |
일반 | 0.75m 이상 단차 (1.2m이상 유효폭의 경사로 설치) | 2.1 |
구분 | 출입구(문)의 경사로 기울기 | 점수 |
최우수 | 단차없이 수평접근 | 3.0 |
우수 | 기울기 1/18(5.56%/3.18o)이하 | 2.4 |
일반 | 기울기 1/12(8.33%/4.76o)이하 | 2.1 |
3.2 출입문의 형태
- 대지 내 접근로에서 접근 가능한 모든 출입구 (문)을 평가
구분 | 주출입문의 형태 | 점수 |
최우수 | 출입구(문)를 포함하여 모든 출입구의 출입문 중 60% 이상 자동문 설치 | 3.0 |
우수 | 자동문 설치 | 2.4 |
일반 | 자동 닫힘 기능이 있는 (도어체크 등) 여닫이문 설치 | 2.1 |
최우수 | 우수 | 일반 |
3.3 유효폭
- 출입문 유효폭은 문틀 내부 폭에서 경첩의 내민거리와 문의 두께를 뺀 나머지 폭 측정
구분 | 유효폭 | 점수 |
최우수 | 출입구(문) 유효폭 1.2m 이상 | 3.0 |
우수 | 출입구(문) 유효폭 1.0m 이상 | 2.4 |
일반 | 출입구(문) 유효폭 0.9m 이상 | 2.1 |
3.4 단차
- 출입구 바닥면에는 문턱이나 높이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계획
- 단차 2cm 있으나 턱 낮추기를 통하여 단차 극복한 경우 우수로 평가
구분 | 유효폭 | 점수 |
최우수 | 출입구(문) 단차 전혀 없음 | 3.0 |
우수 | 출입구(문) 단차 2cm 이하 | 2.4 |
최우수 | 우수 |
3.5 전면 유효거리
- 문 개폐 시 문의 끝선부터 거리 산정
- 문 연속해서 두개 시 양쪽 문 개폐 후 끝선부터 거리 산정
구분 | 전면 유효거리 | 점수 |
최우수 | 출입구(문) 전면유효거리 1.8m 이상 | 2.0 |
우수 | 출입구(문) 전면유효거리 1.5m 이상 | 1.6 |
일반 | 출입구(문) 전면유효거리 1.2m 이상 | 1.4 |
3.6 손잡이
-
자동문 스위치 및 손잡이는 바닥면으로부터 손잡이 중심까지 0.8m~0.9m 사이에 위치
- 출입문 옆 0.6m 이상의 활동공간 확보 필수
구분 | 손잡이 | 점수 |
최우수 | 자동문 | 2.0 |
우수 | 손잡이 0.8m ~ 0.9m에 위치, 수평 및 수직막대형 | 1.6 |
일반 | 손잡이 0.8m ~ 0.9에 위치, 레버형, 수평 또는 수직막대형 중 한 종류 | 1.4 |
최우수 | 우수 | 일반 |
3.7 경고블록
- 자동문인 경우 자동센서 영역 내에 점형블록 설치
- 방풍실의 길이가 3m 미만일 경우 방풍실 내부 점형블록 생략
구분 | 경고블록 | 점수 |
최우수 | 우수의 조건을 만족하며, 손끼임 방지설비 설치 | 2.0 |
우수 | 출입구 (문) 0.3m 전후면에 문의 폭만큼 표준형 점형블록 설치 | 1.6 |
일반 | 출입구 (문) 0.3m 전후면에 문의 폭만큼 바닥 색상 및 재질의 변화를 통하여 경고 표시 | 1.4 |
최우수 | 우수 |
728x90
그리드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드 기초 필수 단축키 [건축 실용 단축키 기초 및 많이 사용하는 CAD 단축키 알아보기 ] (0) | 2023.03.17 |
---|---|
친환경건축 결로와 단열 개념 및 정의 친환경건축기법 (1) | 2023.03.12 |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Barrier Free) 베리어프리 개념 건축인증 (0) | 2023.03.08 |
건축과사회 차 없는 거리 활성화를 위한 방안(Method for activeation of car-free street) (0) | 2023.03.07 |
욕실, 샤워실, 화장실 설계 포인트 구조 공법 및 방수 마감포인트, 방수설계 및 시공 시 유의사항 (0) | 2023.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