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의 재료특성 : 건조수축
건조수축의 발생
- 콘크리트는 수화작용에 필요한 수량보다 많은 물을 사용
- 자유수가 대기중으로 증발하면서 수축
- 단위시멘트량이 많을 수록 건조수축 증가
건조수축의 영향
- 콘크리트가 표면부터 건조되므로 해서 표면에 인장, 내부에 압축이 발생
- 철근까지 건조수축이 진행되는 경우 철근 주변에 인장 철근에 압축 발생
콘크리트의 재료특성 : 온도변화
- 우리나라에서는 온도승강을 보통의 경우 : 20'c 부재의 최소치수가 700mm 이상인 경우 : 15'c
- 구조물의 시공완료 시기를 연평균 기온으로 가정
- 예) 연평균기온 10'c 가정하면 겨울 : -10'c, 여름 : 30'c
- 열팽창 계수 (온도변형률) : 10x10^-6 / C
- 건조수축과 마찬가지로 부정정 구조물의 경우 매우 큰 온도응력 발생
콘크리트의 재료특성 : 인장강도
콘크리트 인장강도 실험 3가지 방법
- 직접 인장강도 실험
- 쪼갬 인장강도 실험
- 휨 인장강도 실험
휨 인장강도 또는 파괴계수 fr실험 (크기순서 : 직접인장강도 < 쪼갬인장강도 < 휨 인장강도 )
콘크리트의 재료특성 : 조합응력
2축 응력 (2축 응력상태에서의 콘크리트 강도)
철근
철근의 호칭
호칭명 | 공칭지름(mm) | 공칭단면적(cm2) | 공칭둘레(cm) | 단위무게(kgf/m) |
D6 | 6.35 | 0.3167 | 2.0 | 0.249 |
D10 | 9.53 | 0.7133 | 3.0 | 0.560 |
D13 | 12.7 | 1.267 | 4.0 | 0.995 |
D16 | 15.9 | 1.986 | 5.0 | 1.56 |
D19 | 19.1 | 2.865 | 6.0 | 2.25 |
D22 | 22.2 | 3.871 | 7.0 | 3.04 |
D25 | 25.4 | 5.067 | 8.0 | 3.98 |
D29 | 28.6 | 6.424 | 9.0 | 5.04 |
D32 | 31.8 | 7.942 | 10.0 | 6.23 |
D35 | 34.9 | 9.566 | 11.0 | 7.51 |
D38 | 38.1 | 11.40 | 12.0 | 8.95 |
D41 | 41.3 | 13.4 | 13.0 | 10.5 |
D51 | 50.8 | 20.27 | 16.0 | 15.9 |
철근은 단부에 칠해진 색으로도 구분 가능하다.
SD300A - 단부 "녹색" (일반 이형철근)
SD300B - 단부 "백색" (일반 이형철근)
SD350 - 단부 "적색" (고강도 이형철근)
SD400 - 단부 " 황색" (고강도 이형철근)
SD500 - 단부 "흑색" (고강도 이형철근)
철근의 응력 - 변형률
이형철근의 전형적인 응력 - 변형률 곡선
철근콘크리트 역학의 기본과정
- 철근의 변형률(인장, 압축)은 그 주위의 콘크리트와 변형률이 같다.
- 하중을 받기 전 평면은 변형 후에도 평면을 유지한다.
- 콘크리트는 어떠한 인장응력도 저항할 수 없다라고 가정한다.
- 철근콘크리트 이론은 실제의 응력- 변형률 관계와 두 구성재료의 강도 특성 또는 그들의 합리적인 단순화에 근거를 둔다.
- 콘크리트의 극한 변형률은 0.003이다.
- 부재 단면의 휨모멘트, 전단력, 수직응력 및 전단응력과 같은 내력은 그 단면에서 외부 하중에 의한 효과와 평형을 이룬다.
축하중을 받는 부재
축압축력을 받는 부재의 거동과 역학적 성질
- 무근 콘크리트 기둥이 압축하중을 받는 경우 f=P/A
- 신뢰할만한 콘크리트의 최대 압축강도 (실제 구조물의 재하속도는 공시체 실험보다 느리다) : 0.85fck정도
콘크리트의 응력 - 변형률 곡선
728x90
그리드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계방법과 안전성 구조설계 안전성 (0) | 2022.10.21 |
---|---|
법령해석사례] 일조 등 확보를 위한 이격 거리 기준이 배제되는 요건 중 너비 20미터 이상의 도로에 접하는 대지의 범위 (건축법 시행령 제86조제2항 관련) (0) | 2022.10.20 |
일조 채광 건축물의 높이 제한 '지역 지구별 정북, 채광 산정 방법' (0) | 2022.10.19 |
일조 등의 확보를 위한 건축물의 높이제한 (0) | 2022.10.18 |
승강기(엘리베이터) 개념정의 - 승용, 비상용 승강기 / 피난용 승강기 법규 적용 사례 (0) | 2022.10.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