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건축 방수의 이해와 방수설계기초
- 방수개요 및 기술동향
- 방수설계시 주요 핵심포인트
- 방수공법의 이해와 방수설계 시스템
- 방수재료 및 방수공법별 비교
방수개요 및 기술동향
- 방수 개요
- 국내 방수의 기술변천 및 동향
1. 방수개요
- 방수는 왜 필요한가?
- 물의 침입은 주거성이나 마감재료 및 사용상의 큰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구조물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방수의 필요성은 매우 크다.
- 물의 형태변화에 따라 방수층에 미치는 영향
- 기체-액체 사이에는 기화와 응결이 일어나며 액체와 고체 사이에는 액화와 동결이 일어난다.
- 기체- 습기, 수증기과 되어 결로, 부품음현상, 방습(곰팡이) 박리, 접착불량이 일어난다.
- 액체- 흡수, 투수가 되며 누수현상이 일어난다.
- 고체 - 눈, 얼음이 되며 방수층 파단, 동결현상이 일어난다. (부피팽창)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는 물의 종류
물의종류 | 부위 | 물의 형태 | 물의상태 | |
강 수 | 지붕, 처마 | 비,눈, 우박 | 물방울, 흐르는물, 고체 | |
외벽 | 지상 | 비,눈,우박 | 물방울, 흐르는물, 고체 | |
자유수 | 정수압 | |||
생활용수 | 베란다, 발코니 | 비,눈, 우박, 생활수 | 물방울, 흐르는물, 고체 | |
실내 | 주방, 화장실 | 생활수,작업수, 청소수 | 물방울, 흐르는물 | |
욕실 | 생활수 | 정수압, 물방울, 흐르는물 | ||
산업용수 | 지하수조, 수수조 | 온수,냉수,가용용수 세저용ㅇ수 |
정수압, 흐르는물 | |
지하수 | 지하 최저층 | 자유수, 피압수 | 정수압 | |
오,폐수 | 공장,폐수처리장, 오수처리장 | 온수,폐수,가공용수,세정수 | 정수압 |
물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 (피해현상)
- 강도의 변화
- 접착성능저하
- 형상, 치수의 변화
- 부식촉진
- 단열성의 지하
- 균열확대 및 촉진
- 오염(백화, 곰팡이)
- 미적효과 저하
- 주거생활 불편
국내 방수의 기술 변천 및 동향
국내 방수기술의 흐름
- 전근대 (0세대) - 60년 이전
- 해조류, 역청질계,진흙,방수
- 기술적 과제
- 근대 (1세대) - 60년대, 70년대
- 60년대 - 아스팔트, B층 방수
- 70년 - 시멘트, 액체방수
- 제로성능의 취약성
- 환경오염성 (냄새, CO2발생)
- 작업의 위험성(융융 / 토치)
- 공정의 복잡성
- 현대 (2세대,3세대) - 80년대, 90년대, 2000년대
- 석유화학공업발전, 시트방수, 도막방수
- 시트조인트 수밀성 확보문제
- 현장 배합시공 도막품질문제
- 90년대 - 시트 + 도막 복합방수 (건설신기술 시대)
- 재료간의 결합문제
- 공법에 따른 기술적 차별화
- 건설신기술의 탄생
- 2000년대 (3세대) - 분야별 복합방수공법, 옥상녹화 방수 / 방근공법
- 적재적소 공법적용, 재료 고품질화
- 미래 (3세대) - 2010년대
- 친환경소재방수, 융합기술응용
- 친환경공법
- 장수명을 위한 융복합기술
- 아스팔트 8층방수
- 액체방수
- 도막방수
- 복합방수
국내 방수의 산업 규격 현황 - 방수 재료분야
순번 | 규격번호 | 규격명칭 | 순번 | 규격번호 | 규격명칭 |
1 | KSF3204 | 건축용 유성코킹재 | 19 | KSF4922 | 폴리우레아수지 도막방수재 |
2 | KSF3211 | 지붕용 도막방수재 | 20 | KSF4923 |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주입 에폭시수지 |
3 | KSF3215 | 건축용 개스킷 | 21 | KSF 4924 | 건축용 플라스틱계 방습필름 |
4 | KSF 4052 | 방수공사용 아스팔트 | 22 | KSF4 4925 | 시멘트 액체형 방수재 |
5 | KSF4901 | 아스팔트 펠프 | 23 | KSF 4926 | 콘크리트 혼입용 방수재 |
6 | KSF 4904 | 스트래치 아스팔트 루핑 | 24 | KSF 4927 | 투습방수시트 |
7 | KSF 4905 | 구멍뚫린 아스팔트 루핑 | 25 | KSF 4929 | 세라믹 메탈계 방수, 방식도료 |
8 | KSF 4906 | 구멍뚫린 아스팔트 루핑 | 26 | KSF 4930 | 콘크리트 표면도포용 액상형 흡수방지재 |
9 | KSF 4910 | 건축용 실링재 | 27 | KSF 4931 | 교면용 도막방수재 |
10 | KSF 4911 | 합성고분자계 방수시트 | 28 | KSF 4932 | 교면용 시트방수재 |
11 | KSF 4913 | 직조망 아스팔트루핑 | 29 | KSF 4933 | 방수층 보호콘크리트용 줄눈대 |
12 | KSF 4916 | 시멘트혼화용 폴리머 | 30 | KSF 4934 | 자착식 고무화아스팔트 방수시트 |
13 | KSF 4917 | 개량아스팔트 방수시트 | 31 | KSF 4935 | 누수보수용 주입형 실링재 |
14 | KSF 4918 | 규산질계분말형 도포방수재 | 32 | KSF 4936 | 콘크리트보호용 마감재 |
15 | KSF 4919 | 시멘트혼입 폴리머계 도막방수재 | 33 | KSF 4937 | 주차장 바닥용 표면마감재 |
16 | KSF 4920 | 외벽용 도막방수재 | 34 | KSM 3736 | 수팽창성 벤토나이트 방수시트 |
17 | KSF 4902 | 아스팔트 루핑 | |||
18 | KSF 4921 | 콘크리트용 에폭시 수지계 방수, 방식도료 |
방수 시험 분야
순번 | 규격번호 | 규격명칭 |
1 | KSF 2400 | 콘크리트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 시험방법 |
2 | KSF 2451 | 건축용 시멘트 방수재 시험방법 |
3 | KSF 2621 | 건축용 실링재 시험방법 |
4 | KSF 2622 | 멤브레인방수층 성능시험평가방법 |
5 | KSF 2623 | 익스펜션조인트 채움재의 시험방법 |
6 | KSF 2624 | 콘크리트구조물 균열보수용 직접 주입재의 내피로성능 시험ㅇ방법 |
7 | KSF 4938 | 인공지반녹화용 방수 및 방근재료의 방근성능시험방법 |
8 | KSF ISO 13638 | 건축용 실링재의 장기 수중침지조건에서의 저항성 시험방법 |
9 | KSF ISO 13640 | 건축용 실링재의 시험용 피착제 제작방법 |
방수 시공분야
순번 | 규격번호 | 규칙명칭 |
1 | KSF 9001 | 콘크리트용 에폭시 수지계 방수, 방식도료 도포방법 시공표준 |
2 | KSF 9003 | 도막방수재 도포방법 시공표준 |
3 | KSF 9004 | 방수층 보호콘크리트용 줄눈대 시공표준 |
4 | KSF 9906 | 개량아스팔트 시트방수 시공표준 |
728x90
그리드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난계단과 특별피난계단 설치기준 -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기준에 대한 규칙 (0) | 2022.07.16 |
---|---|
건축방수 설계시 주요 핵심포인트 (0) | 2022.07.05 |
단계별 에너지통합설계 - 친환경건축 제로에너지건축 (0) | 2022.06.29 |
에너지통합설계 단계 - 제로에너지건축물(ZEB) 가이드라인 (0) | 2022.06.26 |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정의 - 친환경건축 (0) | 2022.06.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