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NEWABLE ENERGY
에너지통합설계목표 - 에너지자립률 최대화
에너지효율 최대화
- 태양광 (BAPV)용량 최대화
- 태양광(BIPV)용량 최대화
- 지열 용량 최적화
- 연료전지 용량 최적화
신재생에너지 최적 적용으로 에너지자립률 20% 이상 확보 [태양광(BAPV)공급비율 10% 이상]
-신재생에너지 적용성 평가
구분 | 태양광 | 태양열 | 지열 | 연료전지 |
장점 | 에너지원청정, 무한 긴 설비수명(30년) 유지보수 용이 |
무공해, 무한에너지 장비연계 냉낭방가능 |
연중 일정한 성능유지 에너지효율 높음 날씨, 기후 조건 무관 |
저공해, 고효율(80%) 활용 기능성 다양 연중 일정한 성능유지 |
단점 | 지역별 일사량에 의존 설치장소 제한적 초기투자비 높음 |
하절기 과부하 조절곤란 계절, 날씨 영향 큼 유지관리 곤란 |
설미면적(천공) 필요 유지보수 불가 전기요금 발생 |
초기투자비 가장 고가 온수 미사용시 효율저하 가스요금 온실가스 발생 |
적용성 | 상 | 하 | 중 | 중 |
ECO2 프로그램상 신재생에너지 1KW 당 민감도
- 화석연료 미사용, 에너지 기대효과가 가장 높음
- 태양열 급탕은 서브 열원으로 사용
- 히트펌프 가동을 위한 전기에너지 사용
- 연료전지 가동을 위한 수소에너지 사용
-BAPV(Adapted) / BIPV (Integrated)
- 공공건축물은 신재생에너지 설치의무화 대상에 해당
- 그 외는 지자체별 녹색건축물 설계기준에 부합하는 신재생에너지 용량 확인
- 공급의의무비율(%) =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 예상에너지사용량 x 100
해당연도 | 20~21 | 22~23 | 24~25 | 26~27 | 28~29 | 30이후 |
공급의무비율 (%) |
30 | 32 | 34 | 36 | 38 | 40 |
- (가) 비주거 건축물
- 태양광(BAPV) 기준 공급비율 약 10% 적용
- 신재생설비지침 일조시간기준 : 1일 5시간 이상(춘계, 추계 기준)
- (나) 주거 건축물
- 옥상 > 입면 > 측벽 순으로 태양광 적용
- 신재생설비지침 일조시간기준 : 1일 5시간 이상(춘계, 추계 기준)
- 서울주택공사기준 : 연속일조 2시간 이상인 부위
- 에너자립률 확보에 유리한 신재생에너지 유형 고려
- BAPV(태양광) > BIPV(태양광) > 지열 > 연료전지
- ZEB 5등급 확보를 위한 용도별 신재생에너지 공급비율 (BAPV) 기준
-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 : 남향, 설치각 23도 이상, 단결정 고효율 모듈 적용
- 지열 COP개선 및 반송동력 최적화:물-냉매 방식의 경우 70m 내 지열 기계실 위치
- 연료전지 적용 시 발생되는 폐열 활용처 고려 (급탕, 난방 등)
(1) 공통
구분 | 내용 |
에너지요구량 최소화 | 에너지절약적인 최적의 형태 및 배치계획 실질적인 에너지저감 및 쾌적성 향상을 위한 기밀성 강화 및 열교차단 기법 적용 |
에너지효율 극대화 | 패시브 계획을 통해 최소화된 에너지요구량 최적화된 열원용량 산정 열원설비 COP향상 최적의 공조방식 적용 폐열 재활용 반송동력 및 배관길이 최소화 고효율 LED 100% 적용 |
신재생에너지 최대화 | 해당건축물의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비율 확인 일조검토를 통해 태양광 최대 설치가능 용량 산정 태양광 모듈 및 설치 각도를 고려한 최적의 시스템 제안(남향 23도 이상, 단결정 고효율 모두 적용)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 비율을 고려한 추가 설치용량 지열 시스템으로 우선 제안(자립률 확보에 유리) |
BEMS 또는 전자식 원격검침계량기 | 통합유지관리시스템 구축 |
ZEB 사례
(1) 비주거
판교 제2테크노밸리 기업지원허브
728x90
그리드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방수 설계시 주요 핵심포인트 (0) | 2022.07.05 |
---|---|
건축 방수의 이해와 방수설계 기초 (0) | 2022.07.01 |
에너지통합설계 단계 - 제로에너지건축물(ZEB) 가이드라인 (0) | 2022.06.26 |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정의 - 친환경건축 (0) | 2022.06.24 |
친환경건축 - 제로에너지건축물 가이드라인 (0) | 2022.06.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