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친환경건축기법 새집증후군 정의와 예방 방법

by Clover Marketer 2023. 5. 23.

환경친화건축의 정의

건축재료의 유해성 및 규제

 

유해성

가. 새집증후군

나. 화학물질 과민증

다. 원인 화학물질과 발생재료

 

 

 

새집 증후군

새건물 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

  • 1970년 대 오일쇼크 이후 에너지 절약을 위한 건축물의 고기밀화, 고단열화가 초래함.
  • 실내오염물질에 의한 오피스빌딩 내의 건강장애에 대한 증상들이 발견
  • 두통, 눈 및 목 통증 호소

새집증후군 (Sick House Syndrome)

  • 주택 내에서 주로 내장재 등에 기인하는 새건물증후군과 유사한 증세를 보임
  • 주로 내장재 등에 사용하는 화학물질에 의해 기인 됨

 

 

새집증후군 증상

  • 초조해하고 화를 낸다.
  • 콧물, 코막힘
  • 뒤목 이상
  • 어깨가 뭉친다
  • 숨쉬기 어렵다.
  • 식욕이 없어진다.
  • 요통 관절통
  • 하반신이 차갑다
  • 전신이 만성적으로 피로, 불면, 지친 상태

 

신축아파트와 기존아파트의 실내오염물질 농도를 살펴보면 TVOC 및 HCHO의 수치가 높은것으로 보이는데 TVOC는 국제 기준이 없지만 포롬알데히드 및 휘발성 유기화학물총량이 높은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아파트 층별 포름알데히드 농도를 살펴보면 고층부로 갈수록 많은것으로 보이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화학물질 과민증

  • 내장재에서 나오는 화학물질이 원인
  • 새집증후군보다 더 심각한 증상을 보인다.
  • 화학물질에 장기간 노출되어 나타남.

 

원인 화학물질과 발생재료

포름알데히드

  • 합판, 집성재, 파티클보드 등의 접착제, 벽지용 접착제, 수성왁스 등에 함유
  • 눈과 코 자극, 강한 최루성과 발작

휘발성 유기화합물

  • 비닐크로스, 목재, 타일 등의 접착제 용제, 유성도료의 용제

마루 밑에 처리하는 방의제 및 방균제, 비닐크로스의 방충 등이 있다.

 

 

규제 (새집증후군 예방법)

  • 계획적인 환기와 통풍을 할 수 있도록 실 배치와 개구부의 위치 및 크기, 환기설비를 계획
  • 자연재료를 많이 사용하고, 원인이 되는 화학물질을 포함한 자재를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다.
  • 방의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마루구조를 고려
  • 준공 후 충분히 환기를 하며, 화학물질을 많이 포함한 가구나 커튼, 그 외 생활용품을 사용하지 않음

 

자연환기를 통해 새집증후군 방지가 꼭 필요하다.

 

무공해 곡물벽지

 

또한 가구 및 벽지에는 화학성분이 최대한 적은 것을 사용하고 무공해 곡물 벽지 등이 새집증후군을 예방하는데 방법으로 제시되는데, 아파트와 같이 전체적으로 벽지를 하는 경우에는 건설사 또는 인테리어 업체의 책임감이 중요하며, 환경적인 부분을 고려해서 자신에게 맞는 재료를 선택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728x9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