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단열재 종류와 개념 정의 : 건축 시공부위별 단열재의 선택조건 [환경 친화성 단열재]

by Clover Marketer 2023. 2. 2.

시공부위별 단열재의 선택조건

단열재의 기본성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부위별로 시공성이 좋고 성능이 확보되는 단열재를 선택한다.

부위 유의점
천장 판상단열재보다 형상에 유연성이 있는 쪽이 좋다. 실내수증기가 지붕아래에서 빠져나가기 쉬우므로 방습층은 완전히 시행할 필요가 있다.
보드 상 단열재는 간주의 충진이 불가능하므로 벽 외층이나 내측의 시공이 된다. 섬유 계 단열재는 비를 막는 실내 측 방습층이 필요하다.
바닥 장선 간에 충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기는 실내부터의 수증기, 하기는 흙속의 수증기에 대한 완전한 방습이 필요 바닥에서의 누수사고를 고려한다면 흡수성이 없는 단열재가 적당하다.

 

 

 

천장 및 지붕 단열재

 

시공 시 유의사항

1. 판형(Board type) : 섬유질과 다공질의 단열재 중 스티로품, 폴리스티렌 등을 사용하는 가장 보편적인 단열공법.

  • 바닥의 경우 충분한 압축강도를 가져야 한다. 
  • 벽체의 경우 밑면에 쌓인 몰탈 부스러기를 완전히 제거한다.
  • 두께 25mm로 두 장 이상일 경우 이음 부를 서로 엇갈리게 시공한다.
  • 이음 부는 연결 TAPE를 반드시 시공한다.
  • 시공 전에 벽체의 틈새여부를 사전에 확인하고 틈새 메우기 보완작업 후 단열시공한다. (틈새로 수분이 침투하면 단열성능이 저하된다)
  • 이음부의 밀착을 위해 TONGUE & GROOVED TAPE를 사용한다.
  • 긴결 철물(중공벽)이나 클립(외벽)등을 이용하여 벽체에 완전히 부착시킨다.

 

 

 

1) 판형열교환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우리나라의 거의 모든 제품이 이 판형 열 교환 방식이다. 열 교환 원리는 빨대를 아래 그림과 같이 다른 방향으로 수백 개를 겹쳐 놓고, 나가는 공기와 들어오는 공기가 그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여, 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으면서 서로의 열을 교환하도록 되어있다.

2) 현장 발포 형(foam type) : 발포원액이 순간적으로 부풀면서 굳어 단열효과를 낸다.

  • 1) 풍속 24km/h 외부시공시 (보호막 설치시는 예외)
  • 2) 비가 오기 전 작업 마무리가 안 될 경우
  • 3) 벽체온도 55'C 이상 4'C 이하, 상대 습도 85% 이상일 때

- 이중구조 벽체 공간 주입시의 중단열형의 경우는 벽체 완전 양생 후 상하좌우 1~1.5m 간격, 직경 2.5~3cm 구멍에 주입하며 인접구멍으로 유출되는지를 확인한다. (충전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 외벽형의 경우 핀으로 두께를 측정 한다.

- 주입구는 모르타르로 메운 후 방습용 페인트를 칠 한다.

- 우레탄폼 일회용타입 : 캔으로부터 분출되며 공기 중 습도에 의해 경화되는 일액형 우레탄폼으로 발포 및 접착력이 우수하여 각종 틈새, 크랙 등을 완벽히 메워주면 보온성, 단열성, 방음성 등 여러 물성에서 뛰어난 품질을 자랑합니다.

 

제품특징

  • 뛰어난 단열성, 진동과 소음전이의 차단과 강력한 접착력
  • 낮은 흡수율과 습기투과저항 및 뛰어난 압축강도
  • 환경 친화성
  • 경화 후 물, 석유, 유지류, 산, 용매, 미생물 부식에 대한 저항성

 

 

 

3. 모포 형 (blanket type) : 벽체 시공 시 주저앉기 방지를 위한 띠장이나 클립을 설치한다.

  • 띠장 부의 단열성능저하여부를 사전에 검토하고 클립 사용 시 열교발생방지 TAPE 처리 한다.
  • 지붕에 설치 할 때 : 주로 지붕위에 시공되는 경우가 많으며 벽체와의 이음(단열연결)에 주의하며 중앙부보다 두껍게 시공 한다 (시공 시 유의사항)
  • 벽에 설치 할 때 : 보이는바와 같이 내부에다가 모포형 단열재를 설치

4. 모르 타르 형 (mortar type) : 단열모르타르와 물을 1 : 0.75로 혼합 후 15분이 경과한 뒤에 초벌 바름을 시작한다.

  • 약 5mm 두께로 얇게 초벌 바름 한다.
  • 초벌 후 바로 15mm 두께로 손 바름 한다.
  • 기게 사용 시에는 최종 5mm는 남겨두고 표면 건조 후 마지막 흙 손질을 한다.
  • 두께가 20mm 이상일 때는 한 번 바름(20mm)후 12시간 경과 후에 시공 한다.

 

일체형 경질 우레탄 단열재 (I-BOARD)에 대한 설명.

시공비 절감, 용이한 시공, 우수한 단열성, 공간 확보 등 장점들이 있다. 이 단열재를 사용하면 콘크리트 벽면위에 접착 모르타르 후에 일체형 경질 우레탄 단열재 적용으로 끝나지만 이에 비해 기존 방법은 접착 모르타르 후에 스티로폼(EPS)-접착 모르타르-석고보드 순으로 시공하므로 한결 시공방법이 단순화 되고 이에 따른 비용절감과 시간절약이 가능하다. 또 우리가 설계 시간에 사용했던 아이소핑크, 석회와 규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내열성 광물을 용융하여 섬유화한 암면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재료들을 사용 할 때에 유의사항은 많은 것들이 있어요.

단어

  1. 긴결 철물 : 돌 붙임 등 비교적 큰 재료 부착 경우 벗겨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바탕을 긴결 하기 위해 사용하는 철사.
  2. 클립 : 탄력이나 나선을 이용, 종이나 서장 같은 것을 끼워두는 기구
  3. 뿜칠 : 흡음, 단열 스프레이 공사는 건물의 단열, 흡음, 결로 방지를 목적으로 시공하는 공사인데, 재질이 다양함.
  4. 바닥 하지작업 : 공사의 기초를 뜻함. 바닥의 기반을 다지는 작업
  5. 열교 : 건물외피의 한 부분으로 외면에 수직 방향으로 흐르는 열 흐름이 명백하게 변화하는 곳

 

 

 

 

 

 

 

728x9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