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의 전단설계
- 전단스팬
- 콘크리트보의 전다강도
- 전단보강된 보의 전단강도
- 전단 위험단면
보의 전단 해석 및 설계
전단설계
- 보에 하중이 작용하면 휨모멘트와 전단력 발생
- 휨에 안전하더라도 전단에 대한 검토 필요
- 실험과 경험에 의한 설계 의존
개요
순수 전단력이 작용하는 부재에는 전단력의 방향과 45도의 경사방향으로 인장응력이 생기고 이와 직교하여 압축응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45도 경사방향의 인장응력을 사인장응력이라고 하 경사방향으로 균열을 일으키는 주 요인이 되고 있다.
단순보의 균열형태
휨전단 균열 / 휨균열 / 사인장 균열
사인장균열 (Diagonal Tension Crack)
전단력의 작용에 의하여 보의 축방향에 45 가까운 경사방향으로 발생
단순보의 주응력과 응력궤적
전단스팬
(1) 전단경간과 파괴형태
주인장응력을 근거로 한 사인장 균열하중의 계산은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발생과 인장철근의 응력 재분배에 의하여 실제 전단균열을 일으키는 하중과는 차이가 생기며, 실험결과 전단력에 의한 균열발생과 파괴형태는 전단경간(shear span)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전단경간(shear span : a) : 부재내에 발생하는 최대 휨모멘트와 최대 전단력의비 또는 부재의 경간 중 전단력이 일정한 구간을 의마한다. 즉, a= Mmax / Vmax = My / Vu
전단경간비(ㄴshear span ratio): 전단경간을 보의 유효춤으로 나눈 값
파괴형식
a/d = 3~4 (전단경간이 : 3d~4d 이상인 경우) - 사인장 파괴 (diagonal tension failure)
cf) 사인장균열은 일반적으로 단부 가까이에 발생한 휨균열에서 시작되어 보의 중간부에서는 수평방향에 45도, 가까운 경사를 보이나 압축역에 들어서면서는 압축응력의 저항을 받아 거의 평탄한 진행을 보이다가 정지한다.
a/d = 1~2.5 (전단경간이 d~2.5d) - 전단압축파괴 (shear compression failure)
a/d<=1 (전단경간이 유효깊이보다 작은 경우) - 단부 콘크리트의 마찰저항이 큰 경우는 지지부에서 압축파괴(압괴)가 되며, 작은 경우에는 쪼갬파괴(splitting failure)가 된다.
전단보강된 보
(1) 전단균열된 보의 기둥
V = Vc + Vay + Vd + Vs
Vc : 균열이 생기지 않은 압축측 콘크리트가 저항하는 전단력
Vay : 균열이 생긴 부위에서 골재의 맞물림 작용 (interlock action)
Vd : 인장 주철근의 장부작용(dowel action)
Vs = nAvfv : 전단 보강근에 생기는 수직력
전단보강된 보의 균열 후 내력
1)휨균열 전
콘크리트의 전단내력(Vc)으로 저항
2) 휨균열 발생 후 ~ 사인장균열 전
_Vc외에도 vav와 Vd가 내력을 발휘
(3) 사인장균열 발생 후 ~스터럽 항복 전
- 스터럽이 내력을 발휘하기 시작
- Vc, Vay, Vd의 내력이 조금씩 감소
4) 스터럽 항복
-Vay, Vd는 급격하게 저하되며, Vc의 부담이 늘어나 파괴는 는 양상을 보인다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의 개념 정의 - 보의 휨해석 및 설계 [과소철근보, 최소철근비,균형철근비, 파괴형태,보 설계] (0) | 2022.11.20 |
---|---|
건축 개념정의 [ 계단의 종류 및 특징, 방화구조와 내화구조의 차이점, 단열재 위치에 따른 방수공법의 특성, 공업화건축의 장단점, 건축기초의 종류 및 특징, 강구조의 장단점] (0) | 2022.11.19 |
친환경건축 단열 - 옥상에 토양이 있을 경우 단열재는 어떻게 해야할까? 방풍실의 외기직접, 간접 차이점 (0) | 2022.11.16 |
신구조문대비표 건축법 시행령 비교 (0) | 2022.11.15 |
오사카 주유패스 관광지 이용 시설 [지하철, 무료 관광지 안내] (0) | 2022.1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