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콘크리트 균열 사례 (건축구조 사용성, 내구성, 검토 방법)
사용성
- 균열
- 처짐
- 피로
사용성
처짐, 균열, 피로 등이 과다하게 발생하여 구조물의 성능 및 미관이 저하되고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주는 것을 사용성이 좋지 않다고 함
내구성
특히 폭이 큰 균열, 과대한 처짐, 반복하중으로 인한 피로는 철근의 부식과 피로파괴를 유발하여 구조물을 내구성을 저하시킴
검토방법
강도설계법에서 부재의 안전성을 계수하중(factored load)에 의해 검토하지만, 처짐이나 균열 또는 피로 등 사용성은 사용하중(service load)에 의해 검토함
사용성 : 균열
- 사용하중 하에서 최대 균열 폭 : 2.5~3mm
- 부착균열은 할렬유발
- 집중하중 균열은 PSC보에서 종종 나타
콘크리트 균열의 분류
요인에 따른 균열 분류
1) 발생원인에 의한 분류
- 설계조건에 의한 균열 : 설계기준 미비, 오류, 구조에 대한 이해 부족, 내구성 무관심 등에 기인
- 시공조건에 의한 균열 : 시공 부주의, 시공시 초과하중, 거푸집 오류, 피복두께 오류 등에 기인
- 재료조건에 의한 균열 : 시멘트, 혼화재료, 골재 등의 품질관리 미비에 기인
- 사용환경에 의한 균열 : 온습도 변화, 동결 융해, 중성화, 염해, 화재 등에 기인
2) 내력 영향에 의한 분류
- 구조적 균열 : 사용하중의 작용으로 발생하는 균열
- 설계오류에 의한 균열, 외부하중에 의한 균열, 단면 및 철근량 부족에 의한 균열
- 비구조적 균열 : 구조물의 안전성 저하는 없지만 내구성 및 사용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균열
- 소성 수축 균열, 침하균열, 온도균열, 건조수축 균열, 미세균열 등
3) 발생시기에 의한 분류
- 경화 중 균열 : 재료분리, 소성수축 균열, 침하 균열, 자기수축 균열, 온도균열 등
- 경화 후 균열 : 건조수축 균열, 화학반응에 의한 균열, 동결융해에 의한 균열 등
대표적인 콘크리트 균열 사례
경화 중 콘크리트의 균열
1) 콘크리트 재료분리
발생원인
- 부적절한 배합
- 입경이 큰 재료의 비율 과다
- 단위수량 증대
발생시기
- 레미콘 제조시 및 타설 직후
사용재료의 품질관리 철저 및 단위수량 저감형 배합 적용
2) 소성수축 균열
콘크리트 체적감소 - 콘크리트에 부분적 인장력부과 표면에 균열발생
발생원인
- 타설 후 급격한 수분 증발
- 적절한 양생(보양)미비
- 거푸집 누수
발생시기
- 타설 2시간 후 ~ 약 1일
타설 후 비닐시트 등 양생포를 활용하여 수분의 급속한 증발 방지
소성수축 균열 발생 개념도 / 수성수축 균열 사례
3) 침하 균열
발생원인
- 타설 후 콘크리트 침강시 철근, 골재 등의 간섭에 의해 발생
- 높은 단위수량 및 물시멘트비
- 빠른 타설 속도
- 진동 다짐을 충분히 하지 않았을 때
- 철근의 직경이 큰 경우
단위수량이 많지 않은 배합을 적용하며, 적절한 타설 속도 유지
초기 발견시 탬핑에 의해 균열 폐색 조치
4) 자가수축 균열
발생원인
- 시멘트 수화반응에 의한 자체 체적 감소에 기인
- 단위시멘트량이 높은 배합
발생시기
- 응결 종료 ~ 약 7일
수체저감제 및 팽창제의 적절한 적용, 단위시멘트량 저감형 배합 적용
5) 온도 균열
발생원인
- 시멘트 수화반응에 의한 온도상승 및 강화
- 온도상승시 팽창 / 온도강하시 수축
- 내부구속 및 외부구속에 의해 균열 발생
발생시기
- 응결 종료 ~ 약 7일
자발열 콘크리트 배합 및 재료 사용
프리쿨릭 및 파이프쿨링 공법 적용
균열유발줄눈 및 온도철근 배근
경화 후 콘크리트의 균열
1) 건조수축 균열
발생원인
- 콘크리트 내부 잉여수의 증발에 의한 수축에 기인
- 단위수량 과대, 수분증발 대책 미비 등
발생시기
- 경화 후 ~ 수십일 이상 (약 5년)
단위수량 관리 및 수분 증발 방지 대책
단위수량 최소화 배합 적용
2) 동결융해에 의한 균열
발생원인
- 콘크리트 내부 수분의 동결 및 응해 반복에 표면 균열 발생
- 공기량 미확보, 단위수량 과다, 초기 동해 등
발생시기
- 경화 후~
공기량 3 ~ 6% 이상 반드시 확보
단위수량 최소화 배합 적용
물시멘트비 저감 및 양생 철저
3) 철근부식에 의한 균열
발생원인
- 수분 침투, 염해, 중성화 등에 의한 콘크리트 내부 철근의 부식에 기인
- 철근부식에 의한 체적 팽창으로 콘크리트 균열 발생
발생시기
- 콘크리트 경화 후부터 장시간
물시멘트비 저감에 의한 수밀성 증대
단위수량 최소화 배합 적용
고내구성 콘크리트 적용 검토
4) 화학적 부식에 의한 균열
발생원인
- 하수시설(정화조 등)에서 황화수소에 의한 콘크리트 부식에 기인
- 직접적인 화학약품과의 접촉에 의한 콘크리트 부식
발생시기
- 화학반응 발생 시기
물시멘트비 저감에 의한 수밀성 증대
항균성 콘크리트 배합 적용 (항균금속 함유 : 니켈, 텅스텐)
화학적 부식에 의한 균열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구조문대비표 건축법 시행령 비교 (0) | 2022.11.15 |
---|---|
오사카 주유패스 관광지 이용 시설 [지하철, 무료 관광지 안내] (0) | 2022.11.10 |
노외주차장(주차장 전용 건축물), [건축유권해석] 공동주택 / 필로티의 주민공동시설은 층고에 포함된다. 갑종방화문 용어 사라진다. (0) | 2022.11.09 |
친환경 설계 Process map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제도 (0) | 2022.11.07 |
제로에너지 디자인 특화계획 [친환경건축 설계] (0) | 2022.1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