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F 적용
이중외피(Double skin facade)의 종류
box-type window facade
- 이중외피를 통해 인접실에 소리, 냄새, 연기 등이 전달되지 않도록 나눠져 있음
- 각 박스의 개구부를 통해 자연환기 유도
Shaft-box facade
- 기존 이중외피 형식에 굴뚝효과를 이용하기 위해 수직 섀프트를 설치한 형식
- 수직 섀프트와 인접한 중공층 간의 개구부를 통해 공기 흐름을 유도
Corridor Facade
- 한 층의 파사드가 하나의 통로식 형태
- 중공층의 높이는 건물 한 층 높이와 같아 과열될 가능성이 낮음
- 바닥과 천장 근청에 개구부를 내어 자연환기 지원
Multi-story facade
- 수직적, 수평적 분할을 포함하지 않는 비분절 다층형 이중외피 형식
- 상부와 하부에 하나씩 개구부를 두어 환기 유도
- 온실효과로 인한 태양열 에너지 획득에 효과적, 중공층을 통한 소음전달에 주의
열쾌적 | 창호 열교차단 프레임 Low-e 유리로 일사열획득 저감 고효율 조명으로 조명에 의한 열획득 저감 |
시각적 쾌적 | 적절한 실내마감 넓은 개구부의 경우 일사조절장치 설치 눈비심을 방지하는 조명계획 인공조명과 자연채광의 조화 |
음향 쾌적 | 천장재, 바닥재 등에 흡음 자재 사용 차음성능 창호 사용 배경소음 50db이하로 유지 |
실내조명 | 자연채광 이용하여 조명에 사용되는 에너지 절감 개방형 평면으로 설계, 동일 조도를 요구하는 공간끼리 조닝 실내 200~300lx 정도의 전반조명 + 장소에 따른 선택적 국부조명 |
재료 조사를 통해 적합한 재료 리스트를 만들고 설계자의 재료 선택을도움
단열
- 건물 용도 및 사용시간에 따라 적절한 비용의 단열재와 단열 방법 선택
- 단열의 위치에 따라 내단열, 외단열로 구분
재료조사
구분 | 외단열 | 내단열 |
실외변동 | 실외변동 적음 특히, 난방정지시에 온도강하 적음 실내측 구조체의 축열에 의해 실온변동 적음 |
실온변동은 외단열보다 큼 특히, 난방정지시에 온도강하 큼 여름철 구조체의 축열에 의해 실내온도 높아지는 경우 발생 |
난방부하 | 부하량은 기본적으로 내단열과 큰 차이는 없으나 난방 방식에 따라 변동 가능 간헐난방이나 사람이 계속 거주하는 건물 적합 |
집회장 등의 사용시간이 짧은 건물 유리 |
냉방부하 | 부하량은 내단열과 비슷 야간에 외기 도입하여 냉기를 축열시키면 유리 외장재와 단열재 사이에 외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층을 설치하면 일사의 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음. |
야간에 외기를 도입하지 않는 건물에서는 축열부하가 작으므로 외단열보다 유리 |
표면결로 | 난방정지 시 벽면온도가 높기 때문에 결로발생 어려움 | 난방정지 시 벽면온도가 낮기 때문에 결로발생 쉬움 결로방지를 위해 충분한 환기 필요 |
내부결로 | 실내측에 방습층이 없어도 결로가 발생하지 않음 외장재의 종류에 따라 단열재와 외장재 사이에 결로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이곳에 방습층을 설치하거나 환기시켜 결로 발생 방지 |
단열재의 실내측에 완전한 방습층을 설치하지 않으면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없음 |
열교현상 | 온열교 상태로 피해가 거의 없음 열교 부분의 단열처리 쉬움 |
냉열교 상태로 국부결로가 발생하기 쉬움 열교부분의 단열처리가 시공상 또는 미관상 곤란한 경우 많음 |
구체보호 | 태양일사에 의한 직접열취득이 적어 구체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음 | 태양일사에 의한 직접열취득이 커서 구체적의 열화를 촉진 |
풍압계수 분석
풍압계수 분석을 통해 환기를 유도하고 바람의 방향과 속도 예측
풍압계수는 건물의 높이, 주변지형과 인공물, 건물의 위치, 건물 형태와 향, 풍향에 영향 받음
- 바람이 불어오는 면 : 대기압보다 높은 기압
- 기류의 하부 면 : 대기압보다 낮은 기압
- 압력차로 인해 건물 전체에서 환기 발생
충분한 환기량 제공
환기 제공 방법 : 환기팬이나 송풍기의 사용 유무에 따라 자연환기와 기계환기로 구분
자연환기 : 환기량이 일정하지 않은 방식, 바람과 실내외 온도차에 으한 압력차이로 환기
- 바람환기
- 온도차환기 ( 굴뚝효과 : 건축물 내외부 온도차로 인해 공기가 유동하는 것)
기계환기
- 제1종(병용식)환기 : 급기팬과 배기팬 모두 사용 (예 : 병원 수수실)
- 제2종(압입식)환기 : 급기팬만 사용, 실내를 정압으로 유지 (예: 반도체공장 , 병원무균실)
- 제3종(흡출식) 환기 : 주로 국소환기에 많이 사용, 배기팬만 사용 (예 : 부엌, 화장실)
환기디자인 전략 설정 및 확정
자연환기 전략에 따른 각 실의 배치
지역적인 미기후요소가 건물의 에너지에 주는 영향 평가 및 반영
728x90
그리드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환경 설계 Process map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제도 (0) | 2022.11.07 |
---|---|
제로에너지 디자인 특화계획 [친환경건축 설계] (0) | 2022.11.07 |
친환경 건축물 설계 프로세스 기본설계 (0) | 2022.11.04 |
보육실 면적과 어린이집 전용 면적 산정 하기 어린이집 설치 가이드 (0) | 2022.11.03 |
친환경 건축의 의미와 건축가의 역할 (0) | 2022.10.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