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콘크리트 정의와 기본개념
철근콘크리트 구조 : 거푸집 공사 및 철근 배근 & 철근콘크리트 운반과 타설


다짐과 타설

철근콘크리트의 정의
- 구조재료 : 나무, 돌, 콘크리트, 철근
- 강재 : 인장강도와 압축강도가 거의 같고 강도가 크기 때문에 어떤 구조부재로 사용이 가능 (강도 : 강재(210Mpa), 콘크리트(24, 27, 80~100Mpa)
- 콘크리트 : 압축에 강하지만 인장은 압축강도의 1/9 ~ 1/13 정도로 매우 약함 휨 인장강도는 휨 압축 강도의 1/5 ~ 1/7 정도로 약함.

철근콘크리트 (Reinforced Concrete) RC조 정의
- 콘크리트 속에 강봉(rebar)을 묻어 넣어서 두 재료가 일체로 되어 외력에 저항하도록 한 콘크리트를 철근콘크리트라 하며 약자로 RC라 함.
- 철근 : 인장, 콘크리트 : 압축
-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PSC), 철골천근 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의성립의 이유
-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강도가 크다 - 일체작용
- 콘크리트 속에 묻힌 철근은 녹슬지 않는다
- 콘크리트와 강재는 열에 대한 팽창계수가 거의 같습니다.
- 콘크리트 열팽창계수 : (1.0 ~ 1.3) x 10^-5
- 철근 열팽창계수 : (1.2) x 10^-5

철근콘크리트의 장점
- 구조물의 형상과 치수에 제약받는 일이 없이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 임의의 형상과 치수의 콘크리트체를 만들 수 있다.
- 구조물을 일체적으로 만들 수 있다.
- 각 부재를 일체적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강성이 큰 구조를 얻을 수 있다.
- 구조물을 경제적으로 만들 수 있다.
- 콘크리트는 압축을 철근은 인장을 받는데 경제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비교적 경제적인 재료이다.
- 내수성(durability)이 좋다.
- 기상작용에 의하여 유해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콘크리트 균열 폭 제한함으로써 철근의 부식을 방지하여 유지비가 거의 없다.
- 내화성이 좋다.
- 콘크리트는 단열 성능이 우수하여 철근콘크리트 부재를 장시간 가영해도 그 속에 묻힌 철근이 쉽게 적열되지 않는다.
- 방음효과가 크고, 에너지 효율적인 재료
- 진동이 적고 소음이 적다.
철근콘크리트의 단점
- 중량이 비교적 크다.
- 장스팬에 대한 설계상 결점이 될 수 있다.
-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한다.
- 부분적인 파손이 일어나기 쉽다.
- 검사하기 어렵다.
- 개조하거나 보강하기가 어렵다.
- 품질관리가 어렵다.
콘크리트 = 물 + 시멘트 + 골재(모래, 자갈) + 혼화재 + 혼화제
시멘트풀 (물 + 시멘트) , 모르타르(물+시멘트,골재(모래,자갈)

콘크리트 종류
- 보통 콘크리트 (normal concrete) : 질량 : 2.2 ~ 2.4ton/m3, 보통 2.3ton/m3
- 경량 콘크리트 (lightweight concrete)
- 저비중 콘크리트 : 0.8ton/m3, 단열재
- 보통강도 콘크리트 : 0.9~1.4ton/m3, 채움재
- 구조용 콘크리트 : 1.4~2.0ton / m3, 구조재(고층건물)
- 중량 콘크리트(heavy weight concrete) : 질량 3.2 ~ 3.7ton/m3, 천연암석 원자로, 의료시설에 사용
728x90
그리드형
'건축 > 건축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재료 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개념정의 (1) | 2022.10.11 |
---|---|
철근콘크리트 재료와 압축강도 및 배합강도 (0) | 2022.10.09 |
철근콘크리트 RC구조 의미와 역사 (2) | 2022.10.02 |
철근의 이음 - 압축철근의 정착길이와 주근 갈고리 (0) | 2022.10.01 |
철근의 종류와 배근 사례 [건축 RC구조] (0) | 2022.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