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건축설계 용어 정리 - SD 개념설계,DD 기본설계,CD 실시설계,CA 감리업무 설계 (준공도면 등)

by Clover Marketer 2025. 1. 8.

건축설계 용어 SD 개념설계,DD 기본설계,CD 실시설계,CA 감리업무 설계 (준공도면 등)

건축 설계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SD, DD, CD, CA는 각 단계의 약자로, 설계 및 건축 과정의 주요 단계를 나타냅니다. 아래에 각 용어의 정의와 특징을 정리하였으니까 한 번 살펴보도록 할까요? 영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어의 뜻이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건축업계에서 말하는 부분을 통해서 정리해보도록 했습니다.

 

 

 


1. SD (Schematic Design) - 개념 설계

  • 의미: 설계 초기 단계로, 프로젝트의 기본 개념과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입니다.
  • 목적: 건축물의 공간 구성, 배치, 규모, 형태 등을 결정합니다.
  • 주요 활동:
    • 사이트 분석 및 요구사항 조사
    • 건물의 기본적인 형태와 레이아웃 제안
    • 고객과의 초기 설계 방향 논의
    • 간단한 도면, 초기 스케치, 개념적 다이어그램 등.  생각할 수 있고 제안서나 현상설계 단계 정도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2. DD (Design Development) - 기본 설계

  • 의미: SD 단계에서 정리된 설계를 기반으로 더 구체화하는 단계입니다.
  • 목적: 설계 개념을 구체화하고 구조, 재료, 시스템 등을 결정합니다.
  • 주요 활동:
    • 구조, 기계, 전기 시스템 설계 통합
    • 건축 재료와 마감 재질 선정
    • 공간 및 구성 세부 조정
    • 기본적인 개념의 도면, 상세 도면,  재료 사양서 등의 도면을 그리기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3. CD (Construction Documents) - 실시 설계

  • 의미: 설계를 완전히 문서화하여 시공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단계입니다.
  • 목적: 시공사가 이를 기반으로 실제 건축을 진행할 수 있도록 설계 정보를 제공합니다.
  • 주요 활동:
    • 최종 도면 작성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등)
    • 상세한 건축 사양 및 시공 지침 제공
    • 견적 및 공사 입찰을 위한 문서 준비
  • 건축 도면, 설계 사양서, 시공 문서 등. 공사가 가능한 수준의 도면을 요구합니다.

4. CA (Construction Administration) - 공사 관리

  • 의미: 시공 단계에서 설계자가 공사가 설계 의도대로 진행되는지 감독하는 단계입니다.
  • 목적: 시공 과정에서 설계의 품질과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문제를 해결합니다.
  • 주요 활동:
    • 공사 진행 상태 점검 및 보고
    • 설계 변경 관리 및 승인
    • 시공사와의 커뮤니케이션
    • 준공 검사 및 최종 확인
  • 결과물: 공사 관리 보고서, 설계 변경 문서, 최종 준공 확인서 등.

 

 

 

 

 


간단하게  정리해보면

  • SD: 개념 설계 (아이디어와 기본 방향 설정)
  • DD: 기본 설계 (구체화 및 재료/시스템 통합)
  • CD: 실시 설계 (시공 도면 및 문서화)
  • CA: 공사 관리 (시공 과정 감독 및 품질 확인)

이 네 단계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프로젝트가 진행됨에 따라 점점 더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상태로 생각하면 됩니다. 사실 사용하는것에 대해서는 조금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고, 외국과 한국에서 사용하는 의미의 차이, 아파트와 일반설계에서의 단계가 조금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어서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728x9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