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방수 각 부위별 설계포인트 및 상세도
1. 옥상층 설계포인트 및 상세도
2. 지하층 설계포인트
3. 실내주차장 설계포인트
4. 실내방수공법의 기술적검토
5. 욕실, 샤워실, 화장실 설계포인트
6. 주방, 부엌 설계포인트
7. 탱크류(물탱크/정화조) 설계포인트
8. 실내수영장 설계포인트
9. 기타 특수부위 방수처리방법 및 상세
1. 옥상층 설계포인트
(1) 옥상방수 설계시 고려사항
구분 | 물의 영향 | 마감포인트 | 적용가능공법 | 설계시 유의점 |
설 계 시 핵 심 포 인 트 |
- 강우에 의한 영향 - 눈, 얼음, 비바람 등에 의한 영향 |
- 노출 / 비출공법의 고려 - 마감층 구배관리 중점 - 배수관리 충분히 고려 (엘리뇨 현상에 의한 집중호우시) |
-복합도막방수(도막+시트복합) - 가장 이상적임 -옥상녹화복합공법 (도막 + 방근충) -조경구간에 최적 -도막방수 (고무야스팔트계 /우레탄) - 시멘트혼입 풀리며방수(탄성도막방수) -시트방수 -아스팔트 방수 |
- 열, 자외선, 내후성이 강한 방수재료 선정 -신축성, 내균열 추종성, 인열성이 우수한 재료 -외기 천후에 순응성이 있는 재료 (경화속도, 기온 등) - 방수층이 수밀화된 공법 적극유도 -특수부위 (돌출부, 곡각부) 시공이 용이한 공법 - 방수층의 말단부처리 -슬래브면과 부분절연화에 의한 복합공법 |
2) 옥상층 방수설계시 가장 핵심적인 포인트
설계상 구배 시공상 구배 |
드레인 갯수 드레인 관경확대 1시간 강수량 |
고신축성 재료 가혹한 환경 순응성 절연층 필요 시공실적 / 품질인증여부 |
신축줄눈 단부 완충재 층간절연 절연시트층 |
3) 옥상 노출 / 비노출 공법 설계포인트
구분 / 공법종류 | 노출공법 | 비노출공법 |
적용가능공법 | - 우레탄 도막방수 - 탄성도막방수 - 노출형 복합방수공법 |
- 도막방수 - 시트방수 - 아스팔트방수 - 비노출형 복합방수 공법 |
장점 | - 옥상외관이 미려함 - 누수발견 및 보수용이 - 바탕거동에 비교적 안정 |
- 누름층으로 외부환경변화에 안정 - 외부충격이 손상에 안전 - 방수층의 단기열화가 적음 |
단점 | - 가혹한 외부환경에 단기열화 촉진 - 외상에 약함 - 방수층 air pocke으로 박리촉진 및 파단 - 주기적으로 Top coat 재도포 |
- 누수발견이 어렵고 보수 난이 - 바탕제 거동에 민감 |
설계도면 | ![]() |
4) 옥상녹화 방수 방근 설계포인
1) 시공방법 : 방수층 + 방근충 + 배수층 + 토양여과층 + 육성토양층 + 식색층
2) 요구성능 및 조건
- 수밀성
- 방근성
- 내약품성
- 내박테리아성
- 내하중성
3) 적용가능공법
적용 가능 공법 |
종류 | 아스팔트방수 / 우레탄도막 (단일공법) |
FRP 도막방수 (단일공법) |
복합방수 A | 복합방수 B |
특징 | 일반적인 방수공법 | 라이닝공법 | 도막 + 방수 / 방근시트 복합 | 도막 + 일반 방수시트복합 | |
방근성 | 별도 방근층 필요 | 방수, 방근기능 확보 | 방수, 방근기능 확보 | 별도 방근층 필요 |
4)고려사항
- 배수층 > 배수로 > 통수구 > 드레인으로 이어지는 자연배수 가능한 구배 (1/100~1/50)
- 드레인 관경 100mm 이상
- 녹화부위 인접벽체 방수층 높이 = (성토층 높이 + 200mm 이상)
2. 지하층 설계포인트 (내/외 방수공법)
(1) 지하층 방수설계시 고려사항
2) 지하층 외방수 / 내방수공법 상세
728x90
그리드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욕실, 샤워실, 화장실 설계 포인트 구조 공법 및 방수 마감포인트, 방수설계 및 시공 시 유의사항 (0) | 2023.03.07 |
---|---|
건축방수 지하 흙막이 방식과 방수공법과의 관계 (0) | 2023.03.06 |
방수층의 주요결함 및 방수재료의 요구성능 (0) | 2023.03.03 |
건축물 방수 설계포인트 [건축 방수설계 및 방수재료] (0) | 2023.03.02 |
기존 공동주택 세대구분 설치 가이드라인 [주택법 및 공동주택관리법] (0) | 2023.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