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후와 열대기후의 토속건축 비교분석
1. 한대기후와 열대기후
2. 한대기후와 열대기후의 특징
3. 한대기후의 토속건축과 사례
4. 열대기후의 토속건축과 사례
한대기후
고위도에 위치해 춥고 수목이 살기 힘든 기후 [ 빙설기후, 툰드라기후 ]
열대기후
저위도에 위치해 덥고 강수량이 높은 기후 [ 열대몬순기후, 열대사바나기후]
독일 기상학자 쾨펜이 가장 추운 달의 평균기온 18'C 이상인 기후를 열대기후로 정의
- 열대우림기후 : 강수량 많음. 습도 높아 기온보다 체감온도가 높음, 열대우림에서 최상층은 풍부한 햇빛을 받지만 지표면에는 거의 닿지 않음
- 열대몬순기후 : 열대우림보다 많은 강수량
- 열대사바나기후 : 태양의 이동에 따라 건기와 우기 나뉨, 건기에는 땅이 마르고 우기에는 홍수가 나 관계시설 없이는 농사 불가
한대기후와 열대기후
한대기후와 열대기후의 특징
한대기후 | 열대기후 |
지구에서 가장 기온이 낮은 기후구 | 지구에서 가장 기온이 높은 기후구 |
고위도 뿐만 아니라 고산지대에서도 나타남 | 기압차가 작아 바람이 약함 |
여름에도 기온이 상승하지 않음 | 매일 스콜이 내림(열대우림기후) |
1년내내 얼음으로 덮여있고, 이끼류와 지의류만이 생육 가능함 | 건기와 우기가 있다. 다양한 식물 종으로 독특한 식생이 발달함 |
열대기후 : 지구에서 가장 기온이 높은 기후구, 연교차 5~6'C로 일교차보다 작다. 저위도 지역, 항상 여름 날씨, 사계절 없음, 건기와 우기, 개방적인 수상가옥이나 고상가옥을 짓는 이유는 바람이 잘 통하게 하기 위함
한대기후의 토속건축
고상가옥, 이글루, 투피크
고상가옥
고상가옥 : 짧은 여름 동안 지표면이 녹아 집이 붕괴되는 피해를 방지하고자 영구 동토층까지 기둥을 깊이 박고 그 위에 지은 집.
목조주택 : 연중 대부분의 기간이 눈으로 덮여 있는 북극 지방에서 나무를 구하기란 매우 어려워서 집의 크기가 아주 작고, 방 하나에 온 가족이 모여 살았는데, 가족들이 몸을 맞대고 사는 것은 북극의 매서운 추위를 견디기 위한 방법.
이글루
이글루 : 얼음을 잘라 블록을 만든 후 이를 쌓아 만든 이누이트족의 얼음집
이글루는 수렵이나 여행을 할 때 잡은 동물을 보관하고 몰아치는 눈보라를 피할 수 있도록 임시로 만들었던 창고로,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주거지였어요. 이글루는 이누이트들이 먼 곳으로 사냥을 나갔을 때, 내부는 수피로 두르고 외부는 얼음으로 방풍을 해요.
투피크
투피크 : 이동식 천막집 : 투피크 - 순록 유목민들이 이동의 편리를 위해 순록의 털을 이용하여 천막으로 만든 집
열대기후 건축
고상 건축 : 원활한 공기 순환, 홍수와 동물로부터 가옥과 인명 보호
- 많은 강수량과 강한 일사
- 뾰족한 지붕
- 깊은 처마
- 약한 바람
- 정교한 창문과 문
1) 고상건축의 형태가 많다.
-지면에서 띄워진 건물의 형태는 공기의 순환을 원활히 하며, 좀더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한다. 그럼으로써 실내를 보다 시원하게 하며, 홍수와 동물의 위험으로부터 가옥과 인명을 보호하는 기능도 한다. 또한, 가옥 밑의 open space는 매우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최난월에는 생활공간으로도 사용되며, 곡식을 저장하는 창고로, 가축물을 키우는 장소로도 사용된다.
2) 뾰족하면서 높은 지붕 형태를 지닌다.
-비가 많이 오고 일사가 강한 지역이므로 뾰족하면서 높은 지붕의 형태는 배수를 빠르게 할 뿐만 아니라 태양 복사열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3) 깊은 처마(or overhang)형태의 지붕을 지닌다.
-비가 많이 오고 일사가 강한 지역이므로 깊은 처마는 차양(shading)의 역할을 하며, 또한 비가 실내로 들이치는 것을 방지한다.
4) 창문과 문을 정교하게 배치하였다.
-기류의 흐름을 원활히 위해 건물에는 크고 작은 많은 수의 창문과 문을 정교하게 배치하였으며, 자연 환기가 잘되도록 외부로 오픈 되어있다. 코어 부분 역시 단순하며 open space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5) 통풍을 위해 좁고 기다란 형태를 지니기도 하며, 베란다가 설치 되어있다.
6) 건축재료로는 그 지역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목재, 대나무, 짚 등을 사용하는 특징을 지닌다.
MALAYSIA
Malaysia
- 말레이시아 전통건축물들은 통나무기초 위에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 즉 목재, 등나무, 대나무, 나무잎 등을 이용하여 지어졌다.
- 타이 건축과 마찬가지로 높고 뾰족한 지붕을 지닌다.
- 천장은 매우 높으며, 통풍을 위해 큰 창문을 많이 두었다.
- 건물 입구에는 porch와 베란다를 설치하였다.
- 잦은 홍수로 인해 고상 가옥의 형태를 지닌다.
Thai 전통건축의 특징
- 고상 건축의 형태를 지닌다. 수상가옥과, 물과 육지 모두에 걸쳐있는 형태의 건축물이 반 이상을 차지하며, 나머지는 조적식 건물이다. (수상 건축은 물 위에 떠있는 대나무 뗏목 위에 집을 지은 것이며, 물과 육지에 모두 걸쳐져 있는 건물은 육지에서 강으로 펼쳐져 있는 형태의 건축이며, 조적식 건물은 주로 사원건축에 사용되었다.)
- 가옥의 뼈대는 주로 나무를 이용하였고, 벽에는 대나무, 짚 등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규격화된 가옥을 주로 지어 조립과 해체를 용이하게 하였다.
- 지붕은 매우 높고 뾰족한 형태를 취하며, 깊은 처마를 지닌다.
- 원활한 통풍을 위해서 창과 문을 많이 내었다.
- 비와 습기로부터의 해를 방지하기 위해 구조체에 기름칠이 되어있는 경우가 있다.
- 직달일사를 피하기 위해 수목으로 둘러싸여 있는 경우가 많다.
SRI LANKA
Sri Lanka 전통건축의 특징
1) 스리랑카의 전통주거는 편리함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진흙 짚 등으로 소박하게 지어졌다.
2) 전통주거는 물을 얻기 쉬운 곳에 군락을 이루어 형성되었다.
3) 긴 열주형의 베란다를 지닌 직사각형의 평면이 주를 이루었다.
4) 지면에서부터 올라오는 습기를 방지하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약간 띄워져 있다.
5) 지붕의 뼈대에는 목재를 사용하였으며, 지붕의 마감에는 cad jan 혹은 짚, 진흙 타일을
사용하였다.
6) 지붕은 가파르고 높으며, 비와 태양을 피하기 위해 넓은 overhang이 설치되어있다.
7) 창과 문과 같은 개구부는 가능한 한 최소로 하였다.
8) 벽은 목재 프레임에 흙벽돌을 이용하여 지었는데, 이 지역 기후에 가장 적합한 재료이다.
9) 해안가 주변부는 코코넛 혹은 팔미라 야자나무의 잎을 이용하여 벽을 건축하였다. 코코넛 혹은 팔미라 야자나무의 잎을 조밀한 차양을 제공하며, 건물의 다른 공간으로 열을 전달하거나 재방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열을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이 지역에 매우 유용한 건축재료이다. 또한, 수천 개의 미세한 구멍을 통하여 통풍이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대기후와 열대기후의 토속건축 비교
한대기후 | 열대기후 | |
차이점 | 창이 거의 없음 집의 크기가 작다 |
뾰족하고 높은 지붕 깊은 처마 정교한 창문과 문 |
공통점 | 고상가옥의 형태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 |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물 방수 설계포인트 [건축 방수설계 및 방수재료] (0) | 2023.03.02 |
---|---|
기존 공동주택 세대구분 설치 가이드라인 [주택법 및 공동주택관리법] (0) | 2023.02.23 |
건축방수의 이해와 방수설계의 기초 (0) | 2023.02.14 |
건축재료계획 재료의 물성 이해 마코토 코이즈미 의자[건축가가 디자인한 가구 모형 제작] (0) | 2023.02.11 |
건축과환경 건축물의 하이테크 채광 (0) | 2023.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