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적률3 건축지식 용적률 도입배경, 용어와 기준 등 - 용적률의 이해 (인센티브 관련 건축용어정리) 건축지식 용적률 도입배경, 용어와 기준 등 - 용적률의 이해 (인센티브 관련 건축용어정리)1. 용적률 도입배경(연혁)2. 용적율의 용어와 기준 (건축법, 국계법, 정비사업, 도시조례 등)- 참고 및 참조 (한국건축가협회 자료) 용적률 게임 (THE FAR GAME Constraints Sparking Creativity)이라는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2016년도에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 한국관에서 이야기가 되었던 용적률 게임은 창의성을 촉발하는 제약이라는 주제로 건축전을 했는데요. 용적률의 의미용적률은? 연면적의 대지면적 비율건축법 제56조 (건축물의 용적률)대지면적에 대한 연면적 (대지에 건축물이 둘 이상 있는 경우에는 이들 연면적의 합계로 한다)의 비율 ("용적률"이라 한다)의 최대한도는 국토의.. 2024. 11. 27. 처마, 차양의 바닥면적 산입여부 건축법 유권해석 처마, 차양의 바닥면적 산입여부 건축법 유권해석[질의내용]외벽에 캔틸레버 방식으로 된 처마, 차양에 대해서 '건축면적'에 대한 기준은 있지만, '바닥면적'에 대해서는 없는 바,1. 건축법시행령 119조 1항 제3호 가목의 벽·기둥의 구획이 없는 건축물로 적용하여, 지붕 끝선에서 1m 후퇴한 선으로 바닥면적을 적용해야 하는지? 2. 이에 해당되지 않으므로 바닥면적 산정에서 제외되는 지? 답변요약]처마는 건축법령에 정의된 바는 없으나, 건축법 시행령 제119조(면적 등의 산정방법)제1항제3호 가목에 따른 ‘벽ㆍ기둥의 구획이 없는 건축물’이라 함은 가령 주유소나 LPG 충전소 등의 캐노피와 같이 하나 또는 두 개 이상 등의 기둥에 지지하여 지붕 등을 형성하고 있는 건축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바닥면적에는.. 2024. 8. 16. 건축물의 층수 산정 [지하층, 발코니, 베란다, 테라스, 포치 비교 / 건폐율과 용적률 비교] 건축물의 층수 산정 건축물의 층수란 무엇인가요? 층수란 건축물의 층을 말하며 건축물의 지상층(지표면 위에 있는 층)만을 층수에 산정하고, 지표면 아래에 있는 지하층과 필로티, 그리고 일정 면적 이하의 옥상부분 건축물, 다락은 층수에서 제외됩니다. 작은 옥탑은 층수에 안 들어갑니다. 중층은 층수에 들어가요 필로티란 벽 면적의 공간이 1/2 이상으로 되어 있고 공중의 통행, 주차에 전용되는 공간을 말해요. 다락은 바닥면적 및 층수 신입에서 제외됩니다. 지하층은 무엇을 말하나? 지하층이라 함은 지표 아래에 있는 층으로 서 해당 층고의 1/2 이상이 지표 아래에 있어야 합니다. 경사지반일 경우에는 가중 평균 계산하여 1/2 이상이 지표 아래에 있어야 해요. 가중평균이란 건축물의 땅속에 묻힌 표면적의 합의 둘레 .. 2023. 4.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