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처마2

처마, 차양의 바닥면적 산입여부 건축법 유권해석 처마, 차양의 바닥면적 산입여부 건축법 유권해석[질의내용]외벽에 캔틸레버 방식으로 된 처마, 차양에 대해서 '건축면적'에 대한 기준은 있지만, '바닥면적'에 대해서는 없는 바,1.  건축법시행령 119조 1항 제3호 가목의 벽·기둥의 구획이 없는 건축물로 적용하여, 지붕 끝선에서 1m 후퇴한 선으로 바닥면적을 적용해야 하는지? 2. 이에 해당되지 않으므로 바닥면적 산정에서 제외되는  지?    답변요약]처마는 건축법령에 정의된 바는 없으나, 건축법 시행령 제119조(면적 등의 산정방법)제1항제3호 가목에 따른 ‘벽ㆍ기둥의 구획이 없는 건축물’이라 함은 가령 주유소나 LPG 충전소 등의 캐노피와 같이 하나 또는 두 개 이상 등의 기둥에 지지하여 지붕 등을 형성하고 있는 건축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바닥면적에는.. 2024. 8. 16.
환경조절의 전통적 방법 온돌과 현대주택건축에서 적용 방법 환경조절의 전통적 방법과 현대주택건축의 적용 1. 온돌이란? 아궁이에서 불을 때면 화기가 방 밑을 지나 방바닥 전체를 덮게 하는 난방장치를 말하는데, 온도가 높아진 돌이 방출하는 열로 난방하는 것으로 전도에 의한 난방 이외에 복사난방과 대류난방을 겸하고 있습니다. 2. 온돌의 역사 한국에서 온돌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으나 청동기시대 움집에서 구들의 흔적이 발견 되었어요. 고굴에서는 겨울철에 장강(온돌의 원시적 형태)을 만들고 불을 때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초기 초목용 온돌의 구조는 땅바닥에 방고래를 만들고, 구들장을 얹기 위한 두둑을 세워 그 위에 구들장을 놓은 뒤 구들장 위에 진흙을 바르는데, 구들장과는 반대로 아랫목에는 두껍게 바르고 주변으로 갈수록 얇게 발라준다. 진흙을 바른 후에는 불을 지펴 건조.. 2022. 9. 8.